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및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및 관리 우선 대상 지역 평가
An Assessm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nd Priority Areas for Groundwater Management Using G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3, 2015년, pp.35 - 51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현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황상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방법을 개선하고,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보다 정량적인 지하수 오염 취약성 분석을 기반으로 지하수 관리 우선 대상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잠재오염' 중심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방법을 오염을 완화시키는 '대응 능력'을 고려한 방법론으로 개선하였다. 둘째, 계층분석 방법(AHP)과 지하수 전문가의 설문을 바탕으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인자의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셋째, 광역지자체(경기도)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개선된 방법론 및 가중치를 GIS로 구현하여 실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넷째, 정량적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도를 바탕으로 지하수 오염 관리 우선 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선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세부 평가인자는 총 15개 이며, 이에 대한 AHP를 활용한 가중치의 산정결과에서 기존의 '잠재오염'에 해당하는 평가인자 보다 신규로 개선된 '대응능력'이 높은 가중치로 분석되었다. 또한 GIS를 활용한 경기도 지역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 서울에 인접한 고양시 및 광명시 등이 지하수 오염 취약성이 높았으며, 포천시 및 양평군이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개선하였고 실제 연구지역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에 직간접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evious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apply it to the study area, and select priority areas for groundwater management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For this purpose, first,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기존의 ‘잠재오염’ 중 용체 특성을 보다 현실적인 인자로 개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방법을 개선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잠재능력 위주의 평가를 대응능력을 반영한 평가 방법으로 수립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인자를 크게 2가지로 개선하고자 한다. 첫째, 잠재오염 민감성 중심으로 평가되는 기존의 ‘잠재오염’ 중심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에 ‘대응능력’을 적용하여 지하수가 오염되었을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한 능력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항목(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14)중 2가지 사항을 개선하였다(표 2). 첫째, 잠재오염 민감성 위주의 분석에 대응능력을 고려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로 개선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지하수 취약성 평가 방법 개선 및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실질적인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하수 관리우선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지하수 취약성 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 둘째, 기존의 ‘잠재오염’ 중 용체 특성을 보다 현실적인 인자로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단순 지하수 이용량 현황을 적용하는 것에서 지하수의 사용량이 많을수록 오염에 취약한 가중치를 적용, 보다 상세히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HP를 활용하는 것의 장점은 무엇인가? 즉, 의사결정의 전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눈 후 이를 단계별로 분석 해결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으로 최종 의사결정에 이를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방법이다. 이러한 AHP를 활용하면 광역적 지역 및 다양한 관련 항목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행정 단위에서의 지역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는 기존의 고유 취약성평가 또는 특정취약성 평가와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국가차원에서의 지하수 보존과 효율적 이용에 대한 노력은, 연도별로 어떻게 수행되었는가? 국가차원에서의 지하수 보존과 효율적 이용에 대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1993년 법률 제4599호에 의거 지하수법 제정 이후 1996년 1차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매 6년마다 재수립하여 2015년 현재 3차 계획이 시행되고 있으며, 2018년에 제4차 계획 수립을 준비해야 하는 시점이다. 특히 제4차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에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취약성 평가 방법이 반영되어야 한다.
오염 취약성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오염 취약성은 어떤 시스템의 오염 변화에 대한 민감도와 대응능력의 함수로 정의된다. 오염영향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한 시스템의 대응능력이 낮으면 그 시스템은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Eckhardt, K. and U. Ulbrich. 2003.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recharge and streamflow in a central European low mountain range. Journal of Hydrology 284:244-252. 

  2. Erturk, A., A. Ekdal, M. Gurel, N. Karakaya, C. Guzel and E. Gonenc. 2014. Evaluat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resources in a small Mediterranean watershed.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99:437-447. 

  3. Gyeonggi-do. 2015. Groundwater Management Plan in Gyeonggi-do, 2015 (경기도. 2015. 경기도 지하수 관리계획). 

  4. Kang, J.E. and M.J. Lee.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19-136 (강정은, 이명진.2012. 퍼지모형과 GIS를 활용한 기후변화홍수취약성 평가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119-136). 

  5.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12. Soil and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plan prepared in 2012 (한국환경공단. 2012. 2012년도 토양지하수 오염 취약성평가 및 관리방안 마련). 

  6.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2014. Soil and groundwater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plan prepared in 2014 (한국환경공단. 2014. 2014년도 토양지하수 오염 취약성평가 및 관리방안 마련). 

  7. Lee, M.J. and J.E. Kang. 2012. Predictive flooded area susceptibility and verification using GIS and frequency rati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2):86-102 (이명진, 강정은. 2012. 빈도비 모델과 GIS을 이용한 침수 취약 지역예측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2):86-102). 

  8. Lee, M.J. and J.H. Lee. 2011.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36-51 (이명진, 이정호.2011.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36-51). 

  9. Lee, M.J., J.H. Lee, S.W. Jeon and H.J. Houng. 2010. Review of policy direction and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9(2):157-184 (이명진, 이정호, 전성우, 홍현정. 2010.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정책방향 고찰. 환경정책연구 9(2):157-184) 

  10. Lee, M.J., Y.J. Hyun, Y.J. Kim and S.I. Hwang. 2013. Priority assessment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manage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GIS Approach.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8(5):26-38 (이명진, 현윤정, 김영주, 황상일. 2013. 계층분석법(AHP)과 GIS를 이용한 고양시 일대의 지하수오염 관리우선순위 평가. 지하수토양환경18(5):26-38). 

  11. Liu, H.H. 2011. Impact of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recharge in dry areas: an ecohydrology approach. Journal of Hydrology 407:175-183. 

  12. Woo, N.C. 2013. Climate change and groundwater sustainability in Korea for next decad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8(1):1-5 (우남칠. 2013.기후변화와 국내 지하수자원의 지속가능성-다음 10년을 위해서. 지하수토양환경18(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