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0, 2015년, pp.636 - 646
In information society, the need to detect document duplication and plagiarism is increasing. Many studies have progressed to meet such nee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increasing document duplication detection quality due to technological problem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cently, some stu...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유사도 계산기에서 유사도는 어떻게 계산되는가? | 유사도 계산기는 비교대상의 두 문서에 대해 표현된 사상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해석, 구문의미해석을 거쳐 나온 형태소군, 구문의미트리군과 용어추출기를 통해 나온 용어군을 기본으로 하고 유사트리 추출기를 통해 획득한 유사구문의미트리군을 벡터값으로 표현하고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 |
본 연구의 유사문서 판별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 유사문서 판별 시스템은 크게 형태소해석기, 용어추출기, 구문의미분석기, 의미추출기, 유사트리 추출기, 유사도 계산기로 구성된다. 형태소 해석기는 형태소 사전을 활용하여 형태소를 추출한다. | |
표절과 복제를 탐지하거나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나뉘는가? | 그 연구들은 두 갈래로 나뉜다. 한 분야는 프로그램 소스 표절에 대한 연구이고 다른 분야는 일반문서 표절에 대한 연구이다. 프로그램 소스 분야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
장성호, 강승식, "용어 선별기법에 의한 유사문서 판별시스템", 2003년도 정보과학회 봄학술발표논문집, 제30권 제1호, pp.534-536, 2003.
김혜숙, 박상철, 김수형, "단어가중치기반 문서간 유사도 측정에 관한 연구", 2003년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198-201, 2003.
지혜성, 조준희, 임희석, "한국어 문장 표절 유형을 고려한 유사 문장 판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79-89, 2010.
강원석, 황도삼, Jung H Kim, "구문의미분석을 이용한 유사문서판별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40-51, 2014.
김영철, 최재영, "구문트리에서 키워드 추출을 이용한 프로그램 유사도 평가",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제12-A권 제2호, pp.109-116, 2005.
지정훈, 우균, 조환규, "바이트코드 분석을 이용한 자바프로그램 표절검사기법", 정보과학회 논문지 : 소프트웨어및응용, 제35권, 제7호, pp.442-451, 2008.
Daniel R. White and Mike S. Joy, "Sentence-Based Natural Language Plagiarism Detection", ACM Journal on Educational Resources in Computing, Vol.4, No.4, pp.1-20, 2004.
허원지, 정용규, "문서간 유사도 측정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제38권 제2호(C), pp.122-124, 2011.
천승환, 김미영, 이귀상, "유사 어절트리와 비색 인어 기반의 문서표절 유사도 분류 방법", 한국컴퓨터산업교육학회 논문지, 제3권, 제8호, pp.1039-1048, 2002.
손정우, 박성배, "구조 및 의미 정보를 활용한 파스트리 커널 기반의 온톨로지 정렬 방법",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6권, 제4호, pp.329-334, 2009.
신미애, 고방원, 김영철, 정진영, "문서구조정보 기반의 유사도 측정", 2010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논문집, 제18권, 제2호, pp.499-502, 2010.
김재훈, 선충녕, 홍상욱, 이성욱, 서정연, 조정미, "KTAG99: 새로운 환경에 쉽게 적응하는 한국어 품사 태킹 시스템",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논문집, pp.99-105, 1999.
강원석, 노주환, 제환주, 조대흠, 황세연, 정부천, "검색엔진을 위한 키워드 관련어 추출기의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7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pp.241-246, 2007.
국립국어연구원, 21세기 세종계획 성과물, 200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