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두보정기법이 노인성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KLCT® for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Presbyphonia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3, 2015년, pp.183 - 191  

김성태 (동신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e therapeutic methods between vocal function exercise(VFE), which has been used for the patients with presbyphonia in the precedent studies and laryngeal calibration technique($SKLCT^{(R)}$), which is designed by the author. We identified 58 pati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음향학적 측정치들을 치료 전후 평가하여 음질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들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KLCT®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객관적인 음질을 반영하는 지표인 Jitter, Shimmer, NHR이 치료 전에 비해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성 음성장애 환자들의 음성개선을 위해 웃음, 흡기발성 등 다양한 생리적 발성훈련과 단계별 가창훈련을 접목하여 새롭게 고안된 치료 프로그램인 후두보정기법(Seong-Tae Kim's laryngeal calibration technique, 이하SKLCT®)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성 음성장애은 주로 어떻게 치료하는가? 노인성 음성장애(presbyphonia)의 치료는 주로 음성치료가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표준화된 치료기법은 없는 실정이다[8]. Gorman 등(2008)은 19명의 노인성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남성들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성대기능훈련(vocal function exercise, 이하 VFE)을 시행한 결과, 최대연장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이하 MPT)과 일부 공기역학적 변수들(aerodynamic parameters)의 호전을 보고하였다[9].
발성훈련(voice training)에 대한 효과는 무엇인가? 최근 발성훈련(voice training)에 대한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으며, 가수나 전문 성악가뿐 만 아니라 소아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공히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11]-[14]. Hazlett 등(2009)은 2653편의 발성훈련과 관련된 연구들을 검토하여 이중 음성장애자들에 대한 중재 전략을 위해 쓰여진 10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음성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에서 음성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중 장기 추적관찰을 보고한 3편의 연구를 통해 발성훈련이 지속적인 음성 호전에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15].
성대기능훈련으로 어떠한 효과를 보였는가? 노인성 음성장애(presbyphonia)의 치료는 주로 음성치료가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표준화된 치료기법은 없는 실정이다[8]. Gorman 등(2008)은 19명의 노인성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남성들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성대기능훈련(vocal function exercise, 이하 VFE)을 시행한 결과, 최대연장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이하 MPT)과 일부 공기역학적 변수들(aerodynamic parameters)의 호전을 보고하였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rg, E. E., Hapner, E., Klein, A., & Johns, M. M. (2008). Voice therapy improves quality of life in age-related dysphonia: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Voice, 22(1), 70-74. 

  2. Roy, N., Stemple, J., Merrill, R. M., & Thomas, L. (2007). Epidemiology of voice disorders in the elderly: preliminary findings. The Laryngoscope, 117, 628-633. 

  3. Turley, R., & Cohen, S. (2009). Impact of voice and swallowing problems in the elderly.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140, 33-36. 

  4. Verdonck-de Leeuw, I. M., & Mahieu H. F. (2004). Vocal aging and the impact on daily life: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Voice, 18(2), 193-202. 

  5. Baken, R. J. (2005). The aged voice: A new hypothesis. Journal of Voice, 19(3), 317-325. 

  6. Pontes, P., Brasolotto, A., & Behlau, M. (2005). Glottic characteristics and voice complaint in the elderly. Journal of Voice, 19(1), 84-94. 

  7. Sato, K., Hirano, M., & Nakashima, T. (2002). Age-related changes of collagenous fibers in the human vocal fold mucosa. Annal of Otology Rhinology and Laryngology, 111, 15-20. 

  8. Sauder, C., Roy, N., Tanner, K., Houtz, D. R., & Smith, M. E. (2010). Vocal function exercises for presbylaryngis: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treatment outcomes. A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119(7), 460-467. 

  9. Gorman, S., Weinrich, B., Lee, L., & Stemple, J. C. (2008). Aerodynamic changes as a result of vocal function exercises in elderly men. The Laryngoscope, 118(10),1900-1903. 

  10. Mau, T., Jacobson, B.H., & Garrett, C. G.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voice therapy outcomes in the treatment of presbyphonia. The Laryngoscope, 120(6), 1181-1187. 

  11. Bovo, R., Galceran, M., Petruccelli, J., & Hatzopoulos, S. (2007). Vocal problems among teachers: Evaluation of a preventive voice program. Journal of Voice, 21(6), 705-722. 

  12. Duffy, O. M., & Hazlett, D. E. (2004). The impact of preventive voice care programs for training teacher: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Voice, 18(1), 63-70. 

  13. Ilomaki, I., Laukkanen, A. M., Leppanen, K., & Vilkman, E. (2008). Effects of voice training and voice hygiene education on acoustic and perceptual speech parameters and self-reported vocal well-being in female teacher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3(2), 83-92. 

  14. Pasa, G., Oates, J., & Dacakis, G. (2007).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vocal hygiene training and vocal function exercises in preventing voice disorders in primary school teacher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32(3), 128-140. 

  15. Hazlett, D. E., Duffy, O. M., & Moorhead, S. A. (2009). Review of the impact of voice training on the vocal quality of professional voice users: Implications for vocal health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Journal of Voice, 1-11. 

  16. Titze, I. R., Finnegan, E. M., Laukkanen, A. M., Fuja, M., & Hoffman, H. (2008). Laryneal muscle activity in giggle: A damped oscillation model. Journal of Voice, 22(6), 644-648. 

  17. Kim, S. T., & Jeong, O. R. (2004). The Effects of SK-MVTT on voice improvement in vocal nodules patients; comparison with accent method. Speech Sciences, 11(4), 101-120. (김성태 & 정옥란. (2004). 다중음성치료기법이 성대결절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엑센트 기법과의 비교 연구. 음성과학, 11(4), 101-120) 

  18. Kim, S. T., Jeong, G. E., Kim, S.Y., Choi, S. H., Lim, K. C., & Nam, S. Y. (2009). The Effect of Voice Therapy in Vocal Polyp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1(2),43-49. (김성태, 정고은, 김상윤, 최승호, 임길채, 한주희, & 남순열. (2009). 성대용종 환자의 음성치료 효과. 말소리와 음성과학, 1(2), 43-49) 

  19. Kim, S. T. (2010). The Effects of Voice Therapy in Age-related Dysphon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2(2), 43-49. (김성태. (2010). 노인성 음성장애의 음성치료 효과. 말소리와 음성과학, 2(2), 117-121) 

  20. Awan, S. N., & Morrow, D. L. (2007). Videostroboscopic characteristic of toung adult female smokers vs. nonsmokers. Journal of Voice, 21(2), 211-223. 

  21. Szameitat, D. P., Alter, K., Szameitat, A. J., Wildgruber, D., Sterr, A., & Darwin, C. J. (2009). Acoustic profiles of distinct emotional expression in laughter.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6(1), 354-366. 

  22. Mendes, A. P., Brown, W. S., Rothman, H. B., & Sapienza, C. (2004). Effects of singing training on the speaking voice of voice majors. Journal of Voice, 18(1), 83-89. 

  23. Christopher, R., McCrea, & Morris, R. J. (2007). Effects of vocal training and phonatory task on voice onset time. Journal of Voice, 21(1), 54-63. 

  24. LeBorgne, W. D., & Weinrich, B. D. (2002). Phonetogram changes for trained singers over a nine-month period of vocal training. Journal of Voice, 16(1), 37-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