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극한호우사상이 소양강댐 유역의 유량 및 유사량에 미치는 영향
Potential Impacts of Future Extreme Storm Events on Streamflow and Sediment in Soyang-dam Watershed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3 no.2, 2017년, pp.160 - 169  

한정호 (강원대학교 지역걸설공학과) ,  이동준 (강원대학교 지역걸설공학과) ,  강부식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정세웅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장원석 ,  임경재 (강원대학교 지역걸설공학과) ,  김종건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changes in future rainfall patterns in the Soyang-dam watershed according to the RCP 4.5 scenario of climate change. Second objective is to project peak flow and hourly sediment simulated for the future extreme rainfall events using the SWAT model. For t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1) 소양강댐 유역의 미래 강수 패턴 변화를 분석하고, 2)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대규모 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시단위 모의 기능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3) 이를 이용해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호우사상에 대한 유량과 유사량을 전망하여 장기적인 미래 댐운영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의 시단위 모의를 위해 소양강댐 유역 내 위치한 인제 기상관측소 자료를 수집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다. 기상자료 수집 기간은 모델 안정화 기간(warm-up)을 고려하여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소양강댐 유역에서 발생했던 가장 극심한 극한호우사상을 선정하고, 선정된 극한호우사상이 발생한 연도에 대해 대규모 유역(소양강댐 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시단위 모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미래 소양강댐 유역의 강수 패턴 변화를 분석한 후, 전체 분석 기간 중에서 발생한 상위 5개 극한호우사상을 선정하여 해당 극한호우사상에 따른 첨두유출량과 유사량을 모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AT 모형은 어디서 만들었는가? SWAT 모형은 미국 농무성(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al, USDA) 농업연구소(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에서 개발된 준분포형 유역단위 수문모형이다(Arnold, 1992; Arnold et al., 1998).
2060년까지 일어난 5개 극한호우사상에 대한 첨두유출량 및 유사량을 SWAT 모형과 유량-SS 관계식으로 모의 한 결과는? 3) 2060년까지 발생된 극한호우사상 중 규모가 가장 큰 극한호우사상 5개를 선정하고, SWAT 모형과 유량-SS 관계식을 이용하여 5개 극한호우사상에 대한 첨두유출량 및 유사량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가장 큰 첨두유출량은 2006년 태풍 에위니아로 인해 발생했던 시간당 최대 첨두유출량의 약 1.9배인 19,130 m3 /sec, 시간당 최대 유 사량의 약 2.3배인 5,607 mg/l로 모의되었다
SWAT 모형의 입력 자료는 무엇인가? SWAT 모형은 다양한 토양과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장기간에 대한 유역단위 유출 및 수질 모의가 가능하다. SWAT 모형의 입력 자료는 크게 기상자료와 지형자료가 있으며, 기상자료에는 강수량,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가 필요하며, 지형자료에는 수치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DEM), 토지이용도, 토양도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dulla, F., Eshtawi, T., and Assaf, H. (2009). Assessment of the Impact of Potential Climate Change on the Water Balance of a Semi-arid Watersh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23(10), 2051-2068. 

  2. Ahn, S. R., Park, G. A., Jang, C. H., and Kim, S. J. (2013).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in a Mixed Forest Catchment Using Spatially Calibrated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6), 569-583. [Korean Literature] 

  3. Arnold, J. G. (1992). Spatial Scale Variability in Model Development and Parameterization, Ph. D.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IN, U.S. 

  4. Arnold, J. G., Srinivasan, R., Muttiah, R. S., and Williams, J. R.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73-89. 

  5. Beyene, T., Lettenmaier, D. P., and Kabat, P. (2010). Hydrologic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Nile River Basin: Implications of the 2007 IPCC scenarios, Climatic Change, 100(3-4), 433-461. 

  6. Choi, Y., Kim, M. G., Kim, Y. J., and Park, C. (2011).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1954-2010: Their Magnitude, Frequency, and Percent to Total Precipitat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6(1), 45-58. [Korean Literature] 

  7. Chung, I. W., Eum, H. I., Kim, O. Y., and Lee, E. J. (2015). Generation of MME Climate and High Resolution Mdium and Long Term Hydrology Scenario based on AR5 RCP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Water for future,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8(5), 10-16. [Korean Literature] 

  8. Chung, S. W., Lee, J. H., Lee, H. S., and Jin, M. S. (2011). Uncertainty of Discharge-SS Relationship Used for Turbid Flow Model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12), 991-1000. [Korean Literature] 

  9. Cuo, L., Lettenmaier, D. P., Alberti, M., and Richey, J. E. (2009). Effects of a Century of Land Cover and Climate Change on the Hydrology of the Puget Sound basin, Hydrological Processes, 23(6), 907-933. 

  10. Huff, F. 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 Water Resources Research, 3(4), 1007-1019. 

  11. Jang, S. S., Ahn, S. R., Choi, J. D., and Kim, S. J. (2015). Hourly SWAT Watershed Modeling for Analyzing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1), 89-97. [Korean Literature] 

  12. Jang, S. S. and Kim, S. J. (2016). Comparison of Hourly and Daily SWAT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Runoff Simulation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5), 57-67. [Korean Literature] 

  13. Jeong, H. G., Kim, S. J., and Ha, R. (2013).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Storage Behavior of Chungju and the Regulation Dams Using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12), 1235-1247. [Korean Literature] 

  14. Jeong, J., Kannan, N., Arnold, J., Glick, R., Gosselink, L., and Srinivasan, R. (2010).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Subhourly Rainfall-runoff Modeling Capability within a Watershed Model, Water Resources Management, 24(15), 4505-4527. 

  15. Joo, J., Lee, J., Kim, J. H., Jun, H., and Jo, D. (2013). Interevent Time Definition Setting Procedure for Urban Drainage Systems, Water, 6(1), 45-58. 

  16. Kim, S. Y. (2015). Analysis of the Future Discharge in Soyang River Dam Watershed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17. Kwon, H. H., Sivakumar, B., Moon, Y. I., and Kim, B. S. (2011). Assessment of Change in Design Flood Frequency under Climate Change using a Multivariate Downscaling Model and a Precipitation-runoff Model,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25, 567-581. 

  18. Lee, M. H., So, J. M. and Bae, D. H. (2016).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uncertainty assessment method for projecting the water resourc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9(8), pp. 657-671. [Korean Literature] 

  19. Lee, J. Y. (2008). A Hydrological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Turbid Water in Soyang River and Its Mitigation,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3(6), pp. 85-92. [Korean Literature] 

  20. Maharjan, G. R., Park, Y. S., Kim, N. W., Shin, D. S., Choi, J. W., Hyun, G. W., Jeon, J. H., OK, Y. S., and Lim, K. J. (2013). Evaluation of SWAT Sub-daily Runoff Estimation at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in Korea, Frontier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7(1), 109-119. 

  21. Mein, R. G. and Larson, C. L. (1973). Modeling Infiltration during a Steady Rain, Water Resources Research, 9(2), 384-394. 

  22.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CT). (2000). Regional Temporal Distribution of Design Storm of Korea. 

  23.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2011). Design Flood Estimation Method. 

  2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2013). Design Flood Estimation Tips. [Korean Literature] 

  25. Neitsch, S. L., Williams, J. R., Arnold, J. G., and Kiniry, J. R. (201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9,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26. Park, K. W., Lee, J. J., Kwon, D. J., and Kim, J. H. (2014). A Comparative Study on Inflow Calculation of Soyanggangdam by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2014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985-986. [Korean Literature] 

  27. Ryu, J., Jang, W. S., Kim, J., Choi, J. D., Engle, B. A., Yang, J. E., and Lim, K. J. (2016). Development of a Watershed-Scale 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Model with the Asymptotic Curve Number Regression Equation, Water, 8(4), 153. 

  28. Ryu, J., Jang, W. S., Kim, J., Jung, Y., Engel, B. A., and Lim, K. J. (2016). Development of Field Pollutant Load Estimation Module and Linkage of QUAL2E with Watershed-Scale L-THIA ACN Model, Water, 8(7), 292. 

  29. Verma, S., Bhattarai, R., Bosch, N. S., Cooke, R. C., Kalita, P. K., and Markus, M. (2015). Climate Change Impacts on Flow, Sediment and Nutrient Export in a Great Lakes Watershed Using SWAT, CLEAN.Soil, Air, Water, 43(11), 1464-1474. 

  30. Warrick, J. A., Madej, M. A., Goni, M. A., and Wheatcroft, R. A. (2013). Trends in the Suspended-Sediment Yields of Coastal Rivers of Northern California, 1955-2010, Journal of Hydrology, 489, 108-123. 

  31. Yang, H. (2007). Water Balance Change of Watershed by Climate Change,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3), 405-420. [Korean Literature] 

  32. Yang, X., Liu, Q., He, Y., Luo, X., and Zhang, X. (2016). Comparison of Daily and Sub-daily SWAT Models for Daily Streamflow Simulation in the Upper Huai River Basin of China,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30(3), 959-972. 

  33. Yum, K. T., Ko, Y. S., Lee, P. J., and Kim, H. S. (2011). Current Status of Turbidity Reduction Planning in Soyanggang-dam, Water for future,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12), 93-9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