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Database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2 no.1, 2017년, pp.195 - 200  

문지윤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 ,  황석승 (조선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웹 서비스의 질은 꾸준히 향상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해당 분야에 적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자재의 재사용을 목적으로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웹 데이터베이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은 위치추정 모듈을 탑재한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재의 태그 ID, 위치, 자재명, 상태, 주기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스프링 프레임워크을 이용한 웹기반의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최근 건축현장에서 건물의 해체 시 발생하는 대량의 잔재를 처리하는 것에 대한 여러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자재의 재사용율을 향상시켜 잔재처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재사용 가능한 건축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건축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qualities of Web services are steadily improving and the Web database systems are actively employed to efficiently manage proper informations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database system for the efficient material manage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자재의 종류, 수량 및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건축자재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재 관리시스템은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 sql developer를 사용하였다.
  • 본 장에서는 건축자재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기본적인 웹 서비스의 기본구조를 소개하고, 구현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예를 제시한다.
  • 이를 위해 건축자재 관리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들이 구축되어 왔는데, 주로 기본적인 자재의 수량 및 입출고 장소의 기록을 위한 기능에 국한되어 있어, 건축물의 해체 단계를 고려한 건축 자재 재사용을 위한 자재관리 시스템의 개발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게 위해, 본 논문에서는 건축자재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한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 자재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위치추정 모듈이 탑재된 RFID 시스템[8-10]을 사용하여 습득한 위치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및 관리가 가능한 웹 기반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11]을 사용하기 위해 스프링 프레임워크[12]를 통하여 구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 기반의 건축자재 관리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제안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11]을 사용하기 위해 스프링 프레임워크[12]를 통하여 구현되었다. 웹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자재 관리 시스템은 자재 데이터의 중복기록을 피할 수 있고,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며, 높은 수준의 보안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제안된 자재 관리시스템은 건물 해체 및 재건축 단계에서 자재의 효율적인 재사용에 용이하고, 이를 통해 건축 비용감소 및 시간 단축의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판단된다.
웹 데이터베이스는 무엇인가? 웹 데이터베이스(web database)는 웹 서비스의 특성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통합한 것이다[1].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 새로운 유형의 웹 서비스가 출현함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능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웹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통합한 웹 데이터베이스가 등장 하였으며,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2-3].
웹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한 이유는 무엇인가? 웹 데이터베이스(web database)는 웹 서비스의 특성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통합한 것이다[1].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 새로운 유형의 웹 서비스가 출현함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능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웹 서비스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통합한 웹 데이터베이스가 등장 하였으며,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 Na, S. Shin, S. Lee, and Y. Cho, "Cyber studying Systems Design and embodiment to web database," J. of the Int. of Contents, vol. 2, no. 1, 2002, pp. 1-6. 

  2. C. Sim, S. Jung, and K. Kim, "Object-Oriented Modeling based on UML for Integrated Manufacturing Management System Using Web,"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vol. 5, no. 6, 2010, pp. 602-612. 

  3. S. Park, H. Jang, J. Lee, and K. Park,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for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Conf.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Jeju, Korea, July 2010, pp. 503-506. 

  4. G. Kwon, D. Lee, and S. Kim, "A Study o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Health-friendly Building Materials," J.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ol. 9, no. 6, 2009, pp. 3-11. 

  5. C. Lee, J. Choi, and N. Jee, "a basic study on the materials database buildup and the practical use for the logical selection of building materials," Conf.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eoul, Korea, Apr. 2001, pp. 265-268. 

  6. J. Choi, "A Study on the Use of Web Database as an Integrated Environm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Building Product Information,"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5, no. 3, 1999, pp. 3-12. 

  7. D. Choi, S. Moon, and K. Cho, "A Study on Analysis of Korea's Construction Wastes Recycle Condition through on-site Research,"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4, no. 4, 2008, pp. 133-140. 

  8. T. Kim and S. Hwang, "Construction Materials Managing System Based on RFID,"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vol. 10, no. 8, 2015, pp. 907-913. 

  9. T. Kim and S. Hwang, "RFID System with Localization Function Based on Zigbee RSSI,"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vol. 11, no. 12, 2016, pp. 1201-1208. 

  10. J. Shin and S. Hwang, "Design of RFID Packaging for Construction Material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vol. 8, no. 6, 2013, pp. 923-931. 

  11. B. Song and Y. Yu,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ftware Architecture for IPC in Vehicles Using Modeling Methodology,"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Sciences, vol. 7, no. 6, 2012, pp. 1321-1326. 

  12. I. Yang and S. Kim, "A Proposal Of The Horizontality Development Method On The Spring MVC," J.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9, no. 10, 2015, pp. 2350-2358. 

  13. H. Park and K. Kook, "Metadata based Information Management Prototype System of Building Material,"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0, no. 5, 2014, pp. 109-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