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4년 국내 발생 HP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시·공간 군집 분석
Spatio-Temporal Clustering Analysis of HPAI Outbreaks in South Korea, 2014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3, 2015년, pp.89 - 101  

문운경 (농림축산검역본부) ,  조성범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배선학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질병역학의 관점에서 2014년 발생한 HPAI(H5N8)의 시간적 분포와 공간적 분포 그리고 시 공간을 동시에 고려한 분포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2014년 발생한 HPAI의 전파 및 확산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2014년 HPAI는 시간적으로는 모두 3 번의 파동을 형성하였으며, 공간적으로는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가 인접하는 지역, 전라북도의 곰소만 일대, 전라남도의 영암과 나주 등 영산강과 인접한 지역에서 높은 밀도를 보였다. 시 공간적으로도 공간 밀도가 높은 충청북도 음성지역, 전라북도 부안 고창지역, 나주지역에서 군집이 형성되었다. 다만, 충청북도 음성 진천, 충청남도 천안, 경기도 안성 이천 지역과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서는 공간적인 밀도는 높음에도 불구하고 시간적인 범위가 넓음으로써 시 공간 군집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이는 이들 지역의 방역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곰소만과 인접하고 있는 전라북도 부안 고창 장수 지역은 시 공간 군집이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방역이 수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tbreaks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PAI) subtype H5N8 have occurred in Korea, January 2014 and it continued more than a year until 2015. And more than 5 million heads of poultry hads been damaged in 196 farms until May 2014. So, we studied the spatial, temporal and spatio-temporal pat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HPAI가 시·공간 상에서 어떠한 확산 특성을 보였는가를 분석하고, 동시에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발생 농가의 주변 농가에 대해 일괄적으로 수행되는 예방적 살처분의 효과를 함께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다만 본 연구는 HPAI의 전파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이라기 보다는 HPAI가 시·공간적으로 어떠한 확산 경향을 보이는가라는 HPAI의 확산 현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4~15년 국내에서 발생한 HPAI의 시·공간 군집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시·공간을 동시에 고려한 상황에서의 국내 HPAI의 전파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살처분 농가가 포함된 경우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각각 HPAI 시·공간 군집 분석을 수행한 후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일괄 살처분 방법이 인접 농가로의 확산 방역에 효과를 보이는가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간분석과 시간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HPAI가 발생한 농장의 위치정보와 함께 날짜정보를 조사하고 이를 시계열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HPAI의 확산에 시·공간적인 군집(Spatio-Temporal clustering)이 발생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병 발생 이후에 수행되는 역학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 중 GIS 기반의 시·공간 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하였다.
  • 그리고 이 과정에서 예방적 살처분이 수행되는 인접 농가들에 대한 HPAI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HPAI의 인접 확산 정도를 함께 분석하고 있으며, HPAI 검사 결과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농가 정보도 HPAI 발생 농가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최초 신고 농가와 인접한 농가들에 대하여 수행되는 예방적 살처분이 인접 전파 차단에 효과적인가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방적 살처분이 수행된 농가를 제외한 시공간 분석을 수행하였다. 만약, 예방적 살처분이 효과가 없다면 예방적 살처분이 수행된 농가를 제외한 분석에서도 시공간 군집이 형성되어야 한다.
  • 또한 시·공간 분석을 통하여 방역 활동이 근거리 전파 차단에 있어서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장거리 전파 차단에는 실패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거리 전파 차단의 경우에 이동 통제와 함께 신속한 예방적 살처분 조치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Ekong et al.
  • 밀도분석은 반경을 얼마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밀도 값에 차이가 나지만, 반경 값 설정을 위한 통계적 기준 등은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반경 값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HPAI의 발생 농가의 밀도 분석을 위한 반경을 HPAI 발생 시 방역 범위에 해당하는 3㎞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즉, 발생지점으로부터 3㎞ 범위에 해당하는 지역까지 단계적으로 값이 부여되고 3㎞를 벗어난 지역에서는 값이 부여되지 않는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발생한 H5N8형 HPAI의 전파 특성을 GIS 기반의 공간분석 방법인 시·공간 분석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HPAI의 시·공간적인 군집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PAI란 무엇인가? HPAI(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닭, 오리 등 사육가금과 야생조류에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한반도와 인접한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지에는 이미 토착화 한 상태로 인체 감염 사례 및 사망사례도 꾸준히 보고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중요한 인수공통전염병이다.
시·공간검색통계의 장점은 무엇인가? , 2009). 이는 시·공간과 관련된 현상을 단순히 주제도로 제작하거나 시간별로 배열하여 추세로 보여주는 방법과 비교할 때 통계적인 설득력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Gang, 2008). 이러한 시·공간검색통계 방식은 GIS 기반의 공간통계분석 방법에 시간이라는 요소를 추가하여 군집을 찾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이다.
밀도분석과 분포분석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공간분석과 시간에 따른 빈도 분석 그리고 시·공간을 동시에 고려한 분석을 함께 수행하였다. 공간분석 방법인 밀도분석과 분포분석은 HPAI 발생 지역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기는 하지만 시간이 변함에 따라 HPAI가 어떻게 확산되어 갔는가를 표현해 주지는 못한다. 또한 시간에 따른 빈도 분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질병의 발생 빈도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 가는 보여줄 수 있지만, 이러한 빈도 변화가 특정 공간에 집중하여 나타나는 지 또는 전 지역에 걸쳐 나타나는 지에 대한 답을 주지는 못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med, S.S., A.K. Ersboll, P.K. Biswas, J.P. Christensen and N. Toft. 2011. Spatio-temporal magnitude and direct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1) outbreaks in Bangladesh. PLoS One 6(9):e24324. 

  2. Alexandersen, S., Z. Zhang, A.I. Donaldson and A.J. Garland. 2003. The pathogenesis and diagnosis of foot-and-mouth disease. Journal of Comparative Pathology 129:1-36. 

  3. Alkhamis, M.A., A.M. Perez, H. Yadin and N.J. Knowles. 2009. Temporospatial clustering of foot-and-mouth disease outbreaks in Israel and Palestine, 2006-2007. Transboundary and Emerging Diseases 56:99-107. 

  4. Bae S.H., Y.K Sin, B.H. Kim and S.I. Pak. 2013. Temporospatial clustering analysis of foot-and-mouth disease transmission in South Korea, 2010-2011.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53(1):49-54 (배선학, 신연경, 김병한, 박선일. 2013. 시공간클러스터링 분석을 이용한 2010-2011 국내 발생 구제역 전파양상. 대한수의학회지53(1): 49-54). 

  5. Carpenter, T.E. 2001. Methods to investigate spatial and temporal clustering in veterinary epidemilolgy.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48:303-320. 

  6. Carpenter, T.E., 2011. Stochastic, spatially-explicit epidemic models. Revue Scientifique et Technique 30:417-424. 

  7. Ekong, P.S., E. Ducheyne, T.E. Carpenter, O.A. Owolodun, A.T. Oladokun, L.H. Lombin and D. Berkvens. 2012. Spatio-temporal epidemiology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H5N1) outbreaks in Nigeria, 2006-2008.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103(2): 170-177. 

  8. Gang, H.J. 2008. Hot spot analysi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324:116-121 (강호제. 2008. 핫스팟 분석기법(HotSpot Analysis): 공간분석의 기초, 최근린군집분석과 국지모란지수의 이해와 활용. 국토연구 324:116-121). 

  9. Kulldorff M. and N. Nagarwalla. 1995. Spatial disease clusters: detection and inference. Statistics in Medicine 14: 799-810. 

  10. Kulldorff M., R. Heffernan, J. Hartman, R. Assuncao and F. Mostashari. 2005. A space-time permutation scan statistic for disease outbreak detection. PLoS Medicine 2(3):216-224. 

  11. Minh, P.Q., R.S. Morris, B. Schauer, M. Stevenson, J. Benschop, H.V. Nam and R. Jackson. 2009. Spatio-temporal epidemiology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outbreaks in the two deltas of Vietnam during 2003-2007.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89(1):16-24. 

  12. Park, S.I. and S.H. Bae. 2012. A space-time cluster of foot-and-mouth disease outbreaks in south Korea, 2010-2011.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4(4):464-472 (박선일, 배선학. 2012.구제역의 시.공간 군집 분석 -2010-2011한국에서 발생한 구제역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4):464-472). 

  13. Verhagen, J.H., S. Herfst and R.A. Fouchier. 2015. Infectious disease, how a virus travels the world. Science 347(6222):616-617. 

  14. http://www.qia.go.kr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농림축산검역본부). 

  15. http://www.satscan.org (SatSc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