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 취업여성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일·가족 전이 :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임금근로자의 비교
Work-Family Spillover of Married Working Women by Employment Statu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3 no.5, 2015년, pp.25 - 35  

진미정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work-family spillover differed by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differences. This study drew a sample of 332 self-employers, 181 unpaid family workers, and 1,053 wage workers from the 2014 Korean Longitudi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영업 종사자, 무급가족종사자들의 일·가족 전이 수준을 임금근로자와 비교하여 파악하고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여성가족패널이 전국적인 대표성을 가진 자료라는 점에서 신뢰성이 있으나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기혼여성 자영업 종사자 및 무급가족종사자의 수가 많지 않아 통계적 검정력에 다소 한계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여성가족패널 조사에서 활용한 일·가족 전이 척도가 Cronbach alpha로 파악된 신뢰도 수준은 높으나 척도의 내용 타당도 검증 과정이 불명료한 점도 한계점으로 남는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취업여성의 종사상 지위(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임금근로자)에 따라 일·가족 전이 수준을 비교하되, 연령, 교육수준 등 사회·인구학적 배경 특성에서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들이 임금근로자들과 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일·가족 경험을 비교할 때 이런 특성을 고려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비임금근로자의 비율이 높은 우리 사회에서 정책적 관심에서 배제되어 있는 기혼여성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의 일·가족 전이 수준을 파악하여 연구자와 정책입안자들의 관심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자영업 종사자, 무급가족종사자들의 일·가족 전이 수준을 임금근로자와 비교하여 파악하고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ECD 가입 국가들이 일·가족 양립을 중요한 정책과제로 다루고 있는 이유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증가함에 따라 OECD 가입 국가들은 일·가족 양립을 중요한 정책과제로 다루고 있으며, UN 사회정책국에서도 일·가족 양립을 중요한 가족정책의 주제로 다루고 있다(R. Kaczmarksa, 2014).
고용주의 의미는 무엇인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종사상 지위는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로 대분되고, 임금근로자에는 상용, 임시, 일용 근로자가, 비임금근로자에는 고용주, 자영자, 무급가족종사자가 포함된다. 고용주는 유급의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를 의미하고, 자영자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를 의미하며, 무급가족종사자는 보수를 받지 않고 1주일에 18시간 이상 가족의 일을 돕는 자를 의미한다. 무급, 유급에 상관없이 종사자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체는 영세자영업으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의 자영업은 영세성을 특징으로 한다(J.
일·가족 양립을 지원하는 정책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대상은 누구이며, 그 이유는? 그런데 모든 기혼 취업여성들이 이러한 정책의 혜택을 보는 것은 아니다. 일·가족 양립 정책들이 주로 사업장의 가족친화 근무제도나 고용보험에 근거한 휴가·휴직제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임금근로자들은 정책의 대상에서 배제되어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ai, A. B. (2000). Self-employment as a response to the double day for women and men in Canada. Canadian Review of Sociology, 37(2), 125-142. 

  2. Boden, J. R. J. (1999). Flexible working hours, family responsibilities, and female self-employment: Gender differences in self-employment selection.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Sociology, 58(1), 71-83. 

  3. Chin, M., and Sung, M. (2012). Work-family balance of employed married women: Focusing on family friendly work policies of workplac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4), 13-24. 

  4. Choi, H. (2014).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nd state-dependence. Labor Policy Research, 14(1), 1-33. 

  5. Gimenez-Nadal, J. I., and Ortega-Lapiedra, R. (2010). Self-employment and time stress: The effect of leisure quality. Applied Economics Letters, 17, 1735-1738. 

  6. Gimenez-Nadal, J. I., Molina, J. A., and Ortega, R. (2011). Self-employed mothers and the workfamily conflict. Applied Economics, 44, 2133-2147. 

  7. Greenhaus, J. H., and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8. Greenhaus, J. H., and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9. Grzywacz, J. G., Almeida, D. M., and McDonald, D. A. (2002).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s in the adult labor force. Family Relations, 51(1), 28-36. 

  10. Gyeonggi Family and Women Research Institute. (2012). A study on the work-family balance among self-employed and micro-business women in Gyeonggi province: Current status and policy support measure. (Policy Report No. 2012-26). Suwon, Gyeonggi: Lee, J., Chung, H., and Lee, S. 

  11. Hill, E. J., Martinson, V., and Ferris, M. (2004). New-concept parti-time employment as a work-family adaptive strategy for women professionals with small children. Family Relations, 53(3), 282-292. 

  12. Hyytinen, A., and Ruuskanen, O-P. (2007). Time use of the self-employed. Kyklos, 60(1), 105-122. 

  13. Jin, S-M., Kang, E-N., and Jang, Y-S. (2011).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ocial service continuity on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patterns: Using a mixed-effect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3), 38-69. 

  14. Kaczmarska, R. (2014, May). The importance of family policy from a United Nation's perspective. Keynote speech presented at Spring Conferenc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Seoul, Korea. 

  15. Kim, J., and Han, G. (2002).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spillover.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40(11), 55-69. 

  16. Kim, O., and Kim, H. (2010). Toward work-family enrichment: Positive spillover of resources across two domai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39(2), 375-407. 

  17. Kim, S. (2011). The effects of Korean working mothers' characteristics on work-family positive spillover and negative spillover.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3, 69-94. 

  18. Kirkwood, J., and Tootell, B. (2008). Is entrepreneurship the answer to achieving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14(3), 285-302. 

  19. Korean Labor Institute. (2009). A study on self-employed labor market I: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lf-employed. Seoul, Korea: Keum, J., Kim, K., Cho, D., and Cho, J. 

  20.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1). The trends of female labor market after 2000: Focused on the reduction of the female self-employed workers (2011 Research Report No.8). Seoul, Korea: Kim, Y., Lee, S., and Kim, M. 

  21. Lombard, K. (2001). Female self-employment and demand for flexible, nonstandard work schedules. Economic Inquiry, 39(2), 214-237. 

  22. Loscocco, K. A. (1997). Work-family linkages among self-employed women and 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0(2), 204-226. 

  23. Mauno, S., Ruokolainen, M., and Kinnunen, U. (2015).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social resources: Comparing Finnish healthcare workers by working schedules. Applied Economics, 48, 86-94. 

  24. Ministry of Business, Innovation, and Employment, New Zealand. (n.d.). Retrieved from http://www.dol.govt.nz/er/holidaysandleave/parentalleave/self-employed/ 

  25. Moon, S., and Jun, I. (2011). The estimation on the optimal size of self-employed in Korean using OECD data: Focusing on the sectors of wholesale/retail and hotel/restaurant.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15(1), 241-266. 

  26. Moon, Y. (2013). A study on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of married women in double income households: With a focus on testing the positive spillover, asymmetry, and differential function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7(1), 81-102. 

  27. Oh. E., Min. H., and Kim, J. (2009). Career choice and labor market transition of the married women by level of education. Employment and Voc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Research, 12(1), 141-162. 

  28. Parasuraman, S., and Simmers, C. (2001). Type of employment, work-family conflict and well-being: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5), 551-568. 

  29. Public Service Information of Ireland. (n.d.). Retrieved from http://www.citizensinformation.ie/en/social_welfare/social_welfare_payments/social_welfare_payments_to_families_and_children/maternity_benefit.html. 

  30. Ryoo, J., and Choi, H. (1999). A study on the self-employed in Korea.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2(1), 109-140. 

  31. Statistics Korea. (2012). Work by employment status.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B# SubCont 

  32. Statistics Korea. (2014). Employment by sex and employment status. Retried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andparentIdA#SubCont. 

  33. Sung, J. (2002). The choice of self-employment and career interruption among females. Kore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25(1), 161-182. 

  34. Sweet, S. (2014). The work-family interface: An introduction. Sage Publications, Inc. Thousand Oaks, CA. 

  35.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ies. (2011). Grounded research for family policy (Government Publication No. 11-1383000-000215-10). Seoul, Korea: : Ok, S., Chang, K., Choi, Y., Sung, M., Chin, M., Lee, J., and Kang, E. 

  36. Yoo, G. (2008).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ulture on employees'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ies of liv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5), 27-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