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정부의 습지보전실천계획 수립과 과제 현황분석: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Wetland Conservation Action Plan of Local Government: Gyeongsangnam Province,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3, 2015년, pp.245 - 250  

김지윤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도윤호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찬우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  최기룡 (경상남도 람사르환경재단)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현빈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습지 보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실행계획과 과제현황을 분석하였다. 습지보전실천계획은 기반체계(습지조사, 습지보호지역 람사르습지 관리, 습지관리전략 수립), 습지보전 및 현명한 이용(습지복원, 생물관리, 이용시설조성), 교육 및 인식증진, 협력체계구축(국내외 습지보전기관과의 협력)으로 구분하였다. 2010년부터 2013년 까지 총 42개 과제(145건)가 수행되었고 총 88,899백만원이 경상남도의 14개 기관에서 수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제의 규모와 예산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지만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과제가 많으며, 수행 주체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에 집중되어 있는 양상을 보였다. 각 과제가 얼마나 많은 성과를 만들었는가를 판단하기에 앞서, 전통적인 습지관리방법이나 행정적 법적 지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해 지방정부 차원에서 습지를 관리하고 이를 조례로 입법화한 것은 지방자치단체 수준의 습지보전에 높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단일 지방자치단체의 역량만으로 국가 네트워크를 통한 자료 공유 또는 법적 제제는 무리가 따르므로 이를 위한 중앙정부차원의 법적 근거 마련과 타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Wetland Conservation Action Plan of Gyeongsangnam Province to evaluate conservation status in local government level. Project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1) wetland infrastructure, 2) wetland conservation and wise use, 3) education and awareness, and 4) conservation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습지보전실천계획에 대해 수년 간의 결과를 축적하여 선도적인 정책을 수립한 경상남도를 표본사례(case study)로 지방정부에 의한 습지보전활동의 성과를 파악하고 이후 지방정부가 진행할 습지보전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경상남도에서 실행된 습지보전과제를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는 (1) 지난 4년간(2010~2013년) 수행된 습지보전실천과제의 수와 범주, 과제 수행기간을 분석하였다.
  • 세부과제명과 예산은 환경부 디지털도서관(MOE, 2014)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는 각 과제의 성공여부 또는 만족도에 대해서는 논의 하지 않았고 수치화 또는 객관화할 수 있는 자료에 한해서만 결과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해당과제의 주관기관은 경상남도 소재 지방자치단체(시, 군)과 중앙행정기관(청, 廳), 도내실과(室課), 직속기관(경상남도 람사르환경재단1))등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상남도청의 습지보전담당 부서는 어디인가? 경상남도청에는 습지보전 정책을 개발, 집행하고 평가하는 습지보전담당 부서가 별도로 지정되어있다(환경산림국-환경정책과-습지보전담당계). 습지보전담당계는 습지보전 실천계획 및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할 뿐만 아니라 습지보호지역 지정 및 람사르습지 등록을 추진하고 습지 내 야생동식물 보호 및 복원사업을 진행한다.
습지보전실천계획에 기준한 실천과제의 범주는 어떻게 나뉘나요? 실천과제들의 범주는 제1차 습지보전실천계획에 기준하여 ① 기반체계(습지조사, 습지보호지역・람사르습지 관리, 습지관리전략 수립), ② 습지보전 및 현명한 이용(습지복원, 생물관리, 이용시설조성), ③ 교육 및 인식증진 (CEPA, Communication, Education and Public Awareness), ④ 협력체계구축(국내외 습지보전기관과의 협력)으로 구분하였다. 세부과제명과 예산은 환경부 디지털도서관(MOE, 2014)에서 확인하였다.
습지 보호에 증진된 대중들의 인식은 습지보전기본계획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중앙정부에서는 습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가단위의 습지보전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노력하고 있다. 제1차 습지보전기본계획(2007년)은 국내습지를 발굴하고 습지보전과 복원을 위한 대상습지를 선정하는데 집중하였다면, 제2차 습지보전기본계획(2012년)은 과학적 정보를 기반으로 습지의 생태가치를 재창출하여 습지를 현명하게 이용(wise-use)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Kim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gyeman, J and Evans, B (1994). Local Environmental Policies and Strategies, Longman, Harlow, United Kingdom. 

  2. Dean, JW and Bowen, DE (1994). Management theory and total quality: improving research and practice through theory develop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3), pp. 392-418. 

  3. Do, Y, Kim, JY, Im, RY, Kim, SB, Choi, JY, and Joo, GJ (2012). Spatial distribution and social characteristics for wetland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Korean J. of Limnology, 45(2), pp. 252-260. [Korean Literature] 

  4. Dugan, PJ (1990). Wetland Conservation: A Review of Current Issues and Required Action, IUCN, Gland, Switzerland. 

  5. GPA(Gyeonggi Provincial Assembly) (2014). http://www.ggc.go.kr/app/bill/detail/VIEW/1725?menu4/9/2. 

  6. Han, SW (2008). The harmony of wetlands conservation and laws related exploitation, Environmental Law Review, 30(3), pp. 361-392. [Korean Literature] 

  7. Im, RY (2013). Wetland distribution in Changnyeong and Haman, Gyeongnam and relationship between aquatic pla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Korean Literature] 

  8. Kerzner, HR (2013). Project Management: A Systems Approach to Planning, Scheduling, and Controlling,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USA. 

  9. Kim, BW (2001). Logic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Policy, Nanam, Paju, Korea. [Korean Literature] 

  10. Kim, TS, Jeong, JW, Moon, SK, Yang, HS and Yang, BG (2013). Introduction to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J. of Korean Wetlands Society, 15(4), pp. 519-527. [Korean Literature] 

  11. Kim, WM (1996). 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and policy direction of wetland conservation.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18(11), pp. 12-17. [Korean Literature] 

  12.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http://library.me.go.kr/index.ax. 

  13. Park, JH (2008). Analysis of Public Awareness on 2008 Conferences of the Parties of Ramsar Convention,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Gyeongnam, Korea. [Korean Literature] 

  14. Persson, A (2004). Environmental Policy Integration: An Introduction, 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 Stockholm, Sweden. 

  15. Rose, OH and Bridgewater, P (2003). New approaches need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ublic awareness. Prospects 33(3), pp. 263-272. 

  16. SCC (Suncheon City Council) (2014). http://sccouncil.go.kr/?c5/31&billmode1&sn2100. 

  17. Schulte-Hostedde, B, Walters, D, Powell, C and Shrubsole, D (2007). Wetland management: an analysis of past practice and recent policy changes in Ontario. J.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2(1), pp. 83-94. 

  18. Shipan, CR and Volden, C (2008). The mechanisms of policy diffusion, American J. of Political Science, 52(4), pp. 840-857. 

  19. Von Stamm, B (2008). Managing Innovation, Design and Creativity, John Wiley & Sons, Chichester, United Kingd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