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0 no.3, 2015년, pp.282 - 292
김상열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한상익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오성환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이종희 (농촌진흥청) , 박노봉 (국립식량과학원) , 권오덕 (국립식량과학원) , 권영업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Seeds of colored rice generally have high anthocyanin and flavonoid content but some cultivars have low seed germination rate. This defect poses un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in nursery bed. The seed gravity variations of 10 colored rice varieties and its effect on germination, seed soaking durat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유색미가 갖고 있는 기능성 성분과 효능은? | 유색미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 및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흑자색계 현미에는 안토시아닌계, 적갈색계 현미에는 탄닌계 천연색소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Choi & Oh, 1996). 흑색미의 안토시아닌은 cyanidin3-glucoside (C3G), cyanidin-3-rhamnoside, malvidin 3-galactoside, peonidin 3-glucoside (P3G), Petunidin-3-glucoside chloride 등이 알려져 있는데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흑미에는 C3G 와 P3G가 주요 성분으로 C3G의 함량이 다른 색소에 비해 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Ryu et al., 1998; 2000; 2006). 기능성성분으로서 C3G의 특성은 항산화성능이 높을 뿐만 아니라(Kim et al., 2010) 항암기능(Nam & Kang, 1997), 당뇨병(Kim et al., 2010) 등에도 우수한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
유색미의 식품학적 이용가치가 높은 이유는? | 또한 유색미는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불포화지방산과 같은 미량원소가 많아 항종양, 항산화 등의 활성과 인체의 종합조절 기능을 개선하고 면역력을 강화시켜 노화방지, 질병예방의 효과가 인정되어 식품학적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 et al., 1996; Ryu et al. | |
2014년 기준, 한국에서 재배하는 유색벼의 품종 수는? | 최근 국민의 소득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유색미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재배되고 있는 유색벼 품종은 14품종으로 재배면적은 7천ha정도이나 재배면적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Kim et al., 2014). |
Choi, H. C. and S. K. Oh. 1996. Diversity and function of pigments in colored rice. Korean J. Crop Sci. 41(spec 1) : 1-9.
Choi, B. H. Seed biology. 1993. Seoul. Hyangmusa. pp. 152.
Gan, Y. and E. H. Stobbe. 1996. Seedling vigor and grain yield of 'Robin' wheat affected by seed size. Agronomy J. 88 : 456-460.
He, D. and P. Yang. 2013. Proteomics of rice seed germination. Frontiers in Plant Science 4(246) : 1-9.
Jeon, W. T., W. H. Yang, H. S. Han, J. H. Park, M.. T. Kim, K. Y. Seong, Y. H. Yoon, D. H. Choi, G. K. Lee, J. W. Park, and Y. C. Song. 2006. Optimum seeding rate of special purpose rice for seedling raising bed in machine transplanting rice. 2006 Annual Report(Rice) pp. 91-97.
Kawade, R. M., S. D. Ugale, and R. B. Patil. 1987. Effect seed size on germination, seedling vigor, and test weight of pearl millet. Seed Res. 15 : 210-213.
Kim, B. K., J. K. Sang et al, 2014. Processing and Special purpose Rice Cultivation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ed.). pp. 1-8.
Kim, H. Y., C. I. Yang, Y. H. Choi, Y. J. Won, and Y. T. Lee. 2007. Changes of seed vi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with different ecotypes and storage duration. Korean J. Crop Sci. 52(4) : 375-379.
Kim, H. Y., J. H. Kim, S. A. Lee, S. N. Ryu, S. J. Han, and S. G. Hong. 2010.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C3GHi, novel black rice breed. Korean J. Crop Sci. 55(1) : 38-46.
Kim, S. Y., S. H. Oh, H. H. Lee, K. H. Jeong, J. J. Cho, J. Y. Lee, S. T. Park, Y. C. Song, U. S. Yeo, J. I. Kim, W. D. Seo, and H. W. Kang. 2010. Studies on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 'Danmi' and its optimum seeding rates for seedling raising in machine transplanting. Korean J. Crop Sci. 55(2) : 126-132.
Kobayashi, K., Y. Takahashi, and T. Fukuyama. 2009. Studies on the seedling raising method in Giant-embryo rice cultivar 'Koshiguruma' and its adaptability to machine transplanting. Jpn. J. Crop Sci. 78(1) : 17-26.
Koh, H. J., Y. J. Won, G. W. Cha, and M. H. Heu. 1996. Varietal variation of pigmentation and some nutritive characteristics in colored rices. Korean J. Crop. Sci. 414(5) : 600-607.
Larsen, S. U. and C. Andreasen. 2004. Light and heavy seeds differ in germination percentage and mean germination thermal time. Crop Sci. 44 : 1710-1720.
Nam, S. H. and M. Y. Kang. 1997.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ecity.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0(4) : 307-312.
Roy, S. K. S., A. Hamid, M. G. Miah, and A. Hashem. 1996. Seed size variation and its effect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ur in rice. J. Agron. Crop Sci. 176 : 79-82.
Ryu, S. N. 2000. Recent process and future of research on anthocyanin in crop. I. Rice, barley, wheat, maize and legumes. Kor. J. Intl. Agri. 12(1) : 41-53.
Ryu, S. N., S. Z. Park, and C. T. Ho. 199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some varieties of black rice. J. Food Drug Anal. 6 : 729-736.
Smart, A. J. and L. E. Moser. 1999. Switchgrass seedling development as affected by seed size. Agronomy J. 91 : 335-338.
Willenbrog, C. J., J. C. Wildeman, A. K. Miller, B. G. Rossnagel, and S. J. Shirtliffe. 2005. Oat germination characteristics differ among genotype, seed sizes and osmotic potentials. Crop Sci. 45 : 2023-202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