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부부의 배우자 지지, 직장 지지 및 일-가족 전이가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The influences of spousal support and work-family spillover on work-life balance in dual-earner couples with children: Testing actor and partner effect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1 no.3, 2017년, pp.97 - 119  

정서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장윤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in relation to spousal support, job support, work-family spillover, and work-life balance in dual-earner coup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6 dual-earner couple, whose youngest children are under the age of 16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맞벌이부부가 늘어나면서 생긴 관심은? 맞벌이부부 가족이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가족 형태로 자리잡아가면서 일과 가족생활의 균형을 이루는 것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과 가족 영역에서의 역할과 수행에 대한 개인의 가치와 사회경제적 환경의 요구가 상이하여 부부가 모두 직장일과 가정일에 참여해야 하는 맞벌이부부 가정에서는 일과 가족생활의 균형을 이루는 문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맞벌이부부의 증가에 비해 일-생활 균형 연구의 현실은? 일과 가족 영역에서의 역할과 수행에 대한 개인의 가치와 사회경제적 환경의 요구가 상이하여 부부가 모두 직장일과 가정일에 참여해야 하는 맞벌이부부 가정에서는 일과 가족생활의 균형을 이루는 문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생활 균형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실증적으로 일-생활 균형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체계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많지 않다.
맞벌이부부에게 일과 가족생활의 균형이 중요한 이유는? 맞벌이부부 가족이 우리 사회의 보편적인 가족 형태로 자리잡아가면서 일과 가족생활의 균형을 이루는 것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과 가족 영역에서의 역할과 수행에 대한 개인의 가치와 사회경제적 환경의 요구가 상이하여 부부가 모두 직장일과 가정일에 참여해야 하는 맞벌이부부 가정에서는 일과 가족생활의 균형을 이루는 문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생활 균형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실증적으로 일-생활 균형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체계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많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2), 163-186. 

  2. 강우란.배노조.정지영(2006). 경영의 새 화두: 일과 생활의 균형. CEO Information, 558. 

  3. 강혜련.윤미자(2004).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28(1), 55-85. 

  4. 김성경(2011). 기혼취업여성의 특성이 일-가족의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 69-94. 

  5. 김수정.이혜진.김유진.박지은.유성경 (2012). 한국 여성의 일-가족 향상 척도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3(2), 561-583. 

  6. 김옥선.김효선(2010). 다중역할의 상호향상 효과: 일-가정 영역 간 자원의 긍정적 전이에 관한 분석. 경영학연구, 39(2), 375-407. 

  7. 김유경.구혜령(2016). 일-생활 균형의 개념과 일-가정 갈등 및 향상과의 관계: 기혼 남성의 일 및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8(3), 1-31. 

  8. 김정운.박정열(2008).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5(3), 53-69. 

  9.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10. 김주엽(2006). 일과 가정의 균형에 관한 문헌적 검토. 인적자원개발연구, 8(1), 83-117. 

  11. 김주현.문영주(2010).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12. 김주환.김민규.홍세희(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3. 김지경.김명소(2003). 한국남녀의 관계적 자아의 특성 - 다원적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2), 41-59. 

  14. 김필숙(2010).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인적자원 성과에 미치는 효과: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혜원(1997).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심리적 안녕 - 사회구조적 변인, 성역할태도, 역할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2), 111-127. 

  16. 노성숙.한영주.유성경(2012). 한국에서 '워킹맘'으로 살아가기 -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365-395. 

  17. 박기남(2009).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갈등연구. 한국여성학, 25(2), 37-70. 

  18. 박예송.박지혜(2013). 일-생활 균형(Work-Life Balance)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년 이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HRD 연구, 15(1), 1-29. 

  19. 박정열.손영미.신규리(2016). 기혼 직장여 성의 사회적 지지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1), 69-81. 

  20. 손영미.박정열(2014).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2), 161-190. 

  21. 송다영.장수정.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3), 27-52. 

  22.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23. 원숙연.박지원(2009).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미치는 영향: 남녀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26(2), 3-32. 

  24. 윤소영.김혜진(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 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9-35. 

  25. 이미진(2011). 초등기 이하 자녀를 둔 아버지 의 가족 역할과 일.가정 균형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세인.이숙현.권영인(2007). 가족의 지원 및 가족친화적 조직 문화가 사무직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9-57. 

  27. 이승미.구혜령(2013). 자녀양육기 기혼취업 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별 특성. 한국생활과학회지, 22(4), 575-591. 

  28. 이효행.박묘진.오세진(2005).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장가정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3), 639-657. 

  29. 장영은.박정윤.이승미.권보라(2011).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63-72. 

  30. 장윤옥.정서린(2013). 유자녀 맞벌이 부부의 다차원적 일-가족 전이 척도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59-79. 

  31. 장윤옥.정서린(2014). 유자녀 맞벌이부부의 일-가족 전이과정과 전이발생영역.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5), 145-161. 

  32. 전서영.박정윤.김양희(2008). 기혼 남녀의 일 -가족 갈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9-79. 

  33. 정영금(2005).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파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3-122. 

  34. 정영금(2006). 일-가족 균형의 촉진요인 분석 및 교육내용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131-145. 

  35. 조성은.정지영.윤소영(2006). 남성의 시장 노동과 가사노동-신문기사 내용에 대한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2-29. 

  36. 조윤진.유성경(2012).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41-463. 

  37. 지혜정(2010). WLB(Work-Life Balance) 수준에 따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차이 검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유정(2013). 기혼 남녀의 일.가족 양립 태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일 고찰. 조사연구, 14(2), 77-111. 

  39. 최윤정(2010). 대졸 기혼 직장 여성의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 완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한경혜.장미나(2009). 기혼남녀근로자의 일. 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85-115. 

  41. Aryee, S., Srinivas, E. S. & Tan, H. H.(2005). Rhythms of lif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balance in employed par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1), 132-146. 

  42. Brisbois, R. M.(2002).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Work Family Spillover. Unpublished dissertation of M. B. A. Carleton University. 

  43. Butler, A. B., Grzywacz, J. G., Bass, B. L. & Linney, K. D.(2005). Extending the demands-control model: A daily diary study of job characteristics,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facilit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8(2), 155-169. 

  44. Carlson, D. S., Grzywacz, J. G. & Zivnuska, S.(2009). Is work-family balance more than conflict and enrichment? Human Relations, 62(10), 1459-1486. 

  45. Carlson, D. S., Kacmar, K. M., Wayne, J. H., & Grzywacz, J. G.(2006). Measuring the positive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enrichment scale.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68(1), 131-164. 

  46. Diner, Y.(2014). Justice Perceptions and Workfamily Balance in the Work and Home Environ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47. Edwards, J. R. & Rothbard, N. P.(2000).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1), 178-199. 

  48. Frone, M. E., Russell, M. & Cooper, M. L.(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3), 65-73. 

  49. Ganginis. D. P.(2011). Work-Family Experiences Among Employed Mothers. Unpublished dissertation of Ph. D. The University of Maryland. 

  50. Greenhaus, J. H & Powell, G. N.(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51. Greenhaus, J. H., Collins, K. M. & Shaw, J. D.(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3), 510-531. 

  52. Grzywacz, J. G. & Carlson, D. S.(2007). Conceptualizing work-family balan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9(4), 455-471. 

  53. Guest, D.(2002).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Social Science Information, 41(2), 255-279. 

  54. Halbesleben, J. R. B. & Rotondo, D. M.(2007). Developing social support in employe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lessons from same-career couples.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9(4), 544-555. 

  55. Keene, J. R. & Quadagno, J.(2004). Predictors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Gender difference or gender similarity? Sociological Perspectives, 47(1), 1-23. 

  56. Kenney, D. A., Kashy, D. A. & Cook, W. L.(2006). Dyadic Data Analysis. New York, NY: Guilford Press. 

  57. Kim, Youjin(2007). Crossover and Spillover from Work to Family among Working Couples: Understanding Parents' Daily Emotions. Unpublished dissertation of Ph. D. The University of Chicago. 

  58. Kline, T. J. B.(2005).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CA: Sage. 

  59. Lyness, K. S. & Kropf, M. B.(2005). The relationships of national gender equality and organizational support with work-family balance: A study of European managers. Human Relations, 58(1), 33-60. 

  60. Maertz, C. P. & Boyer, S. L.(2011). Work- family conflict, enrichment, and balance under "Levels" and "Episodes" approaches. Journal of Management, 37(1), 68-98. 

  61. Miller, W. A.(2001). Work Spillover onto Family Life for Male and Female Executives: An Analysis of Different Spillover Processes. Unpublished dissertation of Ph. D.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62. Murugan, P. & Jayanth, J.(2015). Testing the mediation of work-family balance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and family satisfaction.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46, 218- 231. 

  63. Quick, J. D., Henley, A. B. & Quick, A. C. (2004). The balancing act: At work and at home. Organizational Dynamics, 33, 426-438. 

  64. Rothbard, N. P.(2001). Enriching or depleting? The dynamics of engagement in work and family rol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6(4), 655-684. 

  65. Shahid, S. A. M., Amdan, S., Alwi, A., Syazreena, F. & Hassan, C. N.(2016). Social support, negative affectivity, and work personal life balance of academ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y, 6(7), 500-504. 

  66. Tausig, M. & Fenwick, R.(2001). Alternate work schedules and work-life balanc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2(2), 101- 119. 

  67. Voydanoff, P.(1988).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749-761. 

  68. White, J. M.(1999). Work-family stage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0(2), 163-1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