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 변화에 따른 의복압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the Garment Pressure by Postur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5, 2009년, pp.775 - 781  

김양원 (대전대학교 패션디자인비즈니스학과) ,  백윤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garment pressure in daily wearing and in ordinary posture. Ninety-nine college women students majoring the fashion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IBP questionnaire, garment pressure, personal preferring pressure sensations(questionnaire),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에 민감한 20대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착용하고 있는 의복에서 신체 부위별 의복압 분포가 어느 수준이며 일상적으로 취하는 자세에서 의복압 분포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상적으로 취하는 자세에 따라 일상생활에서의 의복압 분포가 어느 수준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패션에 민감한 여대생 94명을 대상으로 의복압과 의복압 측정 당시 착의 실태 (IBP 설문지), 주관적 의복압 선호 정도(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세 변화에 따른 신체부위별 의복압과 주관적 의복압 감각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현식, 최정화. (1987). 거들 착용이 인체 생리 반응과 의복 기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1(2), 57-67 

  2. 박영득, 김효은. (1990). 거들 착용이 신체내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7 

  3. 백윤정, 최정화, 이경숙. (2007). 브래지어와 허리거들에 있어서 의복압 측정부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3), 445-453 

  4. 백윤정, 최정화. (2007). 거들과 올인원의 의복압 측정부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4), 609-616 

  5. 백윤정, 최정화. (2008). 탄성압박밴드를 이용한 인체부위별 의복압 가압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0), 1651-1658 

  6. 성수광, 김진영. (1994). 체위별 동작과 치마 말기 치수에 따른 한복의 의복압. 한국인간온열환경학회지, 1(3), 201-209 

  7. 심부자, 박혜준. (1994). 시판 스타킹의 착용에 따른 쾌적성 연구. 한국인간공학회지, 18(1), 71-90 

  8. 심부자, 최선희. (1993). 의복의 구속성에 관한 연구(III): 화운데이션의 의복압과 근활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7(2), 197-206 

  9. 심부자, 최선희. (1994). 의복의 구속성에 관한 연구(IV): 슬랙스 착용시의 하지부 압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8(3), 387-394 

  10. 안영숙. (1986). 화운데이션 착용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안필자, 최정화. (1992). 기후적응과 착의량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1), 1-14 

  12. 이미진. (2002). 브래지어 착용에 의한 의복압 분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원자, 심규남, 김진수, 박승순. (2000). 생활환경온도와 착의량이 기초대사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8(3), 374-386 

  14. 이전숙. (1989). 한복 치마허리 치수가 인체의 압력과 심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3(2), 109-116 

  15. 이종민. (2000). 서늘한 환경 노출시 고탄력 팬티 스타킹 착용의 온열 생리적 변화. 한국의류학회지, 24(5), 696-701 

  16. 이준옥. (2001). 개인별 맞춤 거들 제작을 위한 기초연구: 비만 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최혜선, 강여선. (1991). 기능적 brassiere 개발에 관한 연구(II): bust up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5(3), 229-238 

  18. 최혜선, 손부현. (1996). 기능적 sports-brassiere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 452-466 

  19. 황수경, 성화경, 최정화. (1999). 20대 성인 남녀의 월별·계절별 착의량. 한국의류학회지, 23(4), 517-528 

  20. Dirik, E., Aydin, A., Kuruk, S., & Sahin, B. (2001). Limb girdle muscular dystrophy type 2A presenting with cardiac arrest. Pediatric Neurology, 24(3), 235?237 

  21. Hafner, J., Luthi, W., Hanssle, H., Kammerlander, G., & Bueg, G. (2000). Instruction of compression therapy by means of interface pressure measurement. Dematology Surgery, 26, 481-487 

  22. Ng, S. F. F. & Hui, C. L. P. (1999). Effect of hem edges on the interface pressure of pressure gar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11(5), 251?261 

  23. Shelton, F., Barnett, R., & Meyer, E. (1998). Full-body interface pressure testing as a method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linical support surfaces. Applied Ergonomics, 29(6), 491-497 

  24. Tazelaar, D. J., Neumann, H. A. M., & Roos, K. P. (1999). Long cotton wool rolls as compression enhancers in macrosclerotherapy for varicose veins. Dematology Surgery, 25, 38-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