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부운동훈련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경부통증 수준, 우울 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Cervical Exercise Training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Cervical Pain Levels and Depression Factor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1 no.1, 2015년, pp.37 - 42  

박성두 (다사랑연합의원 재활슬링운동센터) ,  신영일 (한국복지대학교) ,  김명준 (경동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cervical musculoskeletal intervention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cervical pain levels and depression factor. Methods: Thrty neck pain patients diagnos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enrolled. Neck exercise training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대상의 치료들은 약물과 인지행동치료인 심리치료만으로 국한 되어 있고 신체적 증상의 치료는 운동을 이용한 중재로 호흡, 명상, 이완 운동으로 전신에 대한 중재가 대부분이었고, 심리사회적 문제인 우울, 불안과 함께 근골격계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경부의 문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대상에게 직접적인 도수 접촉은 외부압력이나 거부감을 가져 올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환자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경부운동 훈련을 통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대상자의 연구결과 대부분의 환자에게 어떠한 중상이 나타났는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극단적인 사건에 노출된 후에 오는 전반적인 불안장애로 1980년에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에 처음 소개되었으며(Asmundson 등, 2000), 이러한 대상자들의 연구결과 대부분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대상자의 뇌 단층촬영에서 감정과 공포를 조절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관장하는 대뇌의 전두엽과 측두엽 부분이 심하게 손상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Lanius 등, 2002).
신체적 치료로서 유산소 운동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군에게 시행시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신체적 치료로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운동을 통한 긍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로써 Diaz와 Motta(2008)는 유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대상에게 걷기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91%의 대상에게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Manger 등(2005)은 성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군에게 유산소운동을 시행하였고, Newman과 Motta(2007)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된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유산소운동을 8주간 시행하였을 때 운동초기에는 증상의 감소가 없었지만, 운동의 개입 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우울과 불안에서 상당한 감소를 보였고, Kim 등(2013)은 명상과 호흡운동을 8주간 시행하였을 때 정신질환 진단점수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 코티졸 수준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무엇인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극단적인 사건에 노출된 후에 오는 전반적인 불안장애로 1980년에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에 처음 소개되었으며(Asmundson 등, 2000), 이러한 대상자들의 연구결과 대부분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대상자의 뇌 단층촬영에서 감정과 공포를 조절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관장하는 대뇌의 전두엽과 측두엽 부분이 심하게 손상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Lanius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gaibi CE, Wilson JP. Trauma, PTSD, and resil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Trauma Violence Abuse. 2005;6(3):195-216. 

  2. Asmundson GJ, Frombach I, McQuaid J, et al. Dimensionality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DSM-IV symptom clusters and other symptom models. Behav Res Ther. 2000;38(2):203-214. 

  3. Bryant RA, Salmon K, Sinclair E,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appraisals in childhoo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 Res Ther. 2007;45(10): 2502-2507. 

  4. Dall'Alba, PT, Sterling MM, Treleaven JM, et al. Cervical range of motion discriminates between asymptomatic persons and those with whiplash. Spine. 2001;26(19):2090-2094. 

  5. Derogatis LR, Lipman RS, Rickels K, et al. The Hopkins Symptom Checklist (HSCL): A self-report symptom inventory. Behav Sci. 1974;19(1): 1-15. 

  6. Diaz AB, Motta R. The effects of an aerobic exercise program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severity in adolescents. Int J Emerg Ment Health. 2008;10(1):49-59. 

  7. Elhai JD, Grubaugh AL, Kashdan TB, et al. Empirical examination of a proposed refinement to DSM-IV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 criteria using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data. J Clin Psychiatry. 2008;69(4):597-602. 

  8. Hakkinen A, Salo P, Tarvainen U, et al. Effect of manual therapy and stretching on neck muscle strength and mobility in chronic neck pain. J Rehabil Med. 2007;39(7):575-579. 

  9. Hagg GM, Astrom A. Load pattern and pressure pain threshold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and psychosocial factors in medical secretaries with and without shoulder/neck disorder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1997;69(6):423-432. 

  10. Hakkinen A, Salo P, Tarvainen U, et al. Effect of manual therapy and stretching on neck muscle strength and mobility in chronic neck pain. J Rehabil Med. 2007;39(7):575-579. 

  11.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1979;41(3):209-218. 

  12. Kaaya SF, Fawzi M, Mbwambo J, et al. Validity of the Hopkins Symptom Checklist-25 amongst HIV-positive pregnant women in Tanzania. Acta Psychiatr Scand. 2002;106(1):9-19. 

  13. Kessler RC, Crum RM, Warner LA, et al. Lifetime co-occurrence of DSM-III-R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 Gen Psychiatry. 1997;54(3):313-321. 

  14. Kim SH, Schneider SM, Bevans M, et al. PTSD symptom reduction with mindfulness-based stretching and deep breathing exercis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efficacy. J Clin Endocrinol Metab. 2013;98(7):2984-2992. 

  15. Kirkesola G. Advanced musculoskeletal course. The s-e-t concept using the terapimaster system. Course Book. Norway. 2001. 

  16. Lanius RA, Williamson PC, Boksman KD, et al. Brain activation during script-driven imagery induced dissociative responses in PTSD: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vestigation. Biol psychiatry. 2002;52(4):305-311. 

  17. Manger TA, Motta RW. The impact of an exercise program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xiety, and depression. Int J Emerg Ment Health, 2005;7(1):43-57. 

  18. Michaels AJ, Michaels CE, Moon CH, et al. Psychosocial factors limit outcomes after trauma. J Trauma. 1998;44(4):644-648. 

  19. Newman CL, Motta RW.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childhood PTSD, anxiety, and depression. Int J Emerg Ment Health. 2007;9(2): 133-158. 

  20. Norris FH, Slone LB. The epidemiology of trauma and PTSD. Handbook of PTSD: Science and Practice. 78-98, 2007. 

  21. Reeves JL, Jaeger B, Graff-Radford SB. Reliability of the pressure algometer as a measure of myofascial trigger point sensitivity. Pain, 1986;24(3):313-321. 

  22. Sabin JA, Zatzick DF, Jurkovich G, et al. Primary care utilization and detection of emotional distress after adolescent traumatic injury: identifying an unmet need. Pediatrics. 2006;117(1):130-138. 

  23. Talvari A, Nemati N, Sini ZK, et al. The association of neck pai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in elderly. Procedia Soc Behav Sci. 2013;82:366-368. 

  24. Travell JG, and Simons DG.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Vol. 2.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2. 

  25. Ursano RJ, Fullerton CS, Epstein RS, et al. Acute and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motor vehicle accident victims. Am J Psychiatry. 1999;156(4):589-595. 

  26. Ylinen J, Takala EP, Nykanen M, et al. Active neck muscle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eck pain in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3;289(19):2509-25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