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F 파워 변화에 따른 IGZO 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GZO Thin Film Sputtered with Various RF Power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8 no.10, 2015년, pp.620 - 624  

진창현 (청주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홍배 (청주대학교 반도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studied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n-Ga-doped ZnO (IGZO) thin films. The IGZO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the corning 1737 glass by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The RF power in sputtering process was varied as 30, 50, 70, and 90 W respectively. All of the IGZO th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비를 사용하여 IGZO 박막이 RF 파워 변화에 따른 구조적,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여 투명전자 소자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TO의 문제점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투명 전도막은 ITO (indium tin oxide)로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나, 이러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200 ∼ 300℃의 고온에서 증착되어야 한다 [3]. 또한 원료 물질 중 인듐 (In) 수급량 부족에 의한 재료비 상승, 인듐의 독성, 저온 증착의 어려움, 수소 플라즈마 하에서의 열화와 인듐과 주석의 환원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방안으로 산화아연 (ZnO)계의 산화물 반도체가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4-9]. 일반적으로 순수 진성 ZnO 박막의 경우 낮은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투명 전극으로 적용하기에는 미흡하기 때문에 ZnO에 붕소 (B), 알루미늄 (Al), 갈륨 (Ga), 인듐(In) 과 같은 3족 원소를 불순물로 도핑하여 전기 전도도를 높인다 [10,11].
투명 전도성 박막이 되기위한 조건은?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이 활발히 발달하면서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고화질 영상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인간 친화적인 디스플레이 즉 e-paper, flexible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의 개발과 상용화에 노력하고 있으며 또한 저가격, 대면적, 공정의 단순함을 해결 가능하기 위한 다양한 투명 전도성 박막(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의 물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2]. 이러한 투명 전도성 박막은 가시광 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율, 10-3Ω㎝ 이하의 낮은 비저항, 높은 일함수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투명 전도막은 ITO (indium tin oxide)로서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나, 이러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200 ∼ 300℃의 고온에서 증착되어야 한다 [3].
ZnO 박막의 전기적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또한 원료 물질 중 인듐 (In) 수급량 부족에 의한 재료비 상승, 인듐의 독성, 저온 증착의 어려움, 수소 플라즈마 하에서의 열화와 인듐과 주석의 환원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방안으로 산화아연 (ZnO)계의 산화물 반도체가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4-9]. 일반적으로 순수 진성 ZnO 박막의 경우 낮은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투명 전극으로 적용하기에는 미흡하기 때문에 ZnO에 붕소 (B), 알루미늄 (Al), 갈륨 (Ga), 인듐(In) 과 같은 3족 원소를 불순물로 도핑하여 전기 전도도를 높인다 [10,11]. 특히 In-Ga doped ZnO(IGZO) 박막은 현재 TCO 물질로서 ITO 박막의 대체재로 주목 받고 있으며, IGZO는 다성분계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박막 성장 조건에서 비정질 구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유독성이 낮고, 넓은 밴드갭(band-gap)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가시광 영역에서의 높은 투과율을 갖는 IGZO 박막을 제작할 수 있다 [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Han, P. Q. Mantas, and A.M.R. Senos, J. Eur. Ceram. Soc., 21, 1338,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955-2219(01)00136-4] 

  2. T. Minami, H. Nanto, and S. Takata, Jpn. J. Appl. Phys., 23, 280 (1984). [DOI: http://dx.doi.org/10.1143/JJAP.23.L280] 

  3. K. Lee, J. Yoo, J. Hong, S. Lee, Y. Kim, and H. Jeong,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0, 25 (2007). 

  4. C. J. Tun, J. K. Sheu, B. J. Pong, M. L. Lee, C. K. Hsieh, C. C. Hu, and G. C. Chi, IEEE Photon. Technol. Lett., 18, 274 (2006). [DOI: http://dx.doi.org/10.1109/LPT.2005.861987] 

  5. Z. C. Jin, I. Hamberg, and C. G Granqvist, J. Appl. Phys., 64, 5117 (1988). [DOI: http://dx.doi.org/10.1063/1.342419] 

  6. Z. L. Pei, X. B. Zhang, G. P. Zhang, J. Gong, C. Sun, R. F. Huang, and L. S. Wen, Thin Solid Films, 497, 20 (2006). [DOI: http://dx.doi.org/10.1016/j.tsf.2005.09.110] 

  7. H. J. Ko, Y. F. Chen, S. K. Hong, H. Wenisch, T. Yao, and D. C. Look, Appl. Phys. Lett., 77, 3761 (2000). [DOI: http://dx.doi.org/10.1063/1.1331089] 

  8. J. H. Lee, S. Y. Lee, and B. O. Park, Mater. Sci. Eng.: B, 127, 267 (2006). [DOI: http://dx.doi.org/10.1016/j.mseb.2005.10.008] 

  9. Y. L. Wang, F. Ren, W. Lim, D. P. Norton, S. J. Peaton, I. I. Kravchenko, and J. M. Zavada, Appl. Phys. Lett., 90, 242103 (2007). [DOI: http://dx.doi.org/10.1063/1.2748306] 

  10. C. S. Hong, H. H. Park, J. Moon, and H. H. Park, Thin Solid Films, 515, 957 (2006). [DOI: http://dx.doi.org/10.1016/j.tsf.2006.07.055] 

  11. S. J. Henley, M.N.R. Ashfold, and D. Cherns, Surf. Coat. Technol., 177, 271 (2004). [DOI: http://dx.doi.org/10.1016/j.surfcoat.2003.09.005] 

  12. S. U. Oh, E. W. Kim, T. Y. Lee, H. I. Kang, B. S. Kim, and J. T. Song,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20, 776 (2007). 

  13. J. J. Kim and H. M. Kim, J. Kor. Vac. Soc., 14, 238 (2005). 

  14. M. S. Wang, E. J. Kim, J. S. Chung, E. W. Shin, S. h. Hahn, K. E. Lee, and C. H. Park, Phys Stat. Sol. A, 203, 2418 (2006). [DOI: http://dx.doi.org/10.1002/pssa.200521398] 

  15. K. H. Kim, K. C. Park, and D. Y. Ma, J. Appl. Phys., 81, 7764, (1997). [DOI: http://dx.doi.org/10.1063/1.365556] 

  16. Y. Zhang, G. Du, and B. Liu, J. Cryst. Growth, 262, 456 (2004). [DOI: http://dx.doi.org/10.1016/j.jcrysgro.2003.10.079] 

  17. D. H. Kong, W. C. Choi, Y. C. Shin, J. H. Park, and T. G. Kim, J. Korean. Phys. Soc., 48, 1214 (2006). 

  18. D. M. Bagnall, Y. F. Chen, M. Y. Shen, Z Zhu, T. Goto, and T. Yao, J. Cryst. Growth, 184, 605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022-0248(98)80127-9] 

  19. N. Kawasaki, Y. Kubozo, H. Okamoto, A. Fujiwara and M. Yamajy, Appl. Phys. Lett. Vol 94, 043310, (2009). http://dx.doi.org/10.1063/1.3076124 

  20. J. H. Lee, D. J. Lee, D. G. Lim, and K. J. Yang, Thin Solid Films, 515, 6094 (2007). [DOI: http://dx.doi.org/10.1016/j.tsf.2006.12.099] 

  21. L. Yuanjie, L. Zilong, J. Kai, and H. Xiaofen, J. Non-Cryst. Solids, 378, 50 (2013). [DOI: http://dx.doi.org/10.1016/j.jnoncrysol.2013.06.014] 

  22. A. Takagi, K. Nomura, H. Ohta, H. Yanagi, T. Kamiya, M. Hirano, and H. Hosono, Thin Solid Films, 486, 38 (2005). [DOI: http://dx.doi.org/10.1016/j.tsf.2004.11.223] 

  23. N. Kawasaki, Y. Kubozo, H. Okamoto, A. Fujiwara, and M, Yamaji, Appl. Phys. Lett., 94, 043310 (2009). [DOI: http://dx.doi.org/10.1063/1.3076124] 

  24. X, Chen, W. Guan, G. Fang, and X. Z. Zhao, Appl. Surf. Sci., 252, 1561 (2005). 

  25. E. Burstein, Phys. Rev., 93, 632 (1954). [DOI: http://dx.doi.org/10.1103/PhysRev.93.632] 

  26. X. Yu, J. Ma, F. Ji, Y. Wang, X. Zhang. C. Cheng, and H. Ma, J. Crystal. Growth, 474, 479 (2005). 

  27. K. Vanheusden, C. H. Seager, W. L. Warren, D. R. Tallant, and J. A. Voight, Appl. Phys. Lett., 68, 403 (1996). [DOI: http://dx.doi.org/10.1063/1.1166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