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가제에 따른 변성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마찰에 의한 표면 파괴 거동 연구
A Study on Friction-induced Surface Fracture Behaviors of Carboxylic Acid Modified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as Additive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6 no.3, 2015년, pp.95 - 100  

전준하 (한국신발피혁연구원) ,  박상민 (한국신발피혁연구원) ,  이진혁 (한국신발피혁연구원) ,  엄기용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산화아연, 아연이온이 코팅된 실리카가 carboxylic acid로 변성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m-TPS) film의 마찰시 표면 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일반 실리카를 첨가한 m-TPS film은 실리카 입자간의 강한 filler-filler interaction에 의한 낮은 분산성 때문에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과 마찰시 표면 파괴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아연 또는 아연이온이 코팅된 실리카를 첨가한 m-TPS는 zinc ion과 carboxylic acid group 간의 ionic cluster 형성을 통하여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과 마찰 시 표면 파괴가 개선되었다. Zinc ion과 carboxylic acid group 간의 ionic cluster 형성은 $1550{\sim}1650cm^{-1}$의 zinc carboxylate group stretch 피크의 FT-IR 분석 결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we observed the effect of silica, zinc oxide, zinc ion coated silica on carboxylic acid modified 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m-TPS) film for friction-induced surface fracture. m-TPS film added general silica showed poor mechanical properties, anti-abrasion and friction-induced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rboxylic acid로 변성된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m-TPS)에 실리카, 산화아연, 아연이온이 코팅된 실리카를 첨가하여 실리카의 분산성을 개선하고 ionic cluster를 형성하여 마킹 문제가 개선된 신발 겉창용 소재로 TPS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였다.
  • 순간적인 큰 힘에 의한 마찰 시 스티렌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표면 파괴와 접촉면에 마킹 발생되는 문제의 개선 위해 본 연구에서는 carboxylic acid modified SEBS에 실리카, 산화아연과 아연이온이 코팅된 실리카를 첨가해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고무 탄성체의 단점은? 일반적인 고무 탄성체는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고분자들 사이에 화학적 가교결합을 도입한 것으로, 가교결합이 형성된 후 용융성형이 곤란하여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열가소성 탄성체는 고무탄성을 가지면서 물리적 가교점을 형성하여 가역적인 변환을 통해 가교 비가교간 상호 전환이 가능해 재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고분자 소재이다.
열가소성 탄성체의 물성 개선을 위해 실리카를 첨가할 경우 문제점은? 내마모성 등의 물성 개선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써 실리카 첨가를 통한 물성 개선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실리카는 표면에 극성기인 silanol group (-OH)에 의한 강력한 filler-filler interaction은 분산성을 저하시켜 물성 보강 특성보다는 불순물로써 작용하여 오히려 물성이 저하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TPS의 활용은? 대표적인 열가소성 탄성체들 중의 하나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탄성체(styrenic thermoplastic elastomer, TPS)는 상온에서 폴리스티렌 블록(hard phase)과 엘라스토머(폴리부타디엔 등) 블록(elastomer block)이 상분리된(phase-separated) 구조를 가지며 상온에서 glassy 상태인 폴리스티렌블록이 물리적 가교(physical crosslinking) 역할을 하게 되어 고무와 같은 탄성을 상온에서 가지게 되며, 폴리스티렌의 유리전이 온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흐름성을 가져서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TPS는 자동차 에어백커버, 인테리어 스킨, 인스트루먼트 패널, 튜브, 파이프, 필름 등의 자동차 부품 소재와 아스팔트 개질재, 접착제, 실란트, 폴리머 개질재, 신발창 등 산업 및 생활 소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노동집약적이며 공정이 복잡한 프레스 성형으로 제조되는 가교 고무형 신발겉창을 고속 사출성형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활성화 되어왔지만 고무와 비교해서 낮은 내마모성과 순간적으로 큰 힘으로 마찰시 표면이 파괴되어 접촉면에 마킹(Marking)이 발생되는 문제 때문에 아동화 등의 일부 저가 신발에만 적용되고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 Holdend, E. T. Bishop, and N. R. Lege, J. Polym. Sci. C., 26, 37 (1969). 

  2. D. J. Meier, J. Polym. Sci. C., 26, 81 (1969). 

  3. P. S. Pillai, D. J. Livingston, and J. D. Strang, Rubber Chem. Technol., 45, 241 (1972). 

  4. K. C. Choi, E. k. Lee, S. Y. Choi, and S. J. Park, J. Korean Ind. Eng. Chem., 13, 87 (2002). 

  5. M. S. Jeon, Rubber Technology of Korea, 8, 129 (2007). 

  6. Y. Lee, J. Jeong, and J. Park, Elast. Compos., 45, 245 (2010). 

  7. E. J. Choi, J. H. Yoon, J. K. Jo, S. E. Shim, J. H. Yun, and I. Kim, Elast. Compos., 45, 170 (2010). 

  8. P. Sae-oui, C. Sirisinha, U. Thepsuwan, and K. Hattapanit, Eur. Polym. J., 42, 479 (2006). 

  9. Y. S. Choi, J. H. Lee, J. S. Kim, G. J. Kim, J. W. Bae, and C. Y. Park, Autumn Academic Symposium of Rubber Society of Korea, A-8 (2012). 

  10. J. H. Lee, J. W. Bae, J. S. Kim, Y. M. Yoon, and N. J. Jo, Elast. Compos., 48, 225 (2013). 

  11. H. D. Shin, D. H. Kim, and G. N. Kim, Elast. Compos., 49, 191 (2014). 

  12. R. A. Weiss, J. A. Fitzerald, and D. Kim, Macromolecules, 24, 1071 (1991). 

  13. P. Antony and S. K. De, J. Macromol. Sci. Polim. Rev., C41, 41 (2001). 

  14. S. Bagrodia, G. L. Wilkes, and J. P. Kennedy, Polym. Eng. Sci., 26, 662 (1986). 

  15. J. W. Bae, J. S. Kim, J. H. Lee, G. N. Kim, S. T. Oh, Y. H. Lee, and H. D. Kim, Asian J. Chem., 25, 5272 (2013). 

  16. J. H. Jeon, S. M. Park, G. Y. Um, and J. W. Bae,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14, 121 (2013). 

  17. B.A. Brozoski, M. M. Coleman, and P. C. Pianter, Macromolecules, 17, 230 (1984). 

  18. A. C. Yang, J. E. Ayala, and J. Campbell Scoot, J. Mater. Sci., 26, 662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