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emi-Variogram을 이용한 소규모 자연휴양림 내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 분포 추정
Estimating Precis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Using Semi-Variogram in Small Scale Recreation Forest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3, 2015년, pp.63 - 75  

임철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유동훈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송철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주용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김민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각광받고 있는 산림치유를 위해서는 산림 내 기상조건의 시공간분포를 기초로 활동시간 및 공간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에 기상관측 장비를 설치하여 장기 기상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당 자료를 통해 기상자료의 정밀 시공간 분포를 파악하여 산림휴양 치유 활동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Semi-Variogram을 추정하는 네 가지 모형을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Circular 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Circular 모형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Circular 모형으로 추정된 총 128개의 Semi-Variogram을 통해 계절 및 시간대에 따른 온 습도공간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Partial Sill 값으로 표출한 Boxplot을 통해 보다 확연한 계절 및 시간대별 분포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결과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온 습도가 모두 균일한 미기상 공간분포를 보였고, 여름과 이른 오후에는 온 습도 모두 불균일한 결과를 보였다.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산림활동 시 공간의 이동에 따른 기상조건 변화가 적으므로, 휴양과 치유에 보다 긍정적일 수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불균일한 여름철과 이른 오후 시간에는 기상조건에 따른 위험이 따를 수 있으므로 별도의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 곳의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사계절 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분포를 추정하여 계절별, 시간대별 세부적인 결과를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forest therapy is getting more attention than ever, it is important to organize time for activity and location based o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in fores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recis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weather condition by installing long-term wea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민 휴양의 대표적 공간으로 자리매김한 자연휴양림의 기상조건을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시도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을 선정하여 장기 기상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당 자료를 통해 시공간분포를 확인하여 산림휴양·치유 활동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 활용된 네 가지 모형(Circular, Spherical, Exponential, Gaussian)은 Semi- Variogram을 추정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기법이다. 그럼에도 네 가지 모형 모두를 본 연구 결과로 제시하는 데는 양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각 모형 간의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한 모형의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모형 결과는 추정된 Semi-Variogram의 곡선을 의미하는 Partial Sill 값을 활용하였고, 모형 간 비교에서는 온도 자료만을 활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 휴양림 한 곳을 선정하여 장기 기상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당 자료를 통해 시공간분포를 확인하여 산림휴양 · 치유 활동을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공간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활용한 Semi-Variogram의 추정 모형들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여 향후 미기상 공간분포 연구에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 곳의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사계절 기상조건의 정밀 시공간분포를 추정하여 계절별, 시간대별 세부적인 결과를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는 이러한 기상조건을 산림휴양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자연휴양림 내 미기상의 공간분포 특성은 휴양과 치유를 동반한 산림활동에 보다 적합한 시간과 계절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산림 내에서 온도와 습도가 매우 균일한 분포를 보이는 봄철과 이른 오전 시간대에는 산림활동 시 공간의 이동에 따른 기상조건 변화가 적으므로, 휴양과 치유에 보다 긍정적일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 휴양림 한 곳을 선정하여 장기 기상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당 자료를 통해 시공간분포를 확인하여 산림휴양 · 치유 활동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휴양림이란 무엇인가? 자연휴양림은 국민의 정서함양·보건휴양 및 산림교육 등을 위하여 조성한 산림으로, 국민의 산림휴양 요구에 부응하고 국가의 산림환경 보전에 유용한 공간이다(Lyu, 2013; Sung, 2015). 산림에 대한 휴양 수요가 급증함과 동시에, 자연휴양림의 조성 또한 국유·공유·사 유림을 막론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자연휴양림은 어떤 이름으로 중증질환자에게 보완대체의학의 장소가 되는가? 자연휴양림에서의 활동 또한 단순 휴식에 그치지 않고 치유·체험 등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산림치유’라는 이름으로 중증질환자에게 보완대체의학(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의 장소가 되어 주며, 많은 환자가‘치유의 숲’으로 지정된 많은 휴양림에 방문하고 있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8). 자연휴양림에서의 활동이 휴식에서 치유로 변화함에 따라 휴양림의 자연조건이 가진 상태와 기능을 면밀히 확인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Semi-Variogram는 무엇인가? , 2014). Semi-Variogram은 일정한 거리에 있는 자료들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자료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라할 수 있다(Jung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reca, A.I. and J.P. Shimshack. 2012. Absolute humidity, temperature, and influenza mortality: 30 years of county-level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6(7):114-122. 

  2. Corobov, R., S. Sheridan, K. Ebi and N. Opopol. 2013. Warm Season Temperature-Mortality Relationships in Chisinau (Moldova). International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2013(Article ID 346024):1-9. 

  3. Han, S.J., W.K. Lee and D.A. Kwak. 2006. GIS application for evaluating forest recreation func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tudies 9(1):13-19 (한수진,이우균, 곽두안. 2006.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1):13-19). 

  4. Jung, J., S. Jin and M.S. Park. 2008. Precipitation analysis based on spatial linear regression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1(6): 1093-1107 (정지용, 진서훈, 박만식.2008. 공간적 상관구조를 포함하는 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한 강수량 자료 분석. 응용통계연구 21(6):1093-1107). 

  5. Kang, B., S.B. Park, T. Kim, M.J. Kim, K.H. Lee, B. Jun, S.Y. Park and S.J. Lee. 2013. Pain relief effect on chronic posterior neck pain depending on the types of forests. Proceeding of the 41st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6. Kang, B., S.B. Park, T. Kim, M.J. Kim, K.H. Lee and S.J. Lee. 2013. The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therapy on chronic posterior neck pain. Proceeding of the 41st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7. Kim, D.J. 2014. Impacts of the precipitation on forest recreation demand.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2):125-130 (김동준. 2014.강수 요인이 산림휴양 수요에 미치는 영향.한국농림기상학회지 16(2):125-130). 

  8. Kim, M.I., H. Kwak, W.K. Lee, M.S. Won and K.S. Koo. 2011. Study on regional spatial autocorrel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9(2):29-37 (김문일, 곽한빈, 이우균, 원명수, 구교상. 2011. 우리나라 산불발생의 지역별 공간자기상관성에 관한 연구.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9(2):29-37).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8. Master plan of construct Saneum 'Healing Forest'(국립산림과학원. 2008. 산음'치유의 숲'조성 기본계획.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서). 

  10. Korea Forest Service.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41 (산림청. 2011. 임업통계연보. 41호). 

  11. Kwak, H., W.K. Lee, J. Saborowski, S.Y. Lee, M.S. Won, K.S. Koo, M.B. Lee and S.N. Kim. 2012. Estimating the spatial pattern of human caused forest fires using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6(9): 1589-1602. 

  12. Lim, C.H., C. Song, B. Kang, W.K. Lee, S.B. Park and S.J. Lee. 2014.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condition and forest therapy effec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1):85-97 (임철희, 송철호, 강보람, 이우균, 박시복, 이성재.2014. 산림치유효과와 기상조건 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8(1):85-97). 

  13. Lyu, K.H.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ag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Korea. Ph.D. Thesis, Univ. of Korea University (류강현. 2013. 자연휴양림 발전단계의 구분과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Olivier, M.A and R. Webster. 1990. Kriging: a method of interpolation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4(3):313-332. 

  15. Schwartz, J., J.M. Samet and J.A. Patz. 2004. Hospital admission for heart disease :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Epidemiology 15(6):755-761. 

  16. Shaman, J., E. Goldstein and M. Lipsitch. 2010. Absolute humidity and pandemic versus epidemic influenza.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3(2):127-135. 

  17. Sim, K.W. and H.K. Kwon. 2011.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forest recreation demand.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35-40 (심규원, 권헌교. 2011. 기후변화가 산림휴양수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2):35-40). 

  18. Sung, S.J. 2015. Study on the actual management and operation state by type of recreational forest and improvement measures. Ph.D.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성상제. 2015. 자연휴양림의 유형별 관리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Thornton, P.E., H. Hasenauer and M.A. White. 2000. Simultaneous estimation of daily solar radiation and humidity from observ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n application over complex terrain in Austria.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255-271. 

  20. Wells, N.M. and Evans, G.W. 2003. Nearby nature: a buffer of life stress among rural children. Environment & Behavior 35(3):311-3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