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6 no.3, 2015년, pp.197 - 208  

김주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선우현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수빈 (국립서울병원) ,  노동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정연경 (임계원 정신건강의학과) ,  조인희 (삼성아동발달연구소) ,  조수철 (국군수도병원 정신과)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재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태원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손정우 (충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정운선 (경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유희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and to determine cut-off scores for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s : A total of 166 subjects with ASD and their 186 unaff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요인분석을 통해 K-SCQ의 하위요인을 분석하여 K-SCQ가 ASD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주요 문제에 대한 개념적 차이를 드러내는지 검토하였다. 그 후 전체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집단간 K-SCQ 총점을 비교하여 임상군과 대조군 간의 분류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자폐 특성을 평가하는 또 다른 척도인 사회 반응성 척도(Social Responsiveness Scale, SRS)22)와 보다 정밀한 자폐진단 면담 평가인 Korean version of Autistic Diagnostic Interview-Revised(KADI-R)23)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ROC curve) 분석을 통해서 ASD 집단과 ASD가 아닌 집단을 잘 변별해줄 수 있는 진단 분할점을 산출하여 집단 분류 적중률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SD의 선별 도구로서 K-SCQ의 국내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고 ASD 변별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ASD를 판별하기 위한 진단 분할점은 47개월 이하는 10점, 48개월 이상은 12점으로 제안하였다.
  • 사실상 국외에서도 15점이라는 분할점이 발표된 이래 ASD 선별을 위한 최적의 분할점과 관련하여 여전히 논란이 있는 바,13,20,21) 국내에서도 하루빨리 적정 수준의 분할점을 산출하고 확인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SCQ를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타당도를 검증하고, 그와 더불어 ASD 선별을 위한 연령 범주에 따른 최적의 분할점을 산출하여 국내실정에 맞게 SCQ 활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SD로 진단받은 대상을 임상집단으로, ASD가 없는 것으로 확진된 그의 형제자매들을 대조집단(비자폐 형제자매 집단)으로 구분한 뒤, 이들에게 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KSCQ)18)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스펙트럼 장애란 자폐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지속적 손상이 특징적인 장애로,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기능의 저해가 심각하여 본인의 부적응뿐만 아니라, 가족 및 주변인들의 심리적 고통까지 야기하는 장애 중 하나이다. ASD는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DSM-IV)1)에서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범주하에 자폐장애(Autism),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레트 장애(Rett’s Disorder), 달리 구분되지 않는 광범위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PDD NOS)로 구분되어 있다가, 최근 개정된 DSM, 5th edition(DSM-5)2)에 이르러, 이 장애들을 하나의 동일 스펙트럼상의 장애로 여기고 ASD로 진단하여 세부사항으로 구체화 하고 있다.
ASD 가능성을 조기 발견하기 위한 선별 도구로 SCQ를 사용했을 때 장점은? 다른 선별 도구와 차별화된 SCQ의 장점은 다른 선별 도구들은 현재 시점의 증상과 관련된 정보만 수집하는 반면, SCQ는 ASD 증상이 가장 원형적인 양상을 보이는 4-5세의 증상과 관련된 정보를 회상하여 수집한다는 것이다. ASD의 증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교육 및 치료적 개입에 따라 증상이 가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SCQ의 문항들은 보다 풍부한 정보 수집과 정확한 ASD 선별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47개월 이하의 유아들에서도 ASD를 특정할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를 조기 발견하여 개입을하면 더 긍정적인 발달 경과를 보일 수 있으므로, 47개월 이하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선별하는 별개의 진단 분할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ASD에 대한 의학계의 인식은 어떻게 바뀌고 있나요? 자폐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지속적 손상이 특징적인 장애로,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기능의 저해가 심각하여 본인의 부적응뿐만 아니라, 가족 및 주변인들의 심리적 고통까지 야기하는 장애 중 하나이다. ASD는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DSM-IV)1)에서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범주하에 자폐장애(Autism),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소아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레트 장애(Rett’s Disorder), 달리 구분되지 않는 광범위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PDD NOS)로 구분되어 있다가, 최근 개정된 DSM, 5th edition(DSM-5)2)에 이르러, 이 장애들을 하나의 동일 스펙트럼상의 장애로 여기고 ASD로 진단하여 세부사항으로 구체화 하고 있다. ASD의 빈도는 지난 30여 년에 걸쳐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자폐 장애인 등록수가 2010년 14,888명이었던 것이 2014년 19,524명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3. Statistics Korea. The number of registered disabled persons;2007-2014 [cited 2015 May 7].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61_N005&vw_cdMT_ZTITLE&list_id101_1176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015 January 20] 

  4. Harris SL, Handleman JS. Age and IQ at intake as predictors of placement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a four- to six-year follow-up. J Autism Dev Disord 2000;30:137-142. 

  5. Lord C, Rutter M, DiLavore PC, Risi S.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2002. 

  6. Rutter M, LeCouteur A, Lord C.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DI-R).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2003. 

  7. Schopler E, Reichler RJ, Renner BR.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1988. 

  8. Kim TL, Park RG. Manual for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Seoul: Special Education;1996. 

  9. Shin MS, Kim YH.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Reliability, Validity and Cut-Off Score. Korean J Clin Psychol 1998;17:1-15. 

  10. Rutter, M, Bailey A, Lord C.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SCQ).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2003. 

  11. Witwer AN, Lecavalier L. Autism screening tools: an evaluation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and the Developmental Behaviour Checklist-Autism Screening Algorithm. J Intellect Dev Disabil 2007;32:179-187. 

  12. Charman T, Baird G, Simonoff E, Loucas T, Chandler S, Meldrum D, et al. Efficacy of three screening instruments in the identification of autistic-spectrum disorders. Br J Psychiatry 2007;191:554-559. 

  13. Allen CW, Silove N, Williams K, Hutchins P. Validity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in assessing risk of autism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problems. J Autism Dev Disord 2007;37:1272-1278. 

  14. Brooks WT, Benson BA. The validity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Res Autism Spectr Disord 2013;7:247-255. 

  15. Howlin P, Karpf J. Using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to identify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ssociated with other genetic conditions: findings from a study of individuals with Cohen syndrome. Autism 2004;8:175-182. 

  16. Schwenck C, Freitag CM. Differentiation betwee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by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Atten Defic Hyperact Disord 2014;6:221-229. 

  17. Corsello C, Hus V, Pickles A, Risi S, Cook EH Jr, Leventhal BL, et al. Between a ROC and a hard place: decision making and making decisions about using the SCQ.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7;48:932-940. 

  18. Yoo HJ. 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SCQ). Seoul: Hakjisa;2008. 

  19. Lee SH, Kim SK, Kim JY. Brief Screening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Community-based Daycare Centers. Spec Educ 2014;13:99-117. 

  20. Snow AV, Lecavalier 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and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in preschoolers suspected of having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Focus Autism Other Dev Disabl Autism 2008;12:627-644. 

  21. Wiggins LD, Bakeman R, Adamson LB, Robins DL. The Utility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in Screening for Autism in Children Referred for Early Intervention. Focus Autism Other Dev Disabl Spring 2007;22:33-38. 

  22. Constantino JN, Gruber CP. Social Responsiveness Scale (SRS)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2005. 

  23. Yoo HJ.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DI-R). Seoul: Hakjisa;2007. 

  24. Kim JH, Shin MS. A study of reliability & validity for the Korean version of Asperger Syndrome Diagnostic Scale.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5;16:98-105. 

  25. Yoo HJ, Kwak Y.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ADOS). Seoul: Hakjisa;2007. 

  26. Shin MS, Cho SC. Korean Version of Leiter International Performance Scale. Seoul: Hakjisa;2009. 

  27. Kaufman J, Birmaher B, Brent D, Rao U, Flynn C, Moreci P, et al. 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for School-Age Children-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SADS-PL): initial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980-988. 

  28. Berument SK, Rutter M, Lord C, Pickles A, Bailey A. Autism screening questionnaire: diagnostic validity. Br J Psychiatry 1999;175:444-451. 

  29. Constantino JN, Davis SA, Todd RD, Schindler MK, Gross MM, Brophy SL, et al. Validation of a brief quantitative measure of autistic traits: comparison of the social responsiveness scale with the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J Autism Dev Disord 2003; 33:427-433.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Version for 2006.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1992. 

  31. Roid GH, Miller LJ, Pomplun M, Koch C. Leiter International Performance Scale. 3th ed. Wood Dale: Stoelting Co.;2013. 

  32. Lord C, Rutter M, Le Couteur A.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 revised version of a diagnostic interview for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possibl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 Autism Dev Disord 1994;24:659-685. 

  33. Charman T, Taylor E, Drew A, Cockerill H, Brown JA, Baird G. Outcome at 7 years of children diagnosed with autism at age 2: predictive validity of assessments conducted at 2 and 3 years of age and pattern of symptom change over time.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5;46:500-513. 

  34. Oosterling I, Rommelse N, de Jonge M, van der Gaag RJ, Swinkels S, Roos S, et al. How useful is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in toddlers at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10;51:1260-1268. 

  35. Eaves LC, Wingert HD, Ho HH, Mickelson EC. Screening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with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J Dev Behav Pediatr 2006;27(2 Suppl):S95-S103. 

  36. Lord C, Risi S, DiLavore PS, Shulman C, Thurm A, Pickles A. Autism from 2 to 9 years of age. Arch Gen Psychiatry 2006;63:694-7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