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WAT모형과 CMIP5 자료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기후변화 영향 평가
Assessing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the SWAT model and CMIP5 GCM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7 no.5, 2015년, pp.1 - 12  

조재필 (Climate Research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  황세운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Gyeongsng National University) ,  고광돈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Division,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김광용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Rural Research Institute) ,  김정대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Rural Research Institute)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project inflows and demmands for the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s in South Korea considering a varie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uncertainty of future climate information. The study bias-corrected and spatially downscaled retrospective daily Global Climate Model (G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토지이용도의 경우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2007년 중분류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는데 논의 경우 저수지 물수지 분석을 위해서 필요한 관개 지역만을 구분하는데 제한적이다. 따라서 저수지별 관개지역의 공간 분포는 농어촌공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설별 수혜지구 지번과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지적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Fig.
  • 본 연구는 최신 IPCC 5차 보고서에 사용된 RCP 시나리오 기반 일 단위 9개 GCM 자료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 가능량 및 관개지구의 용수 수요량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의사결정을 위한 불확실성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대표 저수지에 대하여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의 미계측 유역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과거기간 및 미래기간에 대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재현성 및 불확실성을 각각 평가한 후 전체 58개 대상 저수지에 대한 기후변화에 따른 상류 유입량과 관개 필요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SWAT모형의 미계측 유역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관측 자료가 있는 5개 대표 유역을 대상으로 관측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매개변수 보정 없이 모형을 적용한 후 저수지 하류에 위치해 있는 유량 관측지점의 실측 자료와 비교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해 58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생산된 미래 기후정보를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상류 유입량과 관개 필요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대상 저수지의 선정은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3,372개 저수지 중에서 한발빈도가 10년이며, 농어촌공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수지별 수혜면적 및 상류유역면적 정보와 GIS 공간분석을 통해 산출한 면적 오차가 ±10% 내외인 저수지 중에서 SWAT적용이 가능한 58개의 저수지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미계측 유역 특성을 고려하여, 58개 저수지 중 저수지 유역 하류에 유량관측소가 있는 금광, 하곡, 지소, 적량, 금전 저수지 유역을 대표 저수지 유역으로 선정하여 보정 (Calibration) 과정을 거치지 않은 SWAT 모형의미계측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SWAT입력자료 구축에 필요한 공간정보로는 토양도의 경우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정밀토양도와 DEM의 경우는 30m 격자 크기의 AS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ap (http://asterweb.
  • 과거기간은 현재 시점 대신 CMIP5에서 상호 비교를 목적으로 결정된 2005년까지를 선정하였으며 미래기간은 자료가 존재하는 2100년 대신 2040년까지의 기간만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있어서 GCM의 선정에 따라 발생하는 높은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것이다. Oh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래 기후정보 자료는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미래 기후정보 자료는 CMIP5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를 통해 공개된 RCP 시나리오 기반 9개 GCM C출물을 Earth System Grid Federation (ESGF, http://pcmdi9.llnl.gov/esgf-web-fe/)을 통해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CMIP5는 다양한 GCM결과를 비교· 평가하는 세계 기후 연구 프로그램 (WCRP, World Climate Research Programme)의 일환으로 전 세계 30여개의 기후모델링 그룹이 참여하여GCM 모델링의 장기 미래기후 예측에 대한 성능과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모델 결과물을 국제적으로 공유하여 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축적하는데 목적을 둔 프로젝트이다.
비모수적 분위사상법은 모수적 기법에 비해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과거기간에 대한 GCM 모의 결과의 계통오차를 동일 기간의 관측자료의 확률 분포와 비교하는 비모수적 분위사상법 (Non-parametric Quantile Mapping Method)을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비모수적 분위사상법은 확률분포함수 없이 모의 및 관측 자료의 실제 분포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모수적 기법에 비해 용이하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Gudmundsson, 2012). 일 단위 GCM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시간적 상세화 절차는 필요 없으며, GCM 격자 자료를 76 곳의 종관기상관측시스템(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에 대하여 편이보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관측지점의 공간적인 기후특성을 반영한 시나리오 상세화 자료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자가 토지피복 예측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선정한 기간은? 하지만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토지피복 예측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최종 분석 결과가 기후변화에 의한 것인지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것인지 구분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토지이용 변화가 적을 것으로 기대되는 2040년까지의 기간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T. J., D. H. Cho, S. H. Lee, G. W. Choi, and Y. N. Yoon, 2004. Evaluation of the effective storage of existing agricultural reservoi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5): 353-361 (in Korean). 

  2. Arnold, J. G., R. Srinivasan, R. S. Muttiah, and J. R. Williams, 1998. Large-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 Amer.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73-89. 

  3. Nam, W. H., E. M. Hong, T. Kim, and J. Y. Choi, 2014. Projection of future water supply sustainabi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RCP climate change c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6(4): 59-68 (in Korean). 

  4. Cho, J., 2013.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for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uncertainty. Research report, APEC Climate Center, Busan, Republic of Korea (in Korean). 

  5. De Silva, C. S., E. K. Weatherhead, J. W. Knox, and J. A. Rodriguez-Diaz, 2007. Predict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A case study of paddy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in Sri Lank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93: 19-29. 

  6. Chung S. O., 2009a. Climate change impacts on paddy irrigation requirement in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2): 35-41 (in Korean). 

  7. Chung S. O., 2009b. Prediction of paddy irrigation demand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outpu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4): 7-13 (in Korean). 

  8. Cheong T. S., S, U. Kang, M. H. Hwang, and I. H. Ko,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servoir operation rules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Geum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4): 433-444 (in Korean). 

  9. Fischer, G., F. N. Tubiello, H. Van Velthuizen, and D. A. Wiberg, 2007. Climate change impacts o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effects of mitigation, 1990-2080.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4: 1083-1107. 

  10. Hwang, S. W, 2014a.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CMIP5 GCMs for various climatic elements and indicators over the southeast U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11): 1039-1050 (in Korean). 

  11. Hwang, S. W, 2014b. Summary and inter-comparison of GHG scenarios and the results of climate change forecasts in the IPCC Assessment Reports. Rural Resources 56(2): 26-32 (in Korean). 

  12. Hwang, S. W., and Kang, M. S, 2013. The methodologies of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uncertainty in each procedure. Rural Resources 55(1): 30-39 (in Korean). 

  13. Im, S. J., K. M. Brannan, S. Mostaghimi, and J. Cho, 2004. Simulating fecal coliform bacteria loading from an urbanizing watershe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PartAToxic /Hazardous Substances & Environmental Engineering 39(3): 663-679. 

  14. Kang, M. G., J. H. Lee, and K. W. Park, 2013. Parameter regionalization of a TANK model for simulating runoffs from ungauged watershe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5): 519-530 (in Korean). 

  15. Kim H. Y., and S. W. Park, 1988. Simulating daily inflow and release rates for irrigation reservoirs(I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0(3): 95-105 (in Korean). 

  16. Kim, C. G., and N. W. Kim, 2012. Comparison of natural flow estimates for the Han river basin using TANK and SWAT model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3): 301-316 (in Korean). 

  17. Lee Y. J., M. J. Park, K. W. Park, and S. J. Kim, 2008. Analysis of hydrologic behavior including agricultural reservoir operation using SWAT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1): 20-30 (in Korean). 

  18. Oh, Y. G., S. H. Yoo, S. H. Lee, N. Y. Park, J. Y. Choi, and D. K. Yun, 2012. Prediction of land-cover change and analysis of paddy fields change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A1B) in agricultural reservoir watershe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2): 77-86 (in Korean). 

  19. Park, G. A., S.-R. Anh, Y.-J. Lee, H.-j. Shin, M.-J. Park, and S.-J. Kim,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inflow and outflow of two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52(5): 1869-1883. 

  20. Park, J., M. S. Kang, I. Song, S. H. Hwang, and J. H. Song, 2013. Development of IDF curve based on RCP4.5 scenario for 30-reservoir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3(6): 145-159 (in Korean). 

  21.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https://rawris.ekr.or.kr/. 

  22. Rural Research Institute (RRI), 2011. A study on the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al water. Korean Rural Community Corporation, Republic of Korea (in Korean). 

  23. Rural Research Institute (RRI), 2013. Saemangeum basin modeling study considering futur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mechanism. Korean Rural Community Corporation, Republic of Korea (in Korean). 

  24. Tebaldi, C. and R. Knutti, 2007. The use of the multi-model ensemble in probabilistic climate projection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365: 2053-2075. 

  25. Yun D. H., S. O. Chumg, and S. J. Kim, 2011. Climate change impacts on paddy water requir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4): 39-4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