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FID 기반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
Construction Materials Managing System Based on RFID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0 no.8, 2015년, pp.907 - 914  

김태윤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 ,  황석승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 온난화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데, 온실가스의 주된 성분은 이산화탄소($CO_2$)이다. 건축 분야에서 $CO_2$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서 저탄소 장수명화가 진행되고 있고 건축자재에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사용하여 자재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RFID를 활용한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은 건물의 신축단계에서 건설자재가 어디에 얼마만큼 사용되는지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대부분 이었고, 건물의 신축과 해체 시 재활용할 수 있는 자재에 대한 상태관리 시스템은 개발된 사례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건물의 신축 혹은 해체 시 건설자재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RFID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900MHz 대역의 RFID를 사용하며 건축 자재 표면 또는 내부에 RFID 태그를 부착한다. 시스템의 구조는 RFID 리더부, 통신부, 저장부로 구성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global warming, the restriction for emitting the green-house gas is strengthened and a main ingredient of the green-house gas is carbon dioxide ($CO_2$).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CO_2$, the low-carbon and long-life of the con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건축 분야에서 RFID를 활용한 연구 및 현장실험은 대부분 건물 신축 시 부재의 위치와 양을 관리하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건물의 해체 시 재사용할 수 있는 부재의 상태관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장에서는 건설자재용 RFID에 적합한 주파수를 선정하고, 건축물의 조립과 해체 시 건설자재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위해 건설자재의 상태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건설자재용 RFID 시스템을 제안한다.
  • 신축 건물의 건축자재 태그 아이디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만 인식하는 기존의 RFID를 이용한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과는 다르게, 본 논문에서는 건물의 신축과 해체 시 자재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적합한 RFID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RFID 정보를 인식하고, 자재의 상태에 대한 다량의 정보를 리더기에서 주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어 건축자재 재사용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기존의 RFID를 이용한 자재관리 시스템은 건물이 신규로 지어지는 상황을 위한 자재 관리 시스템이고, 건물의 신축과 해체 시 발생하는 자재의 상태 관리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정거리에서 인식이 가능한 RFID 리더를 구현하여, 부재의 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효율적인 건설자재 관리 RFID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FID 시스템에서 RF주파수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RFID 시스템에서 RF주파수는 저주파(LF : low frequency)로 125kHz, 고주파(HF : high frequency)는 13.56MHz, 극초단파(UHF : ultra high frequency)로는 900MHz가 사용되고 있다. 각 주파수대역의 특징은 표 2에 정리되어 있다[9].
건축자재 관리를 위한 RFID 시스템은 정보를 어떻게 저장하는가? 본 논문에서 제안된 건축자재 관리를 위한 RFID 시스템은 각종 부재에 삽입 혹은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의 정보를 일정 거리에서 인식하고 인식된 태그의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주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태그는 콘크리트나 다양한 부재 표면 또는 내부에 부착되므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태그 정보 인식이 불가능하여 일정 거리에서의 인식이 필요하다.
건축분야에 RFID 기술을 적용한 사례는? RFID 기술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건축분야에도 RFID 기술을 적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미국 카네기 멜론대학에서 RFID를 이용한 자재관리 시스템을 제시하였고, Bechtle사의 Red Hills 건설현장 실험에서 RFID를 활용하여 자재의 위치추적과 관리를 수행한 결과 30% 능률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4]. 국내의 경우 커튼 월, 마감자재, 철골, 콘크리트 등 주요 자재에 RFID를 활용한 연구 및 현장실험 사례가 있다[5-7]. 표 1은 RFID를 적용한 국내 자재관리 선행연구들을 요약해 놓은 것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G. Cha, B. Son, and W. Hong, "A study on $CO_2$ Emissions of Construction Wastes by Types from Demolition Phase of Buildings to Final Disposal Phase of Construction Wastes Generated from Urban Renaissance Project Area,"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6, no. 7, 2010, pp. 311-320. 

  2. M. Shin and J. Lee, "A Study on the Efficient RFID Tag Identification consider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Individual Nodes in a Grid Environme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vol. 6, no. 5, 2011, pp. 797-802. 

  3. J. Shin and S. Hwang, "Design of RFID Packaging for Construction Material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vol. 8, no. 6, 2013, pp. 923-931. 

  4. J. Han, S. Kwon, and M. Cho, "Development of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Field Tests Using RFID Technology o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2, no. 10, 2006, pp. 121-128. 

  5. M. Jang, S. Yoon, S. Chin, and Y. Kim "Implemen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the Curtain Wall Process Management," Conf.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eoul, Korea, Apr. 2004, pp. 491-494. 

  6. C. Park, O. Kwon, and S. Yun, "New SNR Estimation Algorithm using Preamble and Performance Analysis," Conf.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Seoul, Korea, Apr. 2007, pp. 93-96. 

  7. S. Park, J. Lee, J. Song, and K. Oh, "RFID Technology Applic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 Management Process," Conf.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Gwangju, Korea, Oct. 2008, pp. 593-596. 

  8. J. Lee, J. Song, and K. Oh, "A Study on Developing a Context - Aware Scenario for the RFID Applicatoin of the Information Magagement on the Construction Materials,"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3, 2009, pp. 111-118. 

  9. S. Kwon, "Application examples to the construction site with the technology trends of RFID technology," Conf.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Seoul, Korea, Dec. 2004, pp. 50-56. 

  10. P. Li, Y. Zhang, Y. Shin, and H. Shin, "A Study on RFID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China,"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vol. 6, no. 2, 2011, pp. 330-336 

  11. J. Ko, E. Jeon, B. Cho, and S. Hong "Photovoltaic System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MCU implementation," Conf.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Busan, Korea, June 2011, pp. 409-4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