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질 고 생산성 Chlorella vulgaris 변이주 분리 및 특성 분석
Isolation of Chlorella vulgaris Mutants Producing High Lipid and their Characterization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6 no.5, 2015년, pp.533 - 537  

최수정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박현진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  이재화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 (C. vulgaris)는 다른 미세조류에 비해 다량의 지질을 함유한다. 본 연구는 자외선 조사를 통해 변이주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C. vulgaris에 자외선을 1, 2, 3, 4, 5 min간 조사하였으며 자외선 조사 시간에 비례하여 세포 생존율 및 색소 함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통해 C. vulgaris의 변이주를 유도하였으며, 지질 축적량을 기준으로 두 개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한 변이주는 UM10, 15로 명명하였으며, 야생균주와 동일한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변이주의 특성 분석을 위해 21일간 배양 후 세포 생장률, 건조 중량, 색소 함량, 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종의 변이주는 야생균주에 비해 약 1.4배 높은 세포 생장률을 보였으며, 건조 중량은 약 1.5배 증가하였다. 광합성을 통한 미세조류 내 색소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클로로필카로티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변이주의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모두 야생균주에 비해 약 10%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변이주의 지질 함량은 야생균주에 비해 약 1.2, 1.5배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C. vulgaris) is an important source for bio-diesel because of the high content of neutral lipids.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induce mutants of C. vulgaris by UV-B irradiation. C. vulgaris was first exposed to UV-B for 1, 2, 3, 4, 5 min. As the UV-B exposure tim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균주에 자외선을 조사를 통해 항산화효소 및 단백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C. vulgaris 균주를 개량하였으며 선별된 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미세조류 C. vulgaris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질이 다량 축적된 변이주를 얻고자 하였다. 자외선 조사선량에 따른 C.
  • 자외선 조사에 따른 C. vulgaris의 세포 생존율 및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적합한 자외선 조사선량을 확인하기 위해 UV-B (254 nm)램프를 이용하여 1~5 min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의 특징은? 미세조류는 이산화탄소와 빛 에너지를 이용해 광합성을 통해 생장하기에 광합성 효율이 높으며 육상식물에 비해 단위면적당 생산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1]. 미세조류 내 유용 성분들은 주로 의약품, 폐수 정화, 바이오매스 생산에 이용된다.
미세조류 균주 개량 방법 중 무작위적 돌연변이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세조류 균주 개량 방법으로는 크게 미세조류 세포 내 유전자 정보를 변형하는 방법과 돌연변이원을 처리하여 균주를 개량하는 무작위적 돌연변이법(random mutagenesis)으로 나눌 수 있다[7]. 무작위적 돌연변이법은 미세조류와 같은 미생물의 균주 개량 방법의 일종으로 대사산물의 생산성 증대가 가능하다. 돌연변이 유발을 위해 물리적인 돌연변이원과 화학적인 돌연변이원을 균주에 처리하게 되는데, 물리적인 돌연변이원으로는 전자빔, 자외선, X-ray 조사 등이 있으며 화학적 돌연변이원으로는 ethyl methane sulphonate (EMS), N’-methyl-N’-nitrosoguanidine (MNNG), N’-methyl-N’-nitrosourea (MNU) 등이 있다[8].
미세조류 내 유용 성분들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미세조류는 이산화탄소와 빛 에너지를 이용해 광합성을 통해 생장하기에 광합성 효율이 높으며 육상식물에 비해 단위면적당 생산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1]. 미세조류 내 유용 성분들은 주로 의약품, 폐수 정화, 바이오매스 생산에 이용된다.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 생산은 주로 지질 함유량이 높다고 알려진 종에 국한되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Widjaja, C.-C. Chien, and Y.-H. Ju, Study of increasing lipid production from fresh water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J. Taiwan Inst. Chem. Eng., 40, 13-20 (2009). 

  2. E. Komor and W. Tanner, The determination of the mambrane potential of Chlorella vulgaris, Eur. J. Biochem., 70, 197-204 (1976). 

  3. Z.-Y. Liu, G.-C. Wang, and B.-C. Zhou, Effect of iron on growth and lipid accumulation in Chlorella vulgaris, Bioresour. Technol., 99, 4717-4722 (2008). 

  4. R. L. Mendes, H. L. Fernandes, J. P. Coelho, E. C. Reis, J. M. S. Cabral, J. M. Novais, and A. F. Palavra, Supercritical $CO_2$ extraction of carotenoids and other lipids from Chlorella vulgaris, Food Chem., 53, 99-103 (1995). 

  5. L. E. de-Bashan, J.-P. Hernandez, T. Morey, and Y. Bashan, Microalgae growth-promoting bacteria as "helpers" for microalgae: a novel approach for removing ammonium and phosphorus for municipal wastewater, Water Res., 38, 466-474 (2004). 

  6. J. Kim, G. Yoo, H. Lee, J. Lim, K. Kim, C. W. Kim, M. S. Park, and J.-W. Yong, Methods of downstream processing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from microalgae, Biotechnol. Adv., 31, 862-876 (2013). 

  7. S.-J. Choi, Y.-H. Kim, A. Kim, and J.-H. Lee, Arthrospira platensis mutants containing high lipid content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analysis of its fatty acid composition, Appl. Chem. Eng., 24(6), 628-632 (2013). 

  8. J.-H. Kim, H.-J. Park, Y.-H. kim, H. Joo, S.-H. Lee, and J.-H. Lee, UV-induced mutagenesis of Nannochloropsis oculata for the increase of lipid accumulation and its characterization, Appl. Chem. Eng., 24(2), 155-160 (2013). 

  9. H.-Y. Jeong and K.-R. Kim, Strain improvement based on ion beam induced mutagenesi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235-243 (2010). 

  10. E. C. Friedberg, DNA damage and repair, Nature, 421, 436-440 (2003). 

  11. H.-J. Park, Y.-H. Kim, and J.-H. Lee, Characterization of Arthrospira platensis mutants generated by UV-B irradiation, Appl. Chem. Eng., 23, 496-500 (2012). 

  12. Y.-H. Kim and J.-H. Lee, Isolation of Arthrospira platensis mutants producing high lipid and phycobiliproteins, Kor. Soc. Biotechnol. Bioeng. J., 27, 172-176 (2012). 

  13. A. M. Abo-Shady, B. A. Al-ghaffar, M. M. H. Rahhal, and H. A. Abd-El Monem, Biological control of faba bean pathogenic fungi by three cyanobacterial filtrates, Pakistan J. Biol. Sci., 10, 3029-3038 (2007). 

  14. S.-J. Choi, Y.-H. Kim, I.-H. Jung, and J.-H. Lee, Effect of nano bubble oxygen and hydrogen water on microalgae, Appl. Chem. Eng., 25(3), 324-329 (2014). 

  15. S.-R. Moon, B.-K. Son, J.-O. Yang, J.-S. Woo, C. M. Yoom, and G.-H. Kim, Effect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Bemisia tabaci, Myzus persicae, Plutella xylostella and Tetranychus urticae, Kor. J. Appl. Entomol., 49(2), 129-137 (2010). 

  16. W. Chen, M. Sommerfeld, and Q. Hu, Microwave-assisted Nile red method for in vivo quantification of neutral lipids in microalgae, Bioresour. Technol., 102, 135-141 (2011). 

  17. E. Bertozzini, L. Galluzzi, A. Penna, and M. magnani, Application of the standard addition method for the absolute quantification of newtural lipids in microalge using Nile red, J. Microbiol. Methods., 87, 17-23 (2011). 

  18. D. F. Gleason, Differential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green and brown morphs of the caribbean coral Porites astreoides, Limnol. Oceanogr., 38(7), 1452-1463 (1993). 

  19. R. D. Vinebrooke and P. R. Leavitt,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periphyton in an alpine lake, Limnol. Oceanogr., 41(5), 1035-1040 (1996). 

  20. M. S. Estevez, G. Malanga, and S. Puntarulo, UV-B effects on antarctic Chlorella sp. cells, J. Photochem. Photobiol. B., 62, 19-25 (2001). 

  21. R. Sharma, Impact of solar UV-B on tropical ecosystems and agriculture. Case study: Effect of UV-B on rice, Proceedings of SEAWPIPT98 & SAEWPIT2000, 1, 92-101 (2001). 

  22. S. L. Dube and W. Vidaver, Photosynthetic competence of plantlets grown in vitro. An automated system for measurement of photosynthesis in vitro, Physiol. Plant., 84(3), 409-416 (1992). 

  23. S. Boussiba, B. Wang, P. P. Yuan, A. Zarka, and F. Chen, Changes in pigments profile in the green alga Haematococcus pluvialis exposed to environmental stresses, Biotechnol. Lett., 21, 601-604 (1999). 

  24. S. H. Oh, J. G. Han, N. Y. Kim, J. S. Cho, T. B. Yim, S. Y. Lee, and H. Y. Lee, Cell Growth and Lipid Production from Fed-batch Cultivation of Chlorella minutissima according to Culture Conditions, Kor. Soc. Biotechnol. Bioeng. J., 24(4), 377-38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