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열 기능 스마트 의류를 위한 인체 온열반응 기반의 최적의 발열위치 연구
Optimal Heating Location for developing the Heating Smart Clothing based on Thermal Response of Body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3, 2015년, pp.93 - 106  

조하경 ((주)블랙야크 상품기획부) ,  조상우 (호서대학교 스포츠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고기능성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ICT 기능과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의류는 일상생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발열 텍스타일 및 제어 모듈을 통해 의복 내 발열기능을 조절하는 스마트 의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발열 기능을 갖는 스마트 의류의 시장 전망이 높아지고 있으나, 발열 패드 부착위치에 따른 발열 기능의 효용성 및 온열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열 패드의 위치에 따른 피부온의 변화와 온열감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발열기능의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한 최적의 발열 위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대 표준체형의 남성 10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영하 $5^{\circ}C$의 인공기후실에서 20분의 안정기, 20분의 처치기, 40분의 회복기를 통해 11군데에서의 피부온, 직장온과 주관적 온열감을 측정,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발열패드를 위한 최적의 위치를 도출하고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ccordance with escalating demands for advanced technology products, the smart clothing that includes embedded ICT technology have expanded into fields of daily life. As a result of this trend, interest in smart clothing with digitally controllable heating has rapidly grown and the market for s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발열 의류 착장 후 체온 변화에 따른 발열 성능 평가, 온열반응 평가 (Kim, 2008 ; Lee & Jeong, 2010a ; Jung, 2011 ; Hwang & Lee, 2013) 및 발열 스마트 의류의 주관적 평가 (Lee & Jeong, 2010b) 등의 기존 개발된 발열 의류를 중심으로 착용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및 주관적 영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나, 발열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한 발열부의 최적화 위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열 패드를 인체의 4부위에 나누어 부착하고, 인체의 부위별 피부온 변화 및 주관적 온열감을 평가함으로써, 발열 의류에 있어 최적의 발열 패드 부착위치를 분석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발열부, 전원 및 발열 제어부를 적용한 스마트 의류의 개발에 있어 최적의 효과를 갖는 발열부 부착위치 도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설계하였다. 인체에 밀착되는 의류를 착용한 후, 상체의 4부위에 각각 온열 패드를 부착하고, 영하 5 ℃의 인공 기후실에서 일정 시간 동안의 인체 부위별 온도 변화 및 부위별 주관적 온열감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발열 패드 내장 시 최대의 발열 효율성을 갖는 발열 기능의 스마트 의류 개발에서의 발열 패드 부착 부위 도출을 위하여 평균 체형을 갖는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인공기후실의 환경을 구성하고 배, 등, 뒤 허리 및 상완 부위에 온열 패드를 부착, 인체의 11부위에서의 피부온과 직장온의 변화 및 온열감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의류가 일상생활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고기능성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ICT 기능과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의류는 일상생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발열 텍스타일 및 제어 모듈을 통해 의복 내 발열기능을 조절하는 스마트 의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발열 기능을 갖는 스마트 의류의 시장 전망이 높아지고 있으나, 발열 패드 부착위치에 따른 발열 기능의 효용성 및 온열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발열 스마트 의류는 어떤 형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가? 그 중 하나인 발열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방한 의류와 달리 발열 패드를 기반으로 전원 및 제어부를 통해 의복 내 온도조절 기능을 부여하여 단순한 방온이나 보온 이상의 발열 기능을 부가하는 의류로 정의된다 (Kim, 2013). 발열 스마트 의류는 전도성 섬유 열선, 면상발열체 및 전도성 잉크 프린팅 등을 이용한 발열부, 전원 및 발열제어부가 의복 내에 장착되어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Park, 2014). 이러한 발열 스마트 의류는 극한환경에서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에서부터 일상생활용 발열 의류로 추후 스포츠, 헬스케어, 군사, 레져 분야에서 점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그 기능과 응용분야가 점차 확산되어감에 따라 과거 열선 및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방식에서 벗어나 착용에 적합하면서 활동성 등의 의류 및 인체 적합성을 고려한 발열 제품으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Lee & Jeong, 2010a ; Hwang & Lee, 2012).
발열 패드를 인체의 4부위에 나누어 부착하고, 인체의 부위별 피부온 변화 및 주관적 온열감을 평가한 이유는? 이에 따라, 발열 의류 착장 후 체온 변화에 따른 발열 성능 평가, 온열반응 평가 (Kim, 2008 ; Lee & Jeong, 2010a ; Jung, 2011 ; Hwang & Lee, 2013) 및 발열 스마트 의류의 주관적 평가 (Lee & Jeong, 2010b) 등의 기존 개발된 발열 의류를 중심으로 착용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및 주관적 영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나, 발열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한 발열부의 최적화 위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열 패드를 인체의 4부위에 나누어 부착하고, 인체의 부위별 피부온 변화 및 주관적 온열감을 평가함으로써, 발열 의류에 있어 최적의 발열 패드 부착위치를 분석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 H. S., Kim, J. H., & Koo, H. R. (2014). An analysis of consumer emotion for product planning of smart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17(3), 49-56. 

  2. Hwang, Y. M., & Lee, J. R. (2012). Prototype of smart foundation with heating devic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4), 588-596. 

  3. Hwang, Y. M., & Lee, J. R.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 foundation with heating devic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2), 231-239. 

  4. Jung, G. J. (2011). Thermal responses on healthy subjects with heating vest in cool and cold environment.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1), 181-188. 

  5. Kang, N. R., & Na, Y. J. (2010).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 of human body wearing cool mapsi in air-condition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13(2), 359-370. 

  6. Kim, H. J. (2011). Wear smart clothing on the smart times (스마트 시대엔 스마트 의류를 입어라).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Journal. 137, 18-19. 

  7. Kim, I. S. (2013). Techtextil 2013, Technology trends of high performance, high functional fiber and textile on exhibition. PD ISSUE REPORT, 13(7), 18-19. 

  8. Kim, J. Y., Song, M. K., & Kim, H. E. (2010).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s by Clo values at $-10^{\circ}C$ . Journal of Korea Society and Clothing Industry, 12(4), 531-537. 

  9. Kim, M. J. (2008). Numerical analysis on body temperature change with heating life vest. Journal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4(3), 241-245. 

  10. Lee, H. Y., & Jeong, Y. H. (2010a). Evaluation for the heating performance of the heated clothing on market.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2(6), 843-850. 

  11. Lee, H. Y., & Jeong, Y. H. (2010b). Subjective wearing evaluation of the commercial electric heated vest. Korea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4(3), 667-674. 

  12. Lee, J. H. (2013). A study of outdoor jacket design applying characteristics of digital environment, (Masters dissertatio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 Seoul, Korea. 

  13. Lee, J. S., Song, M. K., & Kim, H. E. (2009).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s by age through seasonal condi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1(5), 833-839. 

  14. Park, H. (2014). New strategy of fashion apperal industry through fashion design and ICT convergence. Series of Industry creation, ISSUE PAPER 2014-357,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y. 

  15. Sung, Y. J., & Lee, S. W. (1997). Effects of exposed parts of body with garments to cold environmen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1(6), 977-9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