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향기 선호와 향기에 의한 이미지, 색채 및 TPO 연상
Consumer's Fragrance Preference and Image, Color and TPO Associations with Fragranc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9 no.4, 2015년, pp.529 - 544  

김다혜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김태연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서기용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이승현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정인희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fragrance preferences as well as image, color, and TPO associations with fragrance. Eight branded perfumes of four fragrance famil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p note (floral, fruity, green, and citrus) as stimuli; consequently, fragrance preferences and as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수란 무엇이며 특징은? 향수는 여러 종류의 향료에 알코올을 혼합하여 향을 휘발시키는 것으로서(Doopedia, 2015) 어떤 향료들을 조합하여 제조하였는가에 따라 향수를 뿌린 후 시간이 지나면서 향의 느낌이 달라진다. 따라서 향은 발향 단계에 따라톱노트(top note), 미들노트(middle note), 베이스노트(base note), 그리고 향의 지속적인 여운에 해당하는 트레일(trail) 등으로 구분한다(Song, 2004).
향은 발향 단계에 따라 향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향수는 여러 종류의 향료에 알코올을 혼합하여 향을 휘발시키는 것으로서(Doopedia, 2015) 어떤 향료들을 조합하여 제조하였는가에 따라 향수를 뿌린 후 시간이 지나면서 향의 느낌이 달라진다. 따라서 향은 발향 단계에 따라톱노트(top note), 미들노트(middle note), 베이스노트(base note), 그리고 향의 지속적인 여운에 해당하는 트레일(trail) 등으로 구분한다(Song, 2004). 톱 노트는 조합된 향료 가운데 가장 휘발성이 높은 성분으로 향수가 공기와 접촉을 시작한 후 2시간 정도 지속되고, 미들 노트는 2~3시간, 베이스 노트는 6시간 이상 지속된다(Woo, 2005).
때와 장소, 상황, 기분, 행사의 특성 등에 따라 향수를 구별하여 사용하는 예는? , 2000). 예컨대 보다 가볍고 상쾌한 향수는 여름용으로, 감싸주는 느낌이 있으며 따뜻하고 잘 퍼지는 향수는 겨울용으로 선호하는 식이다(Kim, 2009). 마치 조향사들이 향을 만드는 창조적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향료 및 특정 상황이나 분위기로부터 영감을 얻듯이(Han & Rang, 2004) 향수 소비자들은 역으로 향수의 향을 통해 원료의 색채나 특유의 상황과 분위기를 연상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ik, E. J., Lee, Y. Y., Gim, W. S., & Lee, B. H. (1999). Subjective sensibility factors determining the preference of perfume.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2), 23-30. 

  2. Cambridge Dictionaries Online. (2015). Association. Cambridge Dictionaries Online. Retrieved April 5, 2015, from http://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british/association 

  3. Chung, I. H., & Rhee, E. Y. (1996). Clothing and self-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1), 207-217. 

  4. Churchill, A., & Behan, J. (2010). Comparison of methods used to study consumer emotions associated with fragrance.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1(8), 1108-1113. 

  5. Doopedia. (2015). Perfume. doopedia. Retrieved April 4, 2015,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3416 

  6. Han, S. K., & Rang, M. J. (2004). Recent fragrance trends.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0(4), 555-559. 

  7. Kim, M. K., Chung, I. H., & Sung, H. K. (2002). The brand image of apparel: A qualitative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1), 1558-1569. 

  8. Kim, Y. J. (2008). Cross-modal associations between colors and fragrances for commercial perfume.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3), 427-439. 

  9. Kim, Y. J. (2010). Degree-of-association judgments of fragrances with color hues and tone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3), 559-572. 

  10. Kim, Y. J., & Kwon, E. S. (2001). The effect of food color on the association of flavor: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4(2), 25-32. 

  11. Kim, Y. S. (2009). A study on the perfume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men's fashion lifestyl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4), 933-944. 

  12. Kwon, G. Y. (2003). The study of body characteristics and fashion in fragrance advertis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3), 35-48. 

  13. Lee, K. H. (2009). Basic arrangement of colors. Gumi: Spectrum. 

  14. Lindqvist, A. (2012), How is commercial gender categorization of perfumes related to consumers' preference of fragrance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65(3), 370-374. 

  15. Moon, H. G., & Youn, C. R. (2011). Adolescent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image association with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Korean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 51-62. 

  16. Porcherot, C., Delplanque, S., Gaudreau, N., & Cayeux, I. (2013). Seeing, smelling, feeling! Is there an influence of color on subjective affective responses to perfumed fabric softner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7(2), 161-169. 

  17. Ryou, E. J., Kim, K. H., & Yi, K. H. (2000). A study on the perfume purchasing behaviors and fashion leadership.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12), 101-110. 

  18. Sephora. (2015). Perfume. Sephora. Retrieved February 14, 2015, from http://www.sephora.com/perfume? 

  19. Shin, S. Y., Baek, J. U., Lee, H. C., & Rhee, Y. W. (2010). Concrete association and abstract association in color.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s Conference, Fall Conference, Korea, 655-656. 

  20. Song, I. G. (2004). The story of perfume. Paju: Hangilsa. 

  21. Woo, H. R. (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purchasing behaviors of perf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2. Woo, S. J., & Cho, G. S. (2003). A study on compound sensibility of orders and colors for aromatic fabric desig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6(2), 37-47. 

  23. Yi, K. H., Ryou, E, J., & Kim, K. H. (2000). Perfume consumption behavio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frequency of perfume us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6), 143-153. 

  24. Yoh, E. A. (2005). Effect of fragrance sensibility factors on attitude toward and buying intention of perfume products: Focusing on age and purchase level group comparis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6), 772-782. 

  25. 수입유통사.대기업, 니치향수로 불황 극복한다 [Retailers importing goods and conglomerates overcome the recession with niche perfume]. (2015, January 27). Etnews. Retrieved February 18, 2015, from http://www.etnews.com/20150127000054 

  26. [신제품인사이드] 향수 매출 전년比 18% $\uparrow$ 신제품 출시 봇물 [[Inside new product] Sales volume of perfume increased 18% compared to last year, and launching new product is a boom]. (2014, November 16). Chosun Biz. Retrieved February 18, 2015, from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1/16/201411160 0670.html 

  27. 향수, 백화점 매출 견인..."불황속 작은 사치 자극" [Perfume, leading the sales volume of department stores..."motivating small luxury during a recession"]. (2015, January 14). Newsis. Retrieved February 18, 2015, from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114_0013414413&cID10408&pID104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