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크리깅은 강우현상의 공간적 분포문제를 다루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나 선택한 베리오그램에 따라 예측결과가 상당히 큰 차이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일강우량을 대상으로 적정 베리오그램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일강우량자료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발생과 상관성이 높은 이차변수를 함께 고려하여 베리오그램을 유도하는 것이 보다 적정한 결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정적인 적용사례이나 크리깅 적용에 필요한 적정 베리오그램의 결정이 어려운 경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베리오그램인 Mat$\acute{e}$rn 상관함수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riging is widely applied to dealing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however its prediction resul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variogram type. This study investigated adequate variogram for daily rainfall. The comparative results show that kriging prediction with covari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상청의 기상대 자료와 AWS 자료를 적정 베리오그램을 유도하여 비교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집하였다. 기상대 자료는 이론적 베리오그램을 유도하는데 이용하였고, AWS 자료는 베리오그램별 크리깅 예측값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목적으로 이용하였다.
  • 앞서 얻어진 이론적 베리오그램의 추정결과 만으로는 어떤 베리오그램이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베리오그램을 이용하여 크리깅 기법으로 AWS 관측지점의 강우량을 예측해 하고 실제 관측된 강우량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고찰하기로 한다. 우선 비교대상이 되는 참값으로는 우리나라 중남부 지역의 50개소의 기상청 관측소와 이들 관측소 사이의 312개의 AWS를 모두 이용하였으며 Fig.
  • 본 연구에서는 등우선도 작성이나 공간적인 보간을 위한 목적으로 일강우량 자료에 크리깅을 적용할 때 필요한 적정 베리오그램에 대해 검토하였다. 기상청 기상대 자료를 이용해 베리오그램을 유도하여 기상청 AWS 지점의 강우량을 예측하였다.
  • 크리깅 방법은 공간적으로 분포된 자료를 다루는 문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나 적정 베리오그램이 유도 되지 못할 경우 상당히 큰 오차를 수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일강우량의 적정 베리오그램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일강우량 자료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강우발생과 상관성이 높은 이차변수를 함께 고려하여 베리오그램을 유도하는 것이 실제 관측자료와 비교할 때 훨씬 현실성 있는 예측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표고자료를 대체하여 강우량의 변동특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다양한 기상변수를 시행착오적으로 검토 하였다. 그 결과 일평균풍속, 상대습도, 이슬점 온도의 세 가지 변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개선된 베리오그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다양한 이론적 베리오그램에서의 강우량 예측값과 AWS 지점에서의 실제 관측값과 비교하여 베리오그램의 적정성을 판단하였다. 이때 강수량 자료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강우량과 관련된 기상인자를 함께 고려하여 추정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강우의 공간분포를 예측하는 방법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 1)로 단위 행렬을 의미한다. 위에서 소개된 정규 크리깅은 자료들이 분포한 위치에 상관없이 그 평균이 같은 값을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 강우량 자료들은 공간적으로 특정 경향을 나타내거나 평균이 지역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 Nh는 분석하고자 하는 공간영역내에서 벡터 h만큼 떨어져서 위치한 두 자료쌍의 총 수이다. 이때, 벡터 h의 적용에 따라 방향에 상관없이 거리만을 고려하여 해석하는 등방성(isotrophy) 베리오그램과 몇 개의 방향으로 나누어 방향별로 거리를 고려하는 이방성(anisotrophy) 베리오그램의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강우장(rainfall field)이 등방성이라고 가정하고 거리에 대한 함수로서만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론적 베리오그램의 모형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 경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베리오그램(variogram)으로 공간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관측자료로에서 얻은 경험적 베리오그램에 이론적 베리오그램이라고 불리워지는 일정한 모형을 적합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이론적 베리오그램에는 지수모형(exponential model), 구형모형(spherical model) 그리고 가우시안 모형(Gaussian model) 등이 주로 사용되고있다. 어떤 이론적 베리오그램 모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동일한 관측값에 대해서도 크리깅의 적용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적정 베리오그램을 판단하는 문제는 가장 중요한 부분 이라고 할 수 있다(신기일, 2008, 최종근, 2007).
베리오그램이란? 이때 가중함수는 오차분산이 최소화되도록 한다는 전제 하에 베리오그램과 자료간의 거리값으로 일종의 공식처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베리오그램(variogram)으로 공간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관측자료로에서 얻은 경험적 베리오그램에 이론적 베리오그램이라고 불리워지는 일정한 모형을 적합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이론적 베리오그램에는 지수모형(exponential model), 구형모형(spherical model) 그리고 가우시안 모형(Gaussian model) 등이 주로 사용되고있다.
크리깅 이론은 어떤 분석 방법인가? 크리깅 이론은 Krige(1951)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Matheron(1971)에 의해 발전한 기법이다. 이 방법은 기지점의 값들에 일정한 가중함수를 적용하여 얻은 선형결합의 형태로 임의 지점에서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가중함수는 오차분산이 최소화되도록 한다는 전제 하에 베리오그램과 자료간의 거리값으로 일종의 공식처럼 얻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신기일(2008) 공간통계학 강의자료 

  2. 유철상, 정광식(2001)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 및 추정오차,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4호, pp. 317-326. 

  3. 윤광훈, 서봉철, 신현석(2001)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강우의 공간해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2호, pp. 233-240. 

  4. 윤용남, 김중훈, 유철상, 김상단(2002) 공간분포된 강우를 사용한 유출 매개변수 추정 및 강우오차가 유출계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1호, pp. 1-12. 

  5. 윤용남(2007) 수문학. 청문각. 

  6. 이재형, 유양규(2002) 면적강우량 산정을 위한 관측망 최적설계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2호, pp. 187-194. 

  7. 최종근(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8. Cressie, N.A.C(1991) Statis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Inc. 

  9. Diggle, P.J. and Ribeiro, P.J. (2007) Model-based Geostatistics. Springer. 

  10. Golden software, Inc. (2002) Surfer user's guide version 8. 

  11. Goovaerts, P. (2000) Geostatistical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elevation into the spatial interpolation of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Vol. 228, No. 1-2, pp. 113-129. 

  12. Isaaks, E.H. and Srivastava, R.M.(1989) An Introduction to Applied Geostat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3. Journel, A.G. and Huijbregts, Ch. J. (1978) Mining Geostatistics, Academic Press. 

  14. Krige, D.G.(1951) A statistical approach to some basic mine valuation problems on the Witwatersrand", Journal of the Chemical, Metallurgical and Mining Society of South Africa, Vol. 52, pp. 119-139. 

  15. Matern, B. (1960) Spatial variation, Technical report, Statens Skogsforsningsinstitut. 

  16. Matheron, G.(1971) The theory of regionalized variables and its applications, Technical Report 5, Cahiers du Centre de Morphologie Mathematique. 

  17. Tabios, G.Q. and Salas J.D. (1985) A comparative analysis of techniques for spatial interpolation of precipitation,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1, No. 3, pp. 365-3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