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해행위에 의해 마쳐진 가등기를 이전하는 부기등기와 수익자의 지위 및 위법한 경정등기의 효력 -대법원 2015. 5. 21. 선고 2012다952 판결-
Beneficiary Status according to Registration by Fraudulent Act and Effects of Illegally Revision Registr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9, 2015년, pp.126 - 133  

김건호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록

종래의 판례에 의하면 사해행위인 매매예약을 원인으로 가등기를 마친 수익자가 그 정을 모르는 제3자에게 가등기에 의한 권리를 양도한 후 가등기 이전의 부기등기를 마치게 해 주고, 그 제3자가 그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를 마친 경우에 있어서 수익자는 가등기말소등기 청구소송의 상대방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 그 결과 수익자의 원상회복의무의 면탈 행위를 용이하게 해 줄 수 우려가 항존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대상판결이 종래의 견해를 변경하여 수익자에게 피고적격을 인정함으로써 수익자를 상대로 사해행위인 매매예약의 취소를 청구할 수 있다고 판시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판결이 등기 명의인의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 위법한 경정등기가 마쳐졌다 하더라도, 그것이 일단 마쳐져서 경정 후의 명의자의 권리관계를 표상하는 결과에 이르렀고 그 등기가 실체관계에도 부합하는 것이라면 그 등기는 유효하다는 입장에서 경전 전 등기명의인의 권리관계가 소급적으로 소멸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 사건 매매예약에 관한 사해행위 취소권자인 원고에 대하여 여전히 수익자의 지위에 있어 이들에게 사해행위 취소소송의 피고 적격이 있다고 판시한 것 역시 의미가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recedent, if a beneficiary who completed a provisional registration as a result of reservation of trade which is a fraudulent act, then assigned the right acquired by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to the third party who has no information of the process, and let the th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래에서는 위와 같은 판시의 대상이 된 사건의 개요와 원심판결 및 대상판결의 요지를 간략히 소개함과 아울러 대상판결의 판시사항이 함축하고 있는 내용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곽윤직, 물권법, 서울: 박영사, 2013. 

  2. 오경조, 신부동산등기법강의, 서울: 법률 & 출판, 2011. 

  3. 이순동, 채권자취소권, 육법사, 2010. 

  4. 이정민, "등기원인의 경정을 구하는 소의 적법여부", 대법원 판례 해설집, 제95권, pp.603-620, 2013. 

  5. 최창렬, "채권자 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법률행위에 관한 고찰", 성신법학, 제1권, pp.127-150, 2001. 

  6. 김시승, "가등기의 사회적작용 및 법률관계", 재판자료집, 제12권, pp.37-91, 1982. 

  7. 한국현, "채권자취소권의 법적 성질," 민사법연구, 제12권, 제2호, pp.127-230, 2004. 

  8. 강세빈,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에 따른 원상회복 방법: 원물반환 또는 가액배상의 구별을 중심으로", 재판실무연구, pp.177-206, 2009. 

  9. 윤경, "사해행위취소와 가액배상", 저스티스, 제34권, 제5호, pp.114-168, 2001. 

  10. 김정도, "사해행위취소에 있어서 가액배상의 범위", 재판과 판례, 제13권, pp.299-336, 2005. 

  11. 조남대,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으로서의 사해행위에 관한 고찰", 사법논집, 제28권, pp.561-621, 1997. 

  12. 김종호, "부기등기의 법률관계", 경영법무, 제77권, pp.48-52, 2000. 

  13. 조해근, "통정허위표시에 의한 가등기 등에 대한 말소청구소송", 청연논총, 제6권, pp.87-134, 2009. 

  14. 곽종훈, "가등기이전의 부기등기", 윤관 대법원장 퇴임기념 자료집, pp.524-526, 1999. 

  15. 김주수, (논점)민법판례연습; 물권법, 서울: 삼영사, 1999. 

  16. 김정수, "가등기상의 권리의 처분과 등기", 경성법학, 제9권, pp.15-34, 2000. 

  17. 박찬주, "이행의 소에서의 당사자적격", 한국민사소송법학회지, 제14권, 제2호, pp.348-405, 2010. 

  18. 김봉섭, "권리경정등기의 허용과 한계", 한.일 등기관 상호연수 자료집, pp.113-130, 2010. 

  19. 조의연, "등기명의인 표시변경등기에 관한 실무상 몇 가지 문제점", 청연논총, 제7권, pp.141-183, 2010. 

  20. 박종렬, "부동산 이중매매와 그 예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325-33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