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눈의 시력이 0.1 이하인 순수 굴절부등약시의 임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Anisometropic Amblyopia with Monocular Vision 0.1 or Worse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6 = no.330, 2008년, pp.973 - 978  

최미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  김연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한 눈의 최대교정시력이 0.1 이하인 순수 굴절부등약시 소아에서 약시 치료의 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조절마비굴절 검사 후 처방한 안경을 1개월 이상 착용한 후 측정한 시력이 좋은 눈 0.5 이상, 나쁜 눈 0.1 이하인 10세 미만의 순수 굴절부등약시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6개월 이상 추적관찰된 21명의 나이, 굴절부등 의 종류와 정도, 약시 치료 후 최종 시력을 분석하였다. 나쁜 눈의 최종시력이 0.3 이상인 경우를 치료에 성공한 것으 로 정의하였다. 결과 : 약시 치료 시의 나이는 평균 5.2세였으며, 굴절부등의 종류로는 원시 14명, 난시 4명, 근시 3명이었다. 평균 16개월 동안 약시 치료 후 21명 중 13명(61.9%)에서 최종 시력이 0.3 이상이었다. 약시 치료의 성공군에서 실패군 에 비하여 치료 시작 시의 나이가 더 어렸으며, 순응도는 더 좋았다. 결론 : 한 눈의 시력이 0.1 이하인 순수 굴절부등약시에서 굴절부등의 종류로는 원시가 가장 많았으며, 치료 시작 시 의 나이와 순응도가 치료 예후에 관련있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analyze the results of treatment in pure anisometrpic amblyopia with unilateral visual acuity of 0.1 or worse. Methods: The major eligibility criteria included pure anisometropic amblyopia with age <10 year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0.1 or worse in the worse eye and 0.5 or better in...

주제어

참고문헌 (28)

  1. Eye Woodruff 8 623 1994 10.1038/eye.1994.156 

  2. Br J Ophthalmol Tomilla 65 575 1981 10.1136/bjo.65.8.575 

  3. Lancet Rahi 360 597 2002 10.1016/S0140-6736(02)09782-9 

  4. Invest Ophthalmol Vis Sci Stewart 46 3152 2005 10.1167/iovs.05-0357 

  5. J Korean Ophthalmol Soc Park 42 1753 2001 

  6. J Korean Ophthalmol Soc Cho 34 661 1993 

  7. J Korean Ophthalmol Soc Oh 44 2850 2003 

  8. Ophthalmology Repka 100 769 1993 10.1016/S0161-6420(93)31577-0 

  9. Br J Ophthalmol Dorey 85 310 2001 10.1136/bjo.85.3.310 

  10. J Korean Ophthalmol Soc Kim 36 338 1995 10.3341/kjo.2022.0025 

  11. Br J Ophtahlmol Sen 66 680 1982 10.1136/bjo.66.10.680 

  12. Arch Ophthalmol Mintz-Hittner 118 1535 2000 10.1001/archopht.118.11.1535 

  13. J Korean Ophthalmol Soc Roh 34 1171 1993 

  14. Eye Woodruff 8 627 1994 10.1038/eye.1994.157 

  15. J AAPOS Kaye 6 289 2002 10.1067/mpa.2002.127920 

  16. J Korean Ophthalmol Soc Kim 48 411 2007 

  17. Am J Ophthalmol Copps 27 641 1944 10.1016/S0002-9394(44)91523-0 

  18. J AAPOS Hussein 8 429 2004 10.1016/j.jaapos.2003.09.005 

  19. Ophthalmology The Pediatric Eye Disease Investigator Group 110 2075 2003 10.1016/j.ophtha.2003.08.001 

  20. J Korean Ophthalmol Soc Rho 48 535 2007 

  21. Eur J Ophthalmol El-Ghrably 17 823 2007 10.1177/112067210701700522 

  22.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Beardsell 36 19 1999 10.3928/0191-3913-19990101-05 

  23. J Korean Ophthalmol Soc Park 32 802 1991 

  24. Trans Am Ophthalmol Soc Flynn 96 431 1998 

  25. J Korean Ophthalmol Soc Moon 39 185 1998 

  26. Indian J Ophthalmol Patwardhan 55 469 2007 10.4103/0301-4738.36488 

  27. Am J Ophthalmol Wu 141 175 2006 10.1016/j.ajo.2005.07.060 

  28. J AAPOS The Pediatric Eye Disease Investigator Group 9 129 2005 10.1016/j.jaapos.2004.1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