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장품 소재로서 빈랑자의 항산화 및 미백활성에 관한 효과
A Study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Activities of Areca semen Extracts as Cosmetic Ingredien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1 no.3, 2015년, pp.269 - 277  

강희철 ((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 ,  차미연 ((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 ,  김재영 ((주)지에프씨 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 활성과 미백활성을 갖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찾기 위하여 한방 소재로 사용되는 빈랑자[Areca semen (A. semen)]를 유기용매 추출을 통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였다. 추출된 활성 분획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세포독성 및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 및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저해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빈랑자는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의 분획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빈랑자 추출물에서 페놀성 물질$301.35{\pm}0.88{\mu}g/mg$으로 측정되었다. 항산화 효과는 DPPH assay와 FRAP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와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 epidermidis)에서 모두 $80{\mu}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scherichia coli (E. coli)에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미백소재로서의 활성을 확인하여 B16/F1 mouse melanoma cell을 이용하였으며 최대 처리농도인 $80{\mu}g/mL$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은 $80{\mu}g/mL$에서 $29.44{\pm}0.71%$로 측정되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은 mRNA expression assay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tyrosinase와 MITF 유전자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빈랑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항산화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화장품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rbal plant extracts are good resources to find functional compounds for cosmetic ingredient. In this study, the extract of Areca semen (A. semen) was studied for melanogenesis inhib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of A. semen contained phenolic con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빈랑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분리하고 이 분획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α-melanin stimulating hormone (α-MSH) 의하여 활성화된 B16/F1마우스 세포에서의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assay와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assay를 수행하였으며 B16/F1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멜라닌 합성량과 나아가 멜라닌합성 관련 유전자의 저해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빈랑자의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닌의 생성은 피부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이에 더하여 자외선으로 인하여 생성된 ROS는 멜라닌 세포에 멜라닌 합성을 증가 시킨다[6]. 멜라닌의 생성은 UV 노출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피부방어기작이다[7]. 멜라닌은 여러 효소에 의해 합성되며 tyrosinase는 L-tyrosine을 L-dihydroxy phenylalanine (L-DOPA)으로, L-DOPA을 DOPAquinone으로 변화시킨다.
미백효과를 얻기 위해 멜라닌 합성 효소의 발현을 저해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은 black과 brown 색소인 eumelain 생성에 관여 하며 microphthalmia-associatedtranscription factor (MITF)는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와 TRP-1, TRP-2 등의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로 이들 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멜라닌을 합성하게 된다[8]. 그러나 외부자극에 의하여 과발현된 멜라닌은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며 나아가 병변으로 발달되어 흑색종으로 발달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멜라닌의 과발현을 억제하고 미백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멜라닌합성 효소의 발현을 저해시켜야 한다.
빈랑자는 무엇인가? 따라서 화장품산업에서는 멜라닌합성 관련효소들을 저해하는 원료를 찾기 위하여 한방소재를 이용한 미백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빈랑자는 A. semen Linne의 성숙한 열매의 껍질을 벗겨 가공한 것으로 guvacine, arecaidine, arecoline 등과 같은 alkaloid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9], 장양(壯陽 : 신(身)의 양기를 강장시킴) 한방소재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tyrosinase 저해 활성에 대한 효과도 보고되어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 Tsuji, S. Moriwaki, Y. Suzuki, Y. Takema, and G. Imokawa,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 (2001). 

  2. O. J. Wiedow, M. Schroder, and E. Christophers, Elafin: an elastase specific inhibition of human skin, J. Biol. Chem., 265, 14791 (1990). 

  3. V. Afonso, R. Champy, D. Mitrovic, P. I. Collin, and A. Lomri, Reactive oxygen species and superoxide dismutases role in joint diseases, Joint Bone Spine, 74, 324 (2007). 

  4. M. J. Davies, Reactive oxygen species, metalloproteinases, and plaque stability, Circulation, 97, 2382 (1998). 

  5. D. Bagchi, D. M. Bagchi, E. A. Hassoun, and S. J. Stohs, In vitro and in vivo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DNA damage and lactate dehydrogenase leakage by selected pesticides, Toxicology, 104, 129 (1995). 

  6. J. Yamakoshi, F. Otsuka, A. Sano, S. Tokutake, M. Saito, and M. Kikuchi,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 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ment. Cell Res., 16, 629 (2003). 

  7. Y. Miyamura, S. G. Coelho, R. Wolber, S. A. Miller, K. Wakamatsu, B. Z. Zmudzka, S. Ito, C. Smuda, T. Passeron, W. Choi, J. Batzer, Y. Yamaguchi, J. Z. Beer, and V. J. Hearing, Regulation of human skin pigmentation and responses to ultraviolet radiation, Pigment. Cell Res., 20, 2 (2006). 

  8. A. Snchez-Ferre, J. N. Rodriguez-Lopez, F. Garcia-Canovas, and F. Garcia-Carmona, Tyrosinase: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mechanism, Biochim. Biophys. Acta., 1247(1), 1 (1995). 

  9. S. S. Lee, S. Y. Kim. K. H. Son, S. J. Kang, S. Y. Chang, J. H. Park, and K. S. Lee,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recoline from Arecae semen, Kor. J. Phamacogn., 32(1), 39 (2001). 

  10. J. H. Park, et al.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ome herbal drugs." Kor. J. Herbology, 41(4), 518 (1997). 

  11. T. Gutfinger,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11), 966 (1981). 

  12.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0 (1958). 

  13. I. F. F. Benzie and J. J. Strain,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1), 70 (1996). 

  14. J. Hosoi, E. Abe, T. Suda, and T. Kuroki,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4), 1474 (1985). 

  15. M. T. Huang, C. T. Ho, and C. Lee,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 on health (2),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CS Symp., 207, 54 (1992). 

  16. A. M. Fine, Oligomeric proanthocyanidin complexs: History, structure, and phytopharmaceutical application Altern. Med. Rev., 5, 114 (2000). 

  17. S. E. Lee, E. M. Joo, and J. H. Kim, Protective effect of natural medicinal plants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Environ. Health Toxicol. 15(4), 147 (2000). 

  18. E. J. Kim, J. Y. Choi, M. R. Yu, M. Y. Kim, S. H. Lee, and B. H. Lee,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m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 337 (2012). 

  19. Y. H. Kang, Y. K. Park, S. R. Oh, and K. D. Moon,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 (1995). 

  20. E. Y. Kim,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Sci. Technol., 36, 333 (2004). 

  21. K. H. Kim, N. Y. Kim, S. H. Kim, I. A. Han, and H. S. Yook, Study on antioxidant effects of fractional extract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9), 1220 (2012). 

  22. Y. E. Yu, E. Y. Park, D. H. Jung, S. H. Byun, S. C. Kim, and S. M. Park, Antibacterial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herb extracts against skin pathogens, J. Life Sci., 20(7), 1143 (2010). 

  23. J. M. Sargent and C. G. Taylor, Appraisal of the MTT assay as a rapid test of chemosensitivity in acute myeloid leukaemia, B. J. of cancer, 60(2), 206 (1989). 

  24. J. E. Chin and N. C. Cho, The effects of Areca catechu extracts on tyrosinase gene expression in B16 mouse melanoma cells, Korean J. Food & Nutr., 20(2), 240 (2007). 

  25. A. Slominski, D. J. Tobin, S. Shibahara, and J. Wortsman,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 Rev., 84(4), 1155 (2004). 

  26. L. Rodriguez and N. Jose, Analysis of a kinetic model for melanin biosynthesis pathway, J. Bio. Chem., 267(6), 3801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