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자녀-부모관계와 부모의 인지기능: 구조적·연계적 결속을 중심으로
Structural and Associational Solidarity Between Adult Children and Older Parents: Impact on Older Parents' Cognitive Functioning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3 no.4, 2015년, pp.105 - 118  

최희정 (Department of Consumer and Family Sciences, Sungkyunkwan University) ,  민주홍 (Department of Human Ecology, University of Alberta)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ructural (coresidence, proximity) and associational (frequency of face-to-face contact, frequency of contact via phone, email or letter) solidarity between adult children and older parents may influence older parents' cognitive functioning. Adult children may help del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지기능의 저하는 치매로 연결되어 개인, 가족, 그리고 사회에 심각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의 예방및 지연과 관련된 변인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가족관계가 이러한 연구에서 제외된 측면과 함께 변화하는 가족구조가 노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성인자녀-부모관계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에 비추어 성인자녀-노부모의 별거 경향에 우려의 시선이 있는 것이 사실이나, 연구결과는 동거가 아닌 성인자녀와 가까이 사는 것이 노부모의 성공적인 노화에 기여함을 밝혔다.
  • 이와 같은 제한점을 염두에 두고, 전반적인 사 회적 관계와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가족관계와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성인자녀-부모관계와 인지기능을 연결시킨 연구는 거의 없어, 성인자녀-부모관계에 대한 연구는 종속변수의 범위를 넓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대다수의 선행연구가 횡단자료에 기초하여 개인 간 차이(inter-individual difference)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면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 내 변화(intra-individual change)에 대한 것이다. 만남 및 연락을 예로 들면 선행 연구에서는 남과 비교하여 연락이 빈번한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을 대상으로 우울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면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사람을 대상으로 연락이 빈번해지는 경우 인지기능에 어떠한 변화(증감)가 나타나는가를 검증한 것이다. 따라서 선행연구 결과와 본 논문의 결과를 종합하면 만남이나 연락 빈도의 ‘평균’(남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연락을 자주 주고받는지)은 인지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하지만 본인의 평균 연락빈도를 기준으로 빈도의 증감은 인지건강에 영향이 없을 가능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 을 사용하여 성인자녀와의 동거, 지리적 근접성 및 만남이나 연락 빈도에서의 변화가 인지기능의 변화와 연결되는지 검증하였다. 고정효과모형은 독립변수의 변화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며 개인내적변화(intraindividual change) 의 변량(variation)에 의해서만 회귀계수가 산출된다는 특징이 있다(P.
  • 본 연구는 사회활동, 사회관계망, 배우자 유무를 인지 기능에 연결시킨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성인자녀와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성인자녀와 부모는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지만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가족 구조와 의식을 보이고 있다.
  •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변화 특히 성인자녀와 부모의 별거추세 속에서 자녀가 노부모의 인지기능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인지기능은 인지기능을 자극하는 사회적 교류 외 라이프 스타일(건강행동), 정신·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받는데 자녀는 이 모두와 관련이 있다.
  • 즉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거주하는 자녀와 보다 자주 만나고 연락한다는 것으로 이는 유사시 돌봄이나 부양과 같은 기능적 결속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시되었다. 본 연구는 지리적 근접성 자체가 만남이나 연락을 넘어 독립적으로 가지는 중요성을 밝혔다. 후속연구는 성인자녀-부모관계, 특히 지리적 근접성에 대한 이해를 정교화하기 위해 지리적 근접성의 변화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초래되는지, 또 어느 세대가 주도하는지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 치매노인 부양스트레스에 대한 논의를 제외하면 그간 가족과 관련된 연구는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에 중점을 둔 경향이 강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성인자녀-부모관계가 인지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이 노인의 인지기능 유지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변수를 탐색한 극소수의 국내 선행연구는 편의표집에 근거한 횡단자료에 기초하여 동거만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확률표집에 의거해 수집된 종단자료를 통해 현재 변화를 거듭하는 우리나라의 가족구조가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인지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인 노화는 신체적, 심리적, 인지적, 사회적 건강이 함께 어우러져야 가능하다는 인식이 보편적이나, 노인의 인지건강을 가족과 연결시킨 사회과학분야의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제한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성인자녀와의 별거가 급증하는 한국가족의 현실을 반영하여 동거 외 지리적 근접성, 만남과 연락의 빈도 등 성인자녀-부모관계의 구조적·연계적 결속과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보다 포괄적으로 탐색하였다.
  • 성인자녀-부모관계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국내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가족, 친지, 친구, 이웃을 포괄한 전반적인 사회적 관계와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마저도 아직 소수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염두에 두고, 전반적인 사 회적 관계와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가족관계와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성인자녀-부모관계와 인지기능을 연결시킨 연구는 거의 없어, 성인자녀-부모관계에 대한 연구는 종속변수의 범위를 넓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성인자녀와의 동거로의 전이는 부모의 인지기능 변화와 관련이 있는가?
  • 3) 동거하지 않는 자녀와의 만남 빈도의 변화는 부모의 인지기능 변화와 관련이 있는가?
  • 4) 동거하지 않는 자녀와의 연락 빈도의 변화는 부모의 인지기능 변화와 관련이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관계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어떤 결론이 나타나는가? Lang, 2001). 가족관계와 인지기능 간의 관계를 탐색한 극소수의 선행연구 대부분은 배우자에게 중점을 두고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배우자가 인지기능 유지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J. H.
우리나라의 성인자녀와 부모는 과거와 비교해 현재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우리나라의 성인자녀와 부모는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지만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가족 구조와 의식을 보이고 있다. 1990년 통계치를 보면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노인 가구의 3/4이 자녀와 동거하였으나 2010년에는 그 비율이 1/3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기간 노인 단독가구는 열 가구 중 한 가구에서 세 가구 중 하나로 증가하였다(Statistics Korea, 2013). 이러한 경향은 중년 세대에서도 분명히 드러나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50대와 60대 중년 기혼남녀의 3/4 이상이 10년, 20년 후 자녀가 아닌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M.
인지기능의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은? 인지기능의 유지와 관련하여 취미나 여가활동, 종교생활과 같은 사회참여의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되어 왔다(J. Hwang &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Allison, P. (2002).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s. Thousand Oaks, CA: Sage. 

  2. Anderson, R. J., Freedland, K. E., Clouse, R. E., & Lustman, P. J. (2001). The prevalence of comorbid depression in adults with diabetes: A meta-analysis. Diabetes Care, 24(6), 1069-1078. 

  3. Antonucci, T. C., Akiyama, H., & Lansford, J. E. (1998). Negative effects of close social relations. Family Relations, 47(4), 379-384. 

  4. Arbuckle, T. Y., Gold, D. P., Andres, D., Schwartzman, A., & Chaikelson, J. (1992). The role of psychosocial context, age, and intelligence in memory performance of older men. Psychology and Aging, 7(1), 25-36. 

  5. Bassuk, S. S., Glass, T. A., & Berkman, L. F. (1999). Social disengagement and incident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1(3), 165-173. 

  6. Bengtson, V. L. (2001). Beyond the nuclear family: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ultigenerational bon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1), 1-16. 

  7. Bengtson, V. L., & Black, K. D. (1973). Intergenerational relations and continuities in socialization. In P. Baltes, & K. W. Schaie (Eds.),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Personality and socialization (pp. 207-234). New York: Academic Press. 

  8. Bengtson, V. L., & Roberts, R. E. (1991).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aging families: An example of formal theory constru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4), 856-870. 

  9. Bengtson, V. L., & Schrader, S. S. (1982). Parent-child relations. In D. J. Mangen (Eds.), Research instruments in social gerontology: Social roles and social participation (pp. 115-186).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0. Boss, L., Kang, D. H., & Branson, S. (2015). Lonelin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older adult: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7(4), 541-553. 

  11. Bunce, D., Batterham, P. J., Christensen, H., & Mackinnon, A. J. (2014). Causal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symptoms and cognition in a community-based cohort of older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2(12), 1583-1591. 

  12. Cacioppo, J. T., & Hawkley, L. C. (2009). Perceived social isolation and cogni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3(10), 447-454. 

  13. Carstensen, L. L, Issacowitz, D., & Charles, S. T. (1999). Taking time seriously: A theory of socioemotional selec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4(3), 165-181. 

  14. Chin, M., Sung, M., & Byun, J. (2014). The prospects of the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60s about their future coresident family members, caregivers, and residenc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1), 27-41. 

  15. Dewitt, D. J., Wister, A. V., & Burch, T. K. (1988). Physical distance and social contact between elders and their adult children. Research on Aging, 10(1), 56-80. 

  16. Ertel, K. A., Glymour, M. M., & Berkman, L. F. (2008). Effects of social integration on preserving memory function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US elderly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7), 1215-1220. 

  17. Fingerman, K. L., Cheng, Y. P., Birditt, K., & Zarit, S. (2012). Only as happy as the least happy child: Multiple grown children's problems and successes and middle-aged parents' well-be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7(2), 184-193. 

  18.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19. Fratiglioni, L., Paillard-Borg, S., & Winblad, B. (2004). An active and socially integrated lifestyle in late life might protect against dementia. The Lancet Neurology, 3(6), 343-353. 

  20. Han, G. H., & Yoon, S. D. (2001). Living arrangem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1(2), 163-178. 

  21. House, J. S., Landis, K. R., & Umberson, D. (1988).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Science, 241(4865), 540-545. 

  22. Hwang, J., & Kwon, S. (2009).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3), 971-986. 

  23. Jeong, K.-Y., Kim, J.-S., & Yun, J.-H.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amily structure: Associational solidarity of parent-child for depression of parent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60, 237-258. 

  24. Johnson, D. R. (1995). Alternative method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anel data in family research: Pooled time-series model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4), 1065-1077. 

  25. Jung, E., & Choi, K.-H. (2013). Depression and cognition in Korean older adults: Effects of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8(1), 17-31. 

  26. Jung, J. J., & Kim, G. E. (2012). The study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between older parents and adult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3), 895-912. 

  27. Jung, Y. M. (2006). Comparison of attitude toward elders, cognitive level, and mood state according to living arrangement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5), 727-736. 

  28. Jung, Y.-M., & Kim, J.-H. (200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3), 495-503. 

  29. Keene, J. R., & Batson, C. D. (2010). Under one roof: A review of research on intergenerational coresidence and multigenerational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Sociology Compass, 4(8), 642-657. 

  30. Kim, B. H., & Nam, C. H. (199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ed with depressive scale among the Korean elderly who lives with spous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9(2), 173-192. 

  31. Kim, D. B., Yoo, B. S., Lee, K. W., & Kim, H. J. (2014). The impact of intergenerational family characteristics and longitudinal changes of psychological heath of the elder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39, 91-120. 

  32. Kim, G. (2011). The impact of family type on health behavior of elderly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1, 35-56. 

  33. Kim, S. G., Kim, Y. G., Kim, H. R., Park, J. S., Son, C. G., Choi, Y. J., ... Yoon, A. R. (2012).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research paper 2012-5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34. Koo, B. (2013). Th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on ADL and IADL disability of the Korean old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2), 315-333. 

  35. Lang, F. R. (2001). Regul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in later adulthood.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6(6), P321-P326. 

  36. Lee, H. J., & Kahng, S. K. (2011).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 Group comparison by gende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2), 179-203. 

  37. Lee, M.-A., Kim, J., & Kang, J.-H. (2011). Living arrange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dult relationship. Health and Social Science, 29(6), 41-67. 

  38. Lee, S. (2013). Buffering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relations in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6, 49-78. 

  39. Lee, S.-Y. (2009). Living arrange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female and male elderly. Gender and Culture, 2(1), 125-149. 

  40. Liang, J., Brown, J. W., Krause, N. M., Ofstedal, M. B., & Bennett, J. (2005). Health and living arrangements among older Americans: Does marriage matter?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7(3), 305-335. 

  41. Lorant, V., Deliege, D., Eaton, W., Robert, A., Philippot, P., & Ansseau, M. (2003).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depression: A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7(2), 98-112. 

  42. Mancini, J. A., & Blieszner, R. (1989). Aging parents and adult children: Research themes in intergenerational rel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2), 275-290. 

  43. McDermott, L. M., & Ebmeier, K. P. (2009). A meta-analysis of depression severity and cognitive func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19(1), 1-8. 

  44. Panza, F., Solfrizzi, V., Frisardi, V., Capurso, C., D'Introno, A., Colacicco, A. M., ... & Imbimbo, B. P. (2009). Disease-modifying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Drugs & Aging, 26(7), 537-555. 

  45. Pillemer, K., & Suitor, J. J. (1991). "Will I ever escape my child's problems?" Effects of adult children's problems on elderly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3), 585-594. 

  46. Plassman, B. L., Williams, J. W., Burke, J. R., Holsinger, T., & Benjamin, S. (2010). Systematic review: Factors associated with risk for and possible prevention of cognitive decline in later lif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3(3), 182-193. 

  47. Radloff, L.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48. Rogerson, P. A., Burr, J. A., & Lin, G. (1997). Changes in geographic proximity between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3(2), 121-136. 

  49. Rook, K. S. (1984). The negative side of social interaction: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5), 1097-1108. 

  50. Seeman, T. E., Lusignolo, T. M., Albert, M., & Berkman, L. (2001). Social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patterns of cognitive aging in healthy, high-functioning older adults: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Health Psychology, 20(4), 243-255. 

  51. Seeman, T. E., Miller-Martinez, D. M., Merkin, S. S., Lachman, M. E., Tun, P. A., & Karlamangla, A. S. (2011). Histories of social engagement and adult cognition: Midlife in the US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6(suppl 1), 141-152. 

  52.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2014). Current service status report on registered clients. 

  5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4). Seoulites hopes for later life: A survey report. 

  54. Silverstein, M., & Bengtson, V. L. (1994). Does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influe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arents? The contingencies of declining health and widowhood. Social Science & Medicine, 38(7), 943-957. 

  55. Smits, A. (2010). Moving close to parents and adult children in the Netherlands: The influence of support needs. Demographic Research, 22(31), 985-1014. 

  56. Son, J. H., Han D. H., & Kee, B. S. (2013). The effect of living with spouse on cognitive decline and depressive symptom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7(1), 14-19. 

  57. Statistics Korea. (2013). Korean Social Trends. 

  58. Strohle, A. (2009). Physical activity, exercise,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116(6), 777-784. 

  59. Tombaugh, T. N., & McIntyre, N. J. (1992).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0(9), 922-935. 

  60. van der Pers, M., Mulder, C. H., & Steverink, N. (2015). Geographic proximity of adult children and the well-being of older Persons. Research on Aging, 37(5), 524-551. 

  61. van Gelder, B. M., Tijhuis, M., Kalmijn, S., Giampaoli, S., Nissinen, A., & Kromhout, D. (2006). Marital status and living situation during a 5-year period are associated with a subsequent 10-year cognitive decline in older men: The FINE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1(4), P213-P219. 

  62. Won, C. W., Yang, K. Y., Rho, Y. G., Kim, S. Y., Lee, E. J., Yoon, J. L., ... & Lee, Y. S.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2), 107-120. 

  63. Xu, M., Thomas, P. A., & Umberson, D. (2015). Marital quality and cognitive limitations in late lif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gbv014. 

  64. Yoo, S. H. (1997). Effects of number of children and coresidence with married adult children on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Koreans: An analysis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7(2), 38-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