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령에 따른 VCV 문맥에서 한국어 폐쇄음의 성대진동개시시간
Effect of Age on the Voice Onset Time of Korean Stops in VCV context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3, 2015년, pp.37 - 44  

이슬기 (우송대학교) ,  이영미 (우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ge of Korean speakers, place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types on voice onset time (VOT) of stops. Twenty-five preschoolers, 25 schoolers, and 25 adults who had no history of speech and language impairment produced plosives in /VCV/ words in isol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연령대의 VOT값을 비교함으로써 아동이 성인의 수준의 조음 타이밍 조절과 협응에 도달하는 시기를 파악하는 것은 말 조절 타이밍 발달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연령(취학전 아동, 학령기 아동, 성인), 폐쇄음의 조음위치(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 및 발성유형(평음, 경음, 격음)이 VOT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 연구된 폐쇄음의 VOT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언어권에서 연구되어왔지만 한국어에서 다양한 연령에 따른 VOT값의 차이를 관찰한 연구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령, 목표 음소의 조음위치와 발성유형이 VOT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말 능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측정치에는 자음정확도(Percentage of Consonant Correct)가 있지만, 자음 정확도는 청지각 평가로 산출되는 지표로 아동의 내부 조음 타이밍 조절과 같은 정교한 운동 성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는 제한이 있다(Kim et al.
  • 이는 VOT값이 아동의 말 발달을 평가하고 연구하는데 객관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화자 관련 요인(speaker-related factor)과 비화자 관련 요인(nonspeaker-related factor)이 VOT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말 발달 측면에서 폐쇄음의 자질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노년층으로 VOT연구를 확대하여 노화로 인한 조음조절 능력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말 산출 메커니즘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겠다.
  • 본 연구에서는 VOT 측정에 대한 평가자 간 신뢰도와 평가자 내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평가자 간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석사 과정생 1명을 제2평가자로 참여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연령(취학전 아동, 학령기 아동, 성인), 폐쇄음의 조음위치(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 및 발성유형(평음, 경음, 격음)이 VOT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연령 집단에서는 취학전 아동의 VOT값이 성인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으며, 학령기 아동의 VOT값은 취학전 아동과 성인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기 아동과 성인과의 VOT값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취학전 아동과 성인과의 VOT값 차이는 유의한 반면에, 학령기 아동과 성인과의 VOT값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Lundeborg 외(2012)가 8~12세 아동과 30대 성인의 VOT값을 비교한 결과, 9세와 10세 아동의 폐쇄음 VOT값이 성인과 유사해졌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동시조음(coarticulation)과 같은 내부 조음 조절 능력이 학령기까지 발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Whiteside 외(2003)도 학령 전 아동 보다 학령기 아동의 VOT값이 짧은 이유에 대해서 사춘기 직전에 아동의 말 운동기술이 성숙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는 사춘기에 접어들면서 말 산출에 필요한 후두의 조절능력이 세련되어지고 말 운동 기술을 성인 수준만큼 습득하기 때문에, 학령기 아동과 성인 간의 VOT값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던 것으로 사료된다(Kent, 1976; Whiteside & Marshall, 2001; Whiteside et al., 2003).
성대진동개시시간이란 무엇인가? 성대진동개시시간(Voice Onset Time; VOT, 이하 VOT)은 폐쇄음 파열 이후부터 모음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구간이며, 폐쇄음의 유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신호이다(Duffy, 1995; Lisker & Abramson, 1964; 1967). 폐쇄음은 입술, 혀, 턱, 후두 사이의 세밀한 협응을 통해서 산출되기 때문에, 음성 제어 능력을 폐쇄음으로 VOT를 측정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Auzou et al.
음성 제어 능력을 폐쇄음으로 VOT를 측정할 수 있는 이유는? 성대진동개시시간(Voice Onset Time; VOT, 이하 VOT)은 폐쇄음 파열 이후부터 모음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구간이며, 폐쇄음의 유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신호이다(Duffy, 1995; Lisker & Abramson, 1964; 1967). 폐쇄음은 입술, 혀, 턱, 후두 사이의 세밀한 협응을 통해서 산출되기 때문에, 음성 제어 능력을 폐쇄음으로 VOT를 측정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Auzou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uzou, P., Ozsancak, C., Morris, R., Jan, M., Eustache, F., & Hannequin, D. (2000). Voice onset time in aphasia, apraxia of speech and dysarthria: a review.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Vol. 14, No. 2, 131-150. 

  2. Bona, J., & Auszmann, A. (2014). Voice onset time language acquisition: data from Hungarian. Proceedings for the 10th International Seminar on Speech Production(ISSP), Cologne, May 10, pp. 41-44. 

  3. Broersma, M. (2010). Korean lenis, fortis, and aspirated stops: Effect of place of articulation on acoustic realization. In Proceedings of the 11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Makuhari, Japan, September 26-30, pp. 941-944. 

  4. Chang, W., & Kim, K. (2009).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plosives produced by Chinese speakers. Linguistic Research, Vol. 26, No. 3, 91-109. (장우혁, 김길동 (2009). 중국어 화자가 발음한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학적 특성. 언어연구, 제26권, 제3호, 91-109.) 

  5. Chao, K., & Chen, L. (2008). A cross-linguistic study of voice onset time in stop consonant productions.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Chinese Language Processing, Vol. 13, N0. 2, 215-232. 

  6. Cho, T., & Ladefoged, P. (1999). Variation and universals in VOT: evidence from 18 languages. Journal of Phonetics, Vol. 27, No. 2, 207-229. 

  7. Cho, T., Jun, S. A., & Ladefoged, P. (2002). Acoustic and aerodynamic correlates of Korean stops and fricatives. Journal of Phonetics, Vol. 30, No. 2, 193-228. 

  8. Duffy, J. R. (1995).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St. Louis: Mosby-Year Book Inc. 

  9. Han, J. (2005). Acoustic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aspiration feature in Putonghua stops. Journal of Speech Sciences, Vol. 12, No. 3, 201-209. (한지연 (2005). Acoustic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aspiration feature in Putonghua stops. 음성과학, 제12권, 제3호, 201-209.) 

  10. Han, K. (2013). VOT in Korean stops: a comparison between Jeju and Daegu dialects. Journ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PNU) Humanities institute, Vol. 20, No. 75, 157-176. (한경임 (2013). 한국어 폐쇄음 VOT: 제주방언과 대구방언 비교.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제20권, 제75호, 157-176.) 

  11. Karlsson, F., Zetterholm, E., & Sullivan, K.P.H. (2004). Development of a gender difference in voice onset time. in Proceedings of the 10th Australi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 & Technology, Sydney, Australia, December 8-10, pp. 316-321. 

  12. Kent, R. D. (1976). Anatomical and neuromuscular maturation of the speech mechanism: evidence from acoustic studi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19, No. 3, 421-447. 

  13. Kim, H. (1997). Voice Onset Time(VOT) during Korean plosives production: a preliminary study on normal and apraxia of speech sub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Vol. 8, No. 1, 49-53. (김향희 (1997). 한국어 파열음상의 Voice Onset Time(VOT): 정상군과 언어실행증 환자비교에 대한 사전 연구.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제8권, 제1호, 49-53.) 

  14. Kim, M., Pae, S., & Park, C. (2007). 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Seoul: Hube R & C. (김민정, 배소영, 박창일 (2007). 아동용 발음평가. 서울: 휴브알엔씨.) 

  15. Kim, Y., Hong, K., Kim, K., Chang, H., & Lee, J. (2009).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6. Koenig, L. (2000). Laryngeal factors in voiceless consonant production in men, women, and 5-year-old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3, No. 5, 1211-1228. 

  17. Koenig, L., Lucero, J., & Lofqvist, A. (2003). Studying articulatory variability using functional data analysis. 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Barcelona, Spain, August 3-9, pp. 269-272. 

  18. Kummer, A. W. (2014). Cleft palate and craniofacial anomalies: effects on speech and resonance(3rd Ed.). NY: Cengage Learning. 

  19. Lee, S. (2013). Relationship betwee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ability of speech motor control by the articulatory severity of dysarthria.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이상은 (2013). 조음중증도에 따른 마비말장애인의 말 운동통제 능력과 말명료도의 상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Lee, S., & Iverson, G. K. (2008). Development of stop consonants in Korean. Korean Linguistics, Vol. 14, No. 1, 21-39. 

  21. Lei, L., & Kim, Y. (2011). The acoustic and phonetic study of Korean plosive produced by Chinese speakers.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Vol. 17, No. 2, 215-232. (레이레이, 김영주 (2011). 중국인 화자가 발화한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음성음운형태론연구, 제17집, 2호, 215-232.) 

  22. Lisker, L., & Abramson, A. S. (1964). A cross-language study of voicing in initial stops: acoustical measurements. Word, Vol. 20, No. 3, 384-422. 

  23. Lisker, L., & Abramson, A. S. (1967). Some effects of context on voice onset time in English stops. Language and Speech, Vol. 10, No. 1, 1-28. 

  24. Lundeborg, I., Larsson, M., Wiman, S., & McAllister, A. (2012). Voice onset time in Swedish children and adult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Vol. 37, No. 3, 117-122. 

  25. Pyo, H., Sim, H., Park, H., Choi, J., Choi, S., Ahn, S., & Choi, H. (1999).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raoral pressure, closure duration, and voice onset time(VOT) of Korean stop consonants. Journal of The Phonetic Society of Korea, Vol. 10, No. 1, 50-57. (표화영, 심현섭, 박헌이, 최재영, 최성희, 안성복, 최홍식 (1999). 한국어 파열자음의 인두내압, 폐쇄기 및 Voice Onset Time(VOT)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제10권, 제1호, 50-57.) 

  26. Rami, M. K., Kalinowski, J., Stuart, A., & Rastatter, M. P. (1999). Voice onset times and burst frequencies of four velar stop consonants in Gujarati.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106, No. 6, 3736-3738. 

  27. Reddy, B., Kumar, N., & Sreedevi, N. (2014). Voice onset time across gender and different vowel contexts in Telugu. Language in India, Vol. 14, No. 2, 252-263. 

  28. Robb, M., Gilbert, H., & Lerman, J. (2005). Influence of gender and environmental setting on voice onset time.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 57, No. 3, 252-133. 

  29. Stone, M., & Vatikiotis-Bateson, E. (1995). Trade-off in tongue, jaw, and plate contributions to speech production. Journal of Phonetics, Vol. 23, 81-100. 

  30. Shin, J. (2010). Understanding Speech Sounds. Seoul: Hankook mwunhwasa. (신지영 (2010). 말소리의 이해. 서울: 한국문화사.) 

  31. Whiteside, S. P., Dobbin, R., & Henry, L. (2003). Patterns of variability in voice onset time: a developmental study of motor speech skills in humans. Neuroscience Letter, Vol. 347, No. 1, 29-32. 

  32. Whiteside, S. P., & Marshall, J. (2001). Developmental trends in voice onset time: some evidence for sex differences. Phonetica, Vol. 58, No. 3, 196-210. 

  33. Yoon, G. (2008). What factors influence VOT? : a comparative study of English, Japanese, and Korean. Journal of the Humanities, Vol. 31, 225-251. (윤관희 (2008). What factors influence VOT? : a comparative study of English, Japanese, and Korean. 인문과학연구, 제31권, 225-2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