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 비교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nutrition behavior, self-efficacy of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by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reducing sodium intake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5, 2015년, pp.429 - 440  

안윤 ((주)풀무원 식문화연구원) ,  김경원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민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변진원 (수원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여익현 ((주)풀무원 식문화연구원) ,  남기선 ((주)풀무원 식문화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지역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333명에게 나트륨관련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 등에 대해 설문조사하고, '나트륨 섭취 줄이기' 행동변화단계에 따라 '행동전단계 (고려전/고려/준비)', '행동단계 (행동/유지)' 두 군으로 분류하여 변수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5세이며 대상자의 68.4%는 중년에 해당되었다. 나트륨관련해서 식사관리에 관한 관심도는 대상자의 54.8%가 '매우 관심 있다'고 답하였고, 나트륨관련 식생활정보는 주로 TV/라디오 (56.6%)를 통해서 얻고 있었다. 나트륨관련 영양교육을 1회 경험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고 (49.7%), 영양교육의 내용으로는 '나트륨을 줄이는 조리 방법', '나트륨과 혈압의 관계', '나트륨과 질환의 관계' 순이었다. 2) 나트륨관련 영양 지식 총점은 평균 9.3점으로 행동단계군 (9.4점)은 행동전단계군 (9.2점)보다 점수가 조금 높았고 두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문항별로 '영유아기의 나트륨 섭취의 중요성', '가공식품과 자연식품의 나트륨 함량 비교'에서 대상자들은 매우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성인의 1일 나트륨 목표섭취량' (27.0%), '영양성분표의 나트륨 함량 산출' (30.3%)에서 정답률이 상당히 저조하였다. 3) 나트륨 저감화에 관한 식태도 총점은 39.6점으로 행동단계군 (40.3점)은 행동전단계군 (36.6점)보다 식태도가 긍정적이었다 (p < 0.001). 행동단계군은 식태도 항목 '음식은 싱겁게 먹어야 함', '짭짤한 맛이 좋음', '식사 시 국이나 찌개를 먹는 것을 좋아함', '식사 시 김치나 장아찌를 먹는 것을 좋아함', '국수, 라면 등 국물류를 좋아함'에서 행동전단계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p < 0.001), 행동전단계군보다 바람직한 식태도에는 더 동의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식태도에는 덜 동의하였다. 4) 대상자의 식행동 총점은 49.6점으로 행동단계군 (49.9점)은 행동전단계군 (48.5점)보다 식행동이 양호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부분의 식행동 항목에서 행동단계군은 행동전단계군보다 양호하였는데, 일반 식행동 중 '잡곡밥 먹기', '기름진 음식 먹기' (p < 0.05), 나트륨관련 식행동 중 '간장 등 양념장을 찍어먹는 음식 먹기', '짠 스낵 먹기', '가공식품류 먹기', '외식, 배달음식 먹기' (p < 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5) 나트륨 저감화 방법에 관한 자아효능감 총점은 평균 57.1점으로 행동단계군 (58.2점)은 행동전단계군 (52.5점)보다 자아효능감이 높았다 (p < 0.001). 행동단계군은 대부분의 방법에서 행동전단계군보다 자아효능감이 높았는데, 특히 '가공식품 피하기', '소금, MSG 대신 천연조미료 사용하기', '음식의 간은 조리를 마친 후 하기', '국그릇 크기 줄이기', '저염 양념장 만들어 사용하기' 방법에서는 두 군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p < 0.001). 6) 식태도는 식행동,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 (p < 0.001)를 식행동은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 (p < 0.001)를 나타내었고, 영양 지식은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7) 연구 결과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영양사업의 확대가 요구되며 영양교육 등 영양사업 시행 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별로 대상자를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행동전단계 대상자에게는 나트륨 저감화 실천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태도 변화를 위해 동기 부여 요소를 활용하며 행동단계 대상자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s, ea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by stages of behavioral change in reducing sodium intake among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employees. Methods: Subjects (n = 333)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인 유아의 식사를 담당하는 어린이집 조리종사자의 나트륨 저감화 관련 행태를 분석하여 유아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 사업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자의 연령이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는 중년이 많아서인지 (68.
  • 본 연구는 유아의 식생활에 영향을 주는 어린이집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나트륨 관련 식생활 행태를 파악함으로써 나트륨 저감화 정책과 사업 방향 모색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영양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
  • 후)행동변화 모델을">행동변화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나트륨 저감화 실천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나트륨 저감화 관련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자아효능감 수준을 파악하여 유아 대상의 나트륨 저감화 정책 및 사업 모색에 활용 가능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후)변화행동을">변화 행동을 실천하는 ‘행동단계’ (action stage), 6개월 이상 지속하는 ‘행동유지단계 (maintenance stage)’가 있다. 주부들의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나트륨 저감화 관련 식태도, 인식, 실천 용이도에 차이를 파악하고 맞춤식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한 연구 선례가 있는데,27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나트륨 섭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대상의 식생활 행태를 행동변화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나트륨 저감화 실천 행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교육 시 나트륨 과다 섭취의 위험성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나트륨 저감화 실천 행동 변화에 동기부여가 될 것으로 사료되는 이유는? 하지만 1일 나트륨 목표섭취량, 제품 영양성분표의 나트륨 함량 산출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것을 볼 때 나트륨의 섭취 기준, 식품별 나트륨 함량 정보,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읽기 기술에 관한 교육이 요구된다. 행동단계군은 ‘나트륨관련 질환’ 문항에서 행동전단계군보다 정답률이 유의적으로 높아 나트륨 저감화 실천대상자들이 나트륨이 다양한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됨을 충분히 인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영양교육 시 나트륨 과다 섭취의 위험성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나트륨 저감화 실천 행동 변화에 동기부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의 고혈압 유병률 추세는? 최근 고혈압, 비만, 당뇨병, 동맥경화 등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그 중 고혈압은 다른 만성질환의 유발인자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혈압 유병률 (만 30세 이상)은 2007년 25.1%에서 2013년 30.4%로 꾸준히증가하고 있으며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유병률이 높다.1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1일 나트륨 섭취량이 4,900 mg 이하인 대상자에서 고혈압 유병 위험이 낮은 것으로 보아 나트륨 저감화는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된다.
나트륨 저감화는 고혈압 예방이 된다는 주장의 근거는? 4%로 꾸준히증가하고 있으며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유병률이 높다.1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1일 나트륨 섭취량이 4,900 mg 이하인 대상자에서 고혈압 유병 위험이 낮은 것으로 보아 나트륨 저감화는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 Koo S, Kim Y, Kim MK, Yoon JS, Park K. Nutrient intake, lifestyle factors and prevalent hypertension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3): 329-340.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Health plan 2020.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4. Lee C, Kim DI, Hong J, Koh E, Kang BW, Kim JW, Park HK, Kim CI. Cost-benefit analysis of sodium intake reduction policy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3): 341-352. 

  5. Kim MK, Han JI, Chung YJ. Dietary behavior related to salty food intake of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according to saline sensitivity. Korean J Nutr 2011; 44(6): 537-550. 

  6. Yim KS.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40-652. 

  7. Yoon JS, Lee MJ. Calcium status and bone mineral density by the level of sodium intake in young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2): 125-133. 

  8. Lim HJ.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adul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37-751. 

  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10. Yon M, Lee Y, Kim D, Lee J, Koh E, Nam E, Shin H,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CI.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 473-487. 

  11. Park YH, Kang M, Baik HW, Oh SW, Park SJ, Paik HY, Choe JS, Lee JY, Kang MS, Joung H. A study on the perception as HANSIK (Korean food) for the common dishes in Korean adults resid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555-578. 

  12. Park S, Kim DJ, Shin WS. Adaptability and preference to Korean food with foreigners who reside in Seoul,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82-794. 

  13. Park SJ, Paik HY, Lee SY. The influence of mixed NaCl-KCl salt on sodium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sodium and potassium. Korean J Nutr 2007; 40(6): 500-508. 

  14. Ahn S, Park S, Kim JN, Han SN, Jeong SB, Kim HK. Salt content of school meals and comparison of perception related to sodium intak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utr Res Pract 2013; 7(1): 59-65. 

  15. Moon EH, Kim KW.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hypertension patients aged 50 years and over.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1): 62-74. 

  16. Jung EJ, Son SM, Kwon JS. The effect of sodium reduction education program of a public health center on the blood pressure, blood biochemical profile and sodium intake of hypertensiv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52-771. 

  17. Jung YY, Shin EK, Lee HJ, Lee NH, Chun BY, Ann MY, Lee Y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sodium re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46-755. 

  18. Kim JN, Park S, Ahn S, Kim HK. A survey on the salt content of kindergarten lunch meals and meal providers' dietary attitude to sodium intake in Gyeonggi-do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5): 478-490. 

  19. Shin H, Lee Y. The effectiveness of Na reduction program for cook in child-care center: focus on self-reevaluation and strengthen consciousness.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5): 425-435. 

  20. Lee JH, Ryu K. Influence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6; 16(6): 777-786. 

  21. Shin EK, Lee HJ, Jun SY, Park EJ, Jung YY, Ahn MY, Lee Y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2): 216-227. 

  22. Choi MY, Kim HY.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r exercis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53-662. 

  23. Wolf RL, Lepore SJ, Vandergrift JL, Wetmore-Arkader L, McGinty E, Pietrzak G, Yaroch AL. Knowledge, barriers, and stage of change as correlate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urban and mostly immigrant black men. J Am Diet Assoc 2008; 108(8): 1315-1322. 

  24. Suh Y, Chung YJ.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psychosocial factors related to vegetable and frui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re-action stages. Korean J Nutr 2010; 43(6): 597-606. 

  25. Ahn Y, Kim KW. Beliefs regarding vegetable consumption, selfefficacy and ea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in vegetable consumption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1-13. 

  26. Prochaska JO, DiClemente CC. Stages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 Consult Clin Psychol 1983; 51(3): 390-395. 

  27. Ahn SH, Kwon JS, Kim K, Yoon JS,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HK.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practicability of guidelines for reducing sodium intake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house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24-736. 

  28. Suh Y, Seok YH, Chung YJ.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Korean J Nutr 2012; 45(4): 324-335. 

  29. Jung EJ, Kwon JS, Ahn SH, Son SM. Blood pressure, sodium intake and dietary behavior changes by session attendance on salt reduction education program for pre-hypertensive adults in a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6): 626-643. 

  30.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31. Cho MH, Kim SJ, Lee KH. A study on preference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f soups served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8; 18(4): 601-607. 

  32. Kim SJ, Cho MH, Lee KH.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alinities of soups preferred by customers and provided at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9; 19(3): 444-450. 

  33. Kim HH, Lee YK. Analysis of presumed sodium intake of office workers using 24-hour urine analysis and correlation matrix between variables. Korean J Nutr 2013; 46(1): 26-33. 

  34. Chang SO. Effect of a 6-month low sodium diet on the salt taste perception and pleasantness, blood pressure and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2010; 43(5): 433-442. 

  35. Choi YS, Chang N, Joung H, Cho SH, Park HK. A study on the guideline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Korean J Nutr 2008; 41(6): 561-572. 

  36. Kim JA, Kim YH, Ann MY, Lee YK. Measurements of salinity and salt content by menu types served at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637-651. 

  37. Chang SO. The amount of sodium in the processed foods, the use of sodium information on the nutrition label and the acceptance of sodium reduced ramen in the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2006; 39(6): 585-5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