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선행학습경험과 대학수학교과성적 및 대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 of colleg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9 no.3, 2015년, pp.423 - 439  

이경희 (대진대학교) ,  이정례 (대진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에서의 대학수학교과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를 보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수학교과 학업능력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교과성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A대학교 2014학년 1학기에 개설된 '기초미적분학'을 수강한 이과대학 및 공과대학 신입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성적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 대학생의 90% 이상이 고등학교 재학 시 수학교과 선행학습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선행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교과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내신등급과 대학학업성취도 간 및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수학교과성적 간에는 미미한 수준의 상관관계만 있었다. 넷째, 고교성적(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the high school records, mathematics grade in the KSAT(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grade point average) of college freshmen. It analyses how much mathematics capacities in the time of high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대학수학교과 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성적(내신 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교과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대학수학교과 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성적(내신 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교과성적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대학 신입생의 선행학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선행학습의 효과성 인식 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학습이란 무엇인가? 즉, ‘선행교육’이란 교육관련기관이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따라 교육부장관이 정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육감이 정한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과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1항에 근거하여 편성・운영되는 단위학교 교육과정에 앞서서 편성 또는 제공하는 교육 일반이라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2조의 2). 반면, ‘선행학습’이란 학습자가 국가교육과정, 시・도 교육과정 및 학교교육과정에 앞서서 하는 학습을 말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동법 제2조의 3).
수학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의 특성은 어떠한가? 31로 평균 0점보다 높았으며, TIMSS에서 42개국을 대상으로 한 수학의 정의적 성취도 수준 역시 흥미 41위, 자신감 39위, 가치인식 39위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박선화, 2015). 즉,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는 탁월하지만 수학 학습동기나 수학에 대한 자아관련 신념 등 학습심리적 특성인 정의적 성취지수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많은 학생들이 수학 교과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고 수학 공부를 스스로의 동기에 의해서 한다기보다는 다른 요인들, 예를 들어 학교 수업과 성적을 위해 주어진 교육과정에 따라 타율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9%가 대학진학을 하는 우리나라(통계청, 2015)에서 원하는 대학과 원하는 학과 (전공)에 입학하기 위한 대학입학경쟁은 치열하다. 높은 대학입학경쟁은 사교육 시장과 공교육 기관에서의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초・중・고교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이 2014년 기준 68.6%이고, 1인 당 월평균 사교육비 역시 24만 2천원(통계청, 2015)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현실에서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태중 (2009). 고등학교 '평준화' 배정과 경쟁선발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9(2), 1-25(Gahng, T. J. (2009).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equalizing allocation and the competitive selection in high school admission on spending for private tutoring.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9(2), 1-25.) 

  2. 고정환.송준협 (2014). 입학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의 연관성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지, 25(6), 1475-1480.(Ko, J. H. & Song, J. H. (2014). Association analysis of admission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6), 1475-1480.) 

  3.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2013).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안 및 공교육 정상화 촉진에 관한 특별법안 검토 보고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The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2013). A review of report of enacting laws for prohibiting prior learning and promoting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The education,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mmittee in the national assembly.) 

  4. 교육부 (2015). 2014년도 사교육 실태조사.(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4 A survey of private learning.) 

  5. 김대석 (2010). 대입시 현황과 대학 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해서 본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Kim, D. S. (2011). A study on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based o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college drop-out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6. 김승옥.백은영.최혜미 (2013). 대입전형 사교육 영향 평가 연구. 고려대학교 입학사정실.(Kim, S. O., Baik, E. Y., & Choi, H. M. (2013). A study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on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for college entrance. The office for admissions officer in the Korea University.) 

  7. 김정민.김정숙.김일혁 (2014). 선행학습 유발요인 분석을 통한 학교교육 개선 방향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20(2), 135-166.(Kim, J. M., Kim, J. S., & Kim, I. H. (2014). Exploration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schooling on the analysis of factors inducing prior learning. The Korean Educational Review, 20(2), 135-166.) 

  8. 김준엽.박인용.시기자 (2014). 학업성취변화에 기초한 학교내 성취격차 해소 요인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 제6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자료 분석 심포지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4-88-3, 3-37.(Kim, J. Y., Park. I. Y., & Shi, G. J. (2014). A research of factors to solve the performance in school based upon the changes of academic achievement. In KICE(2014). The sixth symposium for analysing materials to evaluate academic achievements at the national level. KICE ORM 2014-88-3, 3-37.) 

  9. 김춘진 (2012). "전국 17개 사교육과열지구 선행학습실태 조사결과." '선행학습 금지법 제정' 위한 제 5차 토론회 자료집. 사교육걱정없는 세상 심포지움.(Kim, C. J. (2012). The results investigating the condition of prior learning in the 17 overheated private education regions. In The fifth forum for enacting a law to prohibit prior learning. A symposium for the world free from cares about private education.) 

  10. 김현철 (2005). 대학생의 학업성취(II): 학업성취도에 대한 새로운 예측변수의 탐색. 한국교육, 32(2), 247-274.(Kim, H. C. (2005). Exploring new explanation variables for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2), 247-274.) 

  11. 김현철.윤유진 (2012). 선행학습실태 및 학습부담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교육정책중점 연구소(Kim, H. C. & Yoon, Y. J. (2012).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ior learning and heavy burden of learn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private education research center.) 

  12. 김혜숙.한대동.남현숙 (2012). 중학생의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 연구, 19(1). 251-278.(Kim, H. S., Hahn, D. D., & Nam, H. S. (2012). A qualitativ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1). 251-278.) 

  13. 김희삼 (2009).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주는 학교특성의 분석. 노동경제논집, 32(3), 27-59.(Kim, H. S. (2009). The effects if school characteristics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32(3), 27-59.) 

  14. 박선화 (2015). 중학생의 수학.과학 정의적 특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KICE 교육광장 2015 봄호(55), 32-35(Park, S. H. (2015). Program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and science. KICE Education Square, 2015 Spring(55). 32-35.) 

  15. 박현정.상경아.강주연 (2008).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평가연구, 21(4), 107-127.(Park, H. J., Sang, K. A., & Kang, J. Y. (2008).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21(4), 107-127.) 

  16. 사교육걱정없는세상 (2012). 선행학습실태 전국조사결과 발표와 유발 원인 해소를 위한 제도적 대책. '선행학습 금지법 제정' 위한 제 5차 토론회 자료집.(The world free from cares about private education(2012). The announcement of national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condition of prior learning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solve inducing factors. In The fifth forum for 'enacting a law to prohibit prior learning'.) 

  17. 성낙일.홍성우 (2008). 우리나라 사교육비 결정요인 및 경감대책에 대한 실증분석. 응용경제, 10(3), 183-212.(Sung, N. I. & Hong, S. W.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korean household expenditure for private tutoring.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10(3), 183-212.) 

  18. 신종호 (2008). 학부모 개입정도에 따른 사교육 효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Shin, J. H. (2008). The analysis an effect of private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tents of parents' interventi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 신혜원.장경호 (2013). 대학입시전형요소가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시민교육연구, 45(1), 27-41(Shin, H. W. & Jang, K. H. (2013). The effects of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on private education.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45(1), 27-41) 

  20. 안상진 (2014). 선행학습의 실태와 원인. 제 1차 '공교육 정상화' 정책 포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4-50, 3-19.(An, S. J. (2014). The actual conditions and causes of prior learning. The 1st policy forum for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s ORM 2014-50, 3-19.) 

  21. 양정호 (2003). 중학생의 과외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 TIMSS-R의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 분석. 한국교육, 30(2), 261-283(Yang, J. H. (2003). Mathematics private tutor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 HGLM analysis of TIMSS-R.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0(2), 261-283.) 

  22. 윤유진 (2014). '공교육정상화법'의 제정 취지와 배경. 제 1차 '공교육 정상화' 정책 포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4-50, 23-37.(Yoon, Y. J. (2014). The purport and background to enact a law for normalizing pullic education. The 1st policy forum for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s ORM 2014-50, 23-37.) 

  23. 이경희.권혁홍 (2013). 공과대학 신입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수학기초학력평가성적 및 대학수학학업성취도관계 연구. 공학교육연구, 16(1), 52-63.(Lee, G. H. & Kwon. H. H. (2013). A study of rlationship between SDLR, the sore of mathematics diagnostic assesment and achievement in college mathematics of engineering student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1), 52-63.) 

  24. 이수정 (2007). 명문대 중심 대입관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계 분석: 사교육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적 접근. 교육행정학연구, 25(4), 455-484.(Lee, S. J. (2007). An socio-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cause of shadow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5(4), 455-484.) 

  25. 이정례.이경희 (2011).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성적의 관계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E, , 25(4), 629-640.(Lee, J. R. & Lee, G. H. (2011).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and scholastic aptitude test.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4), 629-640.) 

  26. 이종태.김양분.이인효.윤초희.성기선.김미숙.허순영.김성식.조옥경 (2002). 선행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Lee, J. T., Kim, Y. B., Lee, I. H., Yoon, C. H., Sung, G. S., Kim, M. S., Huh, S. Y., Kim, S. S., & Cho, O. K.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prior learning.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7. 이주호.홍성창 (2001). 학교 대 과외: 한국 교육의 선택과 형평. 경제학 연구, 49(1), 37-56(Lee, J. H. & Hong, S. C. (2001). Schooling versus private tutoring: Choices and equity in korean education. The Korean Economic Review, 49(1), 37-56) 

  28. 이호준.강수진.조남정.김희은 (2014). 입학사정관 전형의 사교육 영향평가 연구. 사회과학논총, 29(1), 169-192(Lee, H. J., Kang, S. J., Jo, N. J., & Kim, H. E. (2013). A study on the impact to private education of admission officer system. Journal of Social Sciences, 29(1), 169-192.) 

  29. 임천순.우명숙.채재은 (2008). 사교육 수요분석: 학습보충론과 미래투자론. 교육재정경제연구, 17(2), 1-27.(Ihm, C. S., Woo, M. S., & Chae, J. E. (2008). An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demand in Korea: Learning supplement and strategic investment.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17(2), 1-27.) 

  30. 지은림 (2001). 대학입학전형의 다양화를 위한 전형자료들의 예측타당도 평가. 교육평가연구, 14(2), 155-172.(Chi, E. L. (2001). Evaluating the predictive validity of various college admission material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4(2), 155-172.) 

  31. 최정윤.채재은.장민정 (2013). OECD 고등교육 학습성과 평가사업 연구(V): 2009-2013 실행 가능성 평가 종합.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3-21.(Chai, J. Y., Chae, J. E., & Jang, M. J. (2013). OECD AHELO project in Korea(V): AHELO feasibility study from 2009 to 2013.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R 2013-21.) 

  32. 통계청 (2015). 사교육비 조사결과 보도자료 2015.3.19. http://kostat.go.kr(Statistics Korea (2015). Research results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Research result reporting data 2015.3.19. http://kostat.go.kr.)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PISA 2012 결과 발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도자료. 2013.12.3.(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3). PISA 2012 results announced.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porting Data. 2013.12.3.) 

  34. Bray, M. (2009). Confronting the shadow education system: What government policies for private tutoring? 한국교육개발원(역)(2010). 세계 여러 나라의 사교육: 주요 국가의 사교육 대책, 구조와 논리.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