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 및 브래지어 유형에 따른 의복압과 주관적 감각
Clothing Pressure and Subjective Sensations Depending on Breast and Bra Typ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9 no.4, 2015년, pp.586 - 600  

손부현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최진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권수애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clothing pressure and subjective sensations in brassieres depending on breast type or bra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lothing pressure and subjective sensation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reast type. The flat type breast and drooping type breast have a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방유형에 따른 특징이나 유방유형별 브래지어 착용 시 문제점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브래지어의 종류 또한 착용쾌적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유형뿐만 아니라 기존의 브래지어 유형에 따른 의복압과 착용감 평가를 실시하여 유방유형에 따른 적절한 브래지어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유방 및 브래지어 유형 간의 비교를 위해 동일한 75B컵 브래지어를 착용하면서 유방유형이 다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브래지어 종류별 의복압 측정에 따른 생리적 반응과 착용효과 및 착용기능에 관한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여 유방유형별 기존의 브래지어 착용 시의 문제점을 브레지어 종류별로 밝히고, 유방유형에 따른 브래지어 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유방유형별 적합도가 높은 브래지어 설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유방유형과 브래지어 종류별 의복압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착용효과와 착용기능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하수형과 납작형의 유방을 가진 경우 의복압 평가에서나 주관적 평가에서 대체로 만족도가 낮았으므로 이러한 유형의 브래지어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래지어의 역할은? 파운데이션 중 성인 여성의 97.7%가 착용하는(Kim & Sohn, 1998) 브래지어는 유방을 보호하고 받쳐주며 가슴의 모양을 교정하여 이상적인 상체 실루엣을 만드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자신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정확한 사이즈와 브래지어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일본의 와코루 인간과학 연구소에서 분류한 옆면에서 본 유방의 형태는? 여성 유방의 유형은 개인차, 인종 차이가 크며 유전적 영향, 임신이나 수유, 연령에 따라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유방형태의 분류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일본의 (주)와코루 인간과학연구소(日本ワコル人間科學硏究所)(as cited in Sohn, 2006)에서는 옆면에서 본 유방의 형태를 납작형, 원추형, 반구형, 돌출형, 하수형I, 하수형II의 6가지로 분류하였으며, R. Martin(as cited in Kim et al.
지나친 의복압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은? 인체에 가해지는 적당한 압력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인체의 진동을 방지하는 방진효과가 있지만 지나친 의복압은 여러 가지 생리적 장해를 일으킨다. 지속적인 의복압은 단순한 동작구속성을 넘어 위장이나 심장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복부와 허리 부분의 근육을 퇴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Park, 1990; Shim & Kim, 1986) 심폐기능에 부담을 주고 맥박의 감소와 피부온 저하를 가져온다(Kim, 1987; Lee, 1989; Shim, 1991). 따라 서 의복의 설계에 있어서 의복압의 문제는 위생학적으로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으며 원활한 피부혈액순환을 위해서는 의복에 의한 지나친 구속을 받지 않도록 하는 의복설계상의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ck, Y. J. (2003). Permissible safety limits in garment pressure focused on the parts of human bo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Cha, S. J., & Sohn, H. S. (2010). The conditions for wearing and purchasing brassieres by Korean women-Based o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2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303-317. 

  3. Choi, J. Y., Sohn, B. H., & Kweon, S. A. (2013). Changes in body size and fitness according to breast and brassier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2), 138-150. doi:10.5850/JKSCT.2013.37.2.138 

  4. Harada, T. (2001). 의복환경과학 [Clothing and environmental sciences] (M. S. Chu, Trans.). Seoul: Kyungchoo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5. Jeong, J. L., & Kim, H. E. (2006). Comparative evaluation of clothing pressure and subjective sensation exerted by found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11), 1531-1537. 

  6. Jung, M. S., & Ryu, D. H. (2002). The effect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knitted fabrics on the clothing pressure of foundation wea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1(1), 79-93. 

  7. Kim, H. S. (1987).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the microclimate in gird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Kim, Y. S., & Sohn, H. S. (1998).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ctual wearing condition of foundation garments for adult wome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 98-108. 

  9. Kim, Y. W., & Lee, M. J. (2001). A study on the wearing conditions of brassiere for the twenties-aged women. Life Science Research, 7, 69-78. 

  10. Kim, Y. W., Kweon, S. A., & Sohn, B. H. (2010). Establishment of brassiere cup size and analysis on breast vol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 67-78. 

  11. Korea Council of Sport for All. (2014, March 5). 국민체조 도해서입니다 [National Gymnastics illustration]. Korea Council of Sport for All. Retrieved July 21, 2014, from http://www.sportal.or.kr/sportal.do?modeview&article_seq62086&menu_id0408000000&cpage2&rows&year&month&condition&keyword 

  12. Lee, J. S. (1989). Effect of the Korean skirt-band size on pressure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of human bo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3(2), 109-116. 

  13. Lee, M. J., & Kim, Y. W. (2002). Distribution of clothing pressure under the brassier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2), 178-185. 

  14. Lee, S. W., Kim, G. J., Nam, Y. J., Noh, H. S., Jeong, M. S., Choi, G. M., & Choi, Y. G. (2002). 의복 체형학 [Body type clothes]. Seoul: Koehakyeungusa. 

  15. Oh, S. Y., Choi, H. S., & Lee, K. H. (2006). A survey on the actual wearing condition for the improvement of fit of brassie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9), 1378-1388. 

  16. Park, Y. D. (199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earing-girdle on the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8(1), 1-7. 

  17. Park, Y. S. (2002). A study on establishment of brassiere size and clothing pressure for the twenties-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18. Park, Y. S. (2006). The plan on brassiere of reduce clothing pressure for the twenties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4(3), 40-44. 

  19. Park, Y. S., & Lim, Y. J. (2002). A study on establishment of brassiere size and clothing pressure for the twenties-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8), 15-27. 

  20. Shim, B. J. (1991). Studies on garment restraint (I)-Change of skin temperature by continuous restrai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9(1), 13-25. 

  21. Shim, B. J., & Kim, S. J. (1986). A study on the effect of girdle pressur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4(4), 1-11. 

  22. Sohn, B. H., & Kweon, S. A. (2012). A survey on wearing of brassieres according to body and breast type of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8), 791-801. doi:10.5850/JKSCT.2012.36.8.791 

  23. Sohn, H. J. (2006). Lingerie patterns. Seoul: Kyungchoonsa. 

  24. Song, K. H., Kim, J. H., & Park, S. H. (200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asurement system for clothing pressur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1(3), 307-319. 

  25. Suh, C. Y. (2010). Comparative pattern analysis and the fitness evaluation of brassie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73-6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