$\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타각적 및 자각적으로 결정된 조절래그의 특성과 상관관계
Characteristics of Accommodative Lags Determined by Objective and Subjective Methods and Their Correlation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3, 2015년, pp.333 - 339  

유동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곽호원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노병호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손정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양안크로스실린더법으로 결정된 자각적 조절래그와 개방형 자동굴절계를 이용하여 결정된 타각적 조절래그를 미보정한 값과 보정한 값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그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33명(남 26명, 여자 7명, 22~27세의 평균 나이 $23.73{\pm}1.3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절래그는 4가지 방법 (1) +2.00 D 운무와 양안크로스실린더를 이용한 자각적 방법, (2)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미보정 타각적 방법, (3) 타각적 방법에서 Gwiazda 등이 제시한 식으로 보정한 방법(유효 조절래그)과 (4) 타각적 방법에서 Mutti 등이 제시한 식으로 보정한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결과: 평균 조절래그는 자각적 방법이 0.72 D, 미보정 타각적 방법이 0.82 D, Gwiazda식으로 보정한 타각적 방법이 0.88 D, Mutti 식으로 보정한 타각적 방법이 0.78 D였다. 타각적 조절래그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각적 조절래그와 타각적 조절래그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효 조절래그는 사위도와 굴절 이상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Muttii 등이 제시한 식으로 보정한 타각적 조절래그는 보정하지 않은 타각적 조절래그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99, p<0.001). 결론: 타각적 조절래그는 사위와 굴정이상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증상과 관련하여 임상적 활용과 정량적 평가에 Muttii 등이 제시한 타각적 유효 조절래그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accommodative lags determined by fused cross-cylinder (subjective method), and an open-field autorefractor (objective method) under uncorrected and corrected conditions. Methods: Thirty three healthy subjects (26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완전교정 후 근거리에서 크로스실린더와 십자시표(cross grid)를 이용하여 자각적으로 결정한 조절래그량, 조절자극과 조절반응을 보정하지 않은 타각적으로 결정한 조절래그량, 교정렌즈의 굴절력과 정점간거리를 고려하여 보정한 유효 조절래그(effective accommodative lag)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효 조절래그는 Gwiazda 등[15,16]이 제시한 눈과 주시 물체까지의 거리, 정점간거리에 따른 완전교정 굴절력과 교정렌즈 굴절력을 기준한 타각적 유효 조절래그와 Muttii 등[17,18]이 제시한 각막 전면에서 초점까지 거리의 역수를 기준한 타각적 유효 조절래그에 관한 것이다.
  • 위와 같은 조절래그 결정 방법의 다양성에 비해 조절래그의 활용은 굴절이상이나 양안시이상 평가에 단순히 타각적 및 자각적 조절래그량에만 치중한 면이 있으므로 다양한 조절래그에 대한 상관관계나 유용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절래그에 대한 활용 측면에서 유효 조절래그에 대한 임상에서의 유용성 평가와 더불어 미보정 타각적 조절래그, 보정 타각적 조절래그 및 자각적 조절래그 간의 상관관계, 조절래그와 굴절이상 및 사위간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각 조절래그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절래그 평가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조절래그 평가는 조절자극에 대한 조절반응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조절반응의 결정 방법에 따라 타각적이거나 자각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절반응의 타각적 방법은 주로 개방형 자동굴절계(open-field autorefractor)나 검영기(retinoscope)를 이용하며[3,4] 자각적 방법은 운무 또는 비운무 상태에서 크로스실린더(cross-cylinder)나 이색(duochrome)을 이용한다.
조절반응의 타각적 방법은 무엇을 이용하는가? 조절래그 평가는 조절자극에 대한 조절반응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조절반응의 결정 방법에 따라 타각적이거나 자각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절반응의 타각적 방법은 주로 개방형 자동굴절계(open-field autorefractor)나 검영기(retinoscope)를 이용하며[3,4] 자각적 방법은 운무 또는 비운무 상태에서 크로스실린더(cross-cylinder)나 이색(duochrome)을 이용한다.[5,6] 검영기 이용은 간편하지만 사용자의 숙달이 요구되고 또한 1.
조절래그 평가로 검영기 이용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조절반응의 타각적 방법은 주로 개방형 자동굴절계(open-field autorefractor)나 검영기(retinoscope)를 이용하며[3,4] 자각적 방법은 운무 또는 비운무 상태에서 크로스실린더(cross-cylinder)나 이색(duochrome)을 이용한다.[5,6] 검영기 이용은 간편하지만 사용자의 숙달이 요구되고 또한 1.00 D 이상의 조절래그량에서 신뢰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3,7] 개방형 자동굴절계는 검영기보다 고가이며 공간 확보가 필요하며 자유로운 상태(free space)에서 실제 놓여 있는 물체를 주시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타각적 방법으로 조절기능을 평가하는 데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Garca A, Cacho P. MEM and Nott dynamic retinoscopy in patients with disorders of vergence and accommodation. Ophthalmic Physiol Opt. 2002;22(3):214-220. 

  2. Scheiman M, Wick B.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2;72-96, 455-456. 

  3. Correction of Myopia Evaluation Trial 2 Study Group for the Pediatric Eye Disease Investigator Group. Accommodative lag by autorefraction and two dynamic retinoscopy methods. Optom Vis Sci. 2009;86(3):233-243. 

  4. Seidemann A, Schaeffel F. An evaluation of the lag of accommodation using photorefraction. Vision Res. 2003; 43(4):419-430. 

  5. Rosenfield M, Portello JK, Blustein GH, Jang C. Comparison of clinical techniques to assess the near accommodative response. Optom Vis Sci. 1996;73(6):382-388. 

  6. Rabbetts RB. Bennett and Rabbetts' clinical visual optics, 4th Ed. Oxford: Butterworth-Heinemann, 2007;133-134. 

  7. Elliott DB. Clinical procedures in primary eye care, 3rd Ed. Edinburgh: Butterworth-Heinemann, 2007;111-112:194-195. 

  8. Rosenfield M, Desai R, Portello JK. Do progressing myopes show reduced accommodative responses. Optom Vis Sci. 2002;79(4):268-273. 

  9. Mutti DO, Mitchell GL, Hayes JR, Jones LA, Moeschberger ML, Cotter SA et al. Accommodative lag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6;47(3):837-846. 

  10. Gwiazda J, Thorn F, Held R. Accommodation, accommodative convergence, and response AC/A ratios before and at the onset of myopia in children. Optom Vis Sci. 2005; 82(4):273-278. 

  11. Shim HS, Lee SW, Shim MS, Choi SM, Jang SJ. Accommodative response measurement using both eyes openview autorefractomete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5;10(4):323-328. 

  12. Shim HS, Shim MS, Joo SH. A Study of accommodative response on emmetropi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6;11(3):187-192. 

  13. Han KA, Hwang JH, Mah KC. Objective measurement of accommodative responses with open-field autorefractor. Korean J Vis Sci. 2009;11(1):35-44. 

  14. Benzoni JA, Collier JD, McHugh K, Rosenfield M, Portello JK. Does the dynamic cross cylinder test measure the accommodative response accurately. Optometry. 2009; 80(11): 630-634. 

  15. Gwiazda J, Thorn F, Bauer J, Held R. Myopic children show insufficient accommodative response to blur.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3;34(3):690-694. 

  16. He JC, Gwiazda J, Thorn F, Held R, Vera-Diaz FA. The association of wavefront aberration and accommodative lag in myopes. Vision Res. 2005;45(3):285-290. 

  17. Mutti DO, Jones LA, Moeschberger ML, Zadnik K. AC/ A ratio, age, and refractive error in childre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0;41(9):2469-2478. 

  18. Yeo AC, Kang KK, Tang W. Accommodative stimulus response curve of emmetropes and myopes. Ann Acad Med Singapore. 2006;35(12):868-874. 

  19. Chat SW, Edwards MH. Clinical evaluation of the Shin- Nippon SRW-5000 autorefractor in children. Ophthal Physiol Opt. 2001;21(2):87-100. 

  20. Erdfelder E, Faul F, Buchner A.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 Res Methods Instr Comp. 1996; 28(1):1-11. 

  21. Benjamin WJ. Borish's refraction, 2nd Ed. St. Louis: Butterworth Heinemann Elsevier. 2006;968-972. 

  22. Duane A. A new classification of the motor anomalies of the eye based upon physiological principles, together with their symptoms, diagnosis, and treatment. Ann Ophthalmol Otol. 1896;5:969-1008. 

  23. Cooper JS, Burns CR, Cotter SA, Daum KM, Griffin JR, Scheiman MM. Optometric clinical practice guideline: care of the patient with accommodative and vergence dysfunction. St. Louis: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2011;1-9. 

  24. Hofstetter HW. Useful age-amplitude formula. Optom World. 1950;38:42-45. 

  25. Locke LC, Somers W. A comparison study of dynamic retinoscopy techniques. Optom Vis Sci. 1989;66(8):540-544. 

  26. Bae HJ, Yoon MO, Kim HS, Eom JH. The correlation of refractive error and accommodative response. Korean J Vis Sci. 2010;12(2):103-109. 

  27. Baarg SB, Jeong YH. The accommodative lag and refractive error in early adult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1):59-65. 

  28. Allen PM, O'Leary DJ. Accommodation functions: codependency and relationship to refractive error. Vision Res. 2006;46(4):491-505. 

  29. Wold JE, Hu A, Chen S, Glasser A.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human accommodative amplitude. Cataract Refract Surg. 2003;29(10):1878-1888. 

  30. Leon AA, Medrano SM, Rosenfield M. A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of dynamic retinoscopy and subjective measurements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Ophthalmic Physiol Opt. 2012;32(2):133-141. 

  31. Schor C. The influence of interactions between accommodation and convergence on the lag of accommodation. Ophthalmic Physiol Opt. 1999;19(2):134-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