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관박쥐 망막의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 뮬러세포 동정
Localization of the Major Retinal Neurotransmitters and Receptors and Müller Glia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3, 2015년, pp.391 - 396  

이준석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경북대학교 첨단복합 생명과학인력 양성사업단)) ,  권오주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보건웰빙학부 안경광학과) ,  전태헌 (보스턴 트리니티 아카데미) ,  전창진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경북대학교 첨단복합 생명과학인력 양성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관박쥐 망막에서의 시각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관박쥐의 망막 내 글루타메이트${\gamma}$-aminobutyric acid (GABA), 아세틸콜린과 같은 중추신경계의 주요 신경전달물질수용체, 신경교세포인 뮬러세포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방법: 성체 한국관박쥐의 망막을 대상으로 하였다. 망막을 수직 절편한 다음, 표준면역세포화학법을 적용하였다.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면역형광이미지 내 면역반응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한국관박쥐의 망막에서 글루타메이트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들은 주로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였다. GABA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신경세포들은 내핵층에 주요하게 분포했으며, GABA의 수용체들은 내망상층에 존재하였다. 아세틸콜린의 면역반응성 신경세포들은 주로 내핵층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각각의 면역반응성들은 대부분 내망상층에 밀집해 있었다. 한국관박쥐의 망막에서 신경교세포 중 하나인 뮬러세포는 신경절 세포층에서 외핵층까지 길게 뻗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관박쥐의 망막에도 다른 포유동물의 망막에 있는 주요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 뮬러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한국관박쥐는 조직화된 망막 신경회로를 가지는 기능적 망막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ual system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by location analysis of some major neurotransmitters glutamat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cetylcholine, and their receptors, and $m{\ddo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관념적으로 박쥐는 시각적 기능이 발달되어 있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박쥐가 어두운 곳에 서식하는 생태적 특이성을 가지기 때문일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박쥐에게 다른 포유동물과 같은 시각계가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관박쥐의 망막을 대상으로 하여 표준면역세포화학법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관박쥐의 기능적인 측면을 연구하고자 중추신경계의 주요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 및 신경교세포의 분포를 연구하였다. 먼저, 중추신경계의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 γ-aminobutyric acid (GABA), 아세틸콜린에 대해 조사하였다.
  • [6] 이처럼 AII 무축삭 세포의 존재와 뚜렷한 형태학적 특징의 확인은 본 연구와 큰 연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관박쥐의 망막에 anti-glutamate 항체를 처리하였을 때 내망상층에 glutamate 면역반응성 세포를 확인하였으며, 이 세포는 원뿔세포 혹은 막대세포로부터 오는 신호를 받아들이는 양극세포로 추측된다. 이 같은 추측은 한국관박쥐의 망막에 원뿔세포 및 막대세포의 존재를 확인한 연구결과와[14] 종합하여 볼 때, 한국관박쥐는 외부의 빛을 광수용체 세포를 통해 감지하여 각각의 양극세포로 전달한 다음, AII 무축삭 세포들을 통하여 신경절 세포까지 전달되는 완전한 시신경 회로를 가지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신경세포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면서 신경세포를 도와주는 신경교세포인 뮬러세포의 존재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뮬러세포가 가지고 있는 신경섬유인 바이멘틴[11]을 표준면역세포화학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한국관박쥐의 시각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luorescence confocal micrograph of vertical vibratome sections through midperipheral bat retina immunolabeled with antibodies against GABAA receptors. (A) Strong punctate immunoreactivity is present in the IPL. (B) GABAA receptor-immunoreactive puncta were double labeled with SYTO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관박쥐의 망막에는 어떠한 망막세포들이 분포합니까? 한국관박쥐의 망막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관박쥐의 망막에는 광수용체세포,[5] AII 무축삭세포,[6] 신경절세포[7]와 같은 망막세포들이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관박쥐의 망막에는 원뿔세포의 시색소(photopigment)인 M (middle) opsin, L (long) opsin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8] 이는 한국관박쥐가 야행성동물이면서 주로 어두운 곳에 서식 함에도 불구하고 밝은 빛에서 색을 구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관 박쥐의 망막 내 글루타메이트에 대하여 면역반응을 가지는 세포들은 주로 어디에서 관찰되었습니까? 1에서는 한국관박쥐의 망막 내 글루타메이트에 대하여 면역반응을 가지는 세포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글루타메이트에 면역반응을 띄는 신경세포들은 주로 신경절세포층(ganglion cell layer, GCL)에서 비교적 큰 크기의 세포체로써 관찰되었으며, 내핵층(inner nuclear layer, INL)에서도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세포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한국관박쥐의 망막에도 다른 척추동물의 망막에서와 같이 양극세포와 신경절세포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유동물 중에 박쥐만 지닌 유일한 능력은 무엇입니까? 박쥐는 새와 같은 비행능력을 가진 유일한 포유동물이다. 이들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비행하며, 조류보다도 뛰어난 방향선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ones G, Rayner JNV. Foraging behavior and echolocation of wild horseshoe bats Rhinolophus ferrumequinum and R. hipposideros (Chiroptera, Rhinolophidae). Behav Ecol Sociobiol. 1989;25(3):183-191. 

  2. Ransome RD. The distribution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ferrumequinum, during hibernation,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J Zool. 1968;154(1):77-112. 

  3. Ransome RD, Hutson AM. Action plan for the conservation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in Europe (Rhinolophus ferrumequinum). Nature and Environment. 2000;109:7-52. 

  4. Winter Y, Lpez J, von Helversen O. Ultraviolet vision in a bat. NATURE. 2003;425:612-614. 

  5. Kim TJ, Jeon YK, Lee JY, Lee ES, Jeon CJ. The photoreceptor populations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Mol Cells. 2008;26(4):373-379. 

  6. Jeon YK, Kim TJ, Lee JY, Choi JS, Jeon CJ. AII amacrine cells in the inner nuclear layer of bat retina: identification by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Neuroreport. 2007;18(11):1095-1112. 

  7. Jeon YK, Kim TJ, Lee ES, Joo YR, Jeon CJ. Distribution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retinal ganglion cells in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Journal of Life Science. 2007;17(8):1068-1074. 

  8. Jeon YK, Joo YR, Ye EA, Kim MS, Jeon CJ. Histochemocal analysis of the cone cells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2):187-191. 

  9. Kwon OJ, Jeon CJ. Distribution of Glutamate Receptors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3):413-418. 

  10. Massey SC, Maguire G. The role of glutamate in retinal circuitry. In: Wheal H, Thomson A. (Eds.), Excitatory Amino Acids and Synaptic Transmission. Academic Press. 1995;201-221. 

  11. Jeon CJ, Masland RH. Selective accumulation of diamidino yellow and chromomycin A3 by retinal glial cells. J Histochem Cytochem. 1993;41(11):1651-1658. 

  12. Jeon CJ, Strettoi E, Masland RH. The major cell populations of the mouse retina. J Neurosci. 1998;18(21):8936-8946. 

  13. Massey SC. Cell types using glutamate as a neurotrans-mitter in the vertebrate retina. Prog Retinal Res. 1990;9:399-425. 

  14. Kim TJ, Jeon YK, Lee JY, Lee ES, Jeon CJ. The photoreceptor populations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Mol Cells. 2008;26(4):373-379. 

  15. Marc RE, Murry RF, Basinger SF. Pattern recognition of amino acid signatures in retinal neurons. J Neurosci. 1995; 15(7):5106-5129. 

  16. Reichenbach A, Robinson SR. The involvement of Muller cells in the outer retina. In: Djamgoz MBA, Archer SN, Vallerga S, editors. Neurobiology and clinical aspects of the outer retina, London: Chapman & Hall, 1995;395-416. 

  17. Chun MH, Han SH, Chung JW, Wassle H.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of the rod pathway of the rat retina. J Comp Neurol. 1993;332(4):421-432. 

  18. Dacheux RF, Raviola E. The rod pathway in the rabbit retina: a depolarizing bipolar and amacrine cell. J Neurosci. 1986;6(2):331-345. 

  19. Famiglietti EV, Kolb H. A bistratified amacrine cell and synaptic cirucitry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of the retina. Brain Res. 1975;84(2):293-300. 

  20. Masland RH. The many roles of starburst amacrine cells. Trends Neurosci. 2005;28(8):395-396. 

  21. Briggman KL, Helmstaedter M, Denk W. Wiring specificity in the direction-selectivity circuit of the retina. Nature. 2011;471(7337):183-1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