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습지교육의 정규교과 채택: 연구동향과 연구주제
Adoption of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Their Research Trends and Topic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2 no.4, 2020년, pp.257 - 263  

박준규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서승오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 ,  도윤호 (공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본 연구는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습지교육에 대한 전 세계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를 파악하였다. 습지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과거 습지교육은 습지에 대한 태도와 우리가 가져야할 인식에 대해 연구하다가 최근에는 습지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를 강조하는 주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2년까지 람사르협약에 가입한 국가 중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는 18개국이었는데 2020년 8월 기준 42 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습지에 대한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과학정보와 지식의 격차가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제적 사례를 살펴본 결과 지역단위 또는 학교 단위로 습지교육을 운영하고 있어 이들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nswer whether it is proper to adopt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and topics on wetland education and identified cases of adopting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Analyzing trends and topics on wetla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와 같이 특정 내용을 일괄적으로 전체 학교에 보급하는 교육과정 제정 절차의 특성상 정규교육과정에 포함될 내용의 특성이나 교육의 효과, 연구동향, 사례들을 충분히 연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습지교육에 대한 전세계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내용을 파악하여 습지 교육의 방향과 교육의 내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2)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에 포함하고 있는 국가를 파악하고 이러한 제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국의 경제, 사회, 자연환경 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습지교육에 관한 국제적인 연구동향과 습지 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하고 있는 국가들의 현황과 내용을 파악하였다. 과거 습지교육은 습지에 대한 태도와 우리가 가져야할 인식에 대해 연구했으며 최근에는 습지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를 강조하는 주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ria, M and Cuccurullo, C (2017). Bibliometrix: An R-tool for comprehensive science mapping analysis, J. of Informetrics, 11(4), pp. 959-975. 

  2. Friess, DA, Krauss, KW, Horstman, EM, Balke, T, Bouma, TJ, Galli, D and Webb, EL (2012). Are all intertidal wetlands naturally created equal? Bottlenecks, thresholds and knowledge gaps to mangrove and saltmarsh ecosystems, Biological Reviews, 87(2), pp. 346-366. 

  3. Hettiarachchi, M, Morrison, T and McAlpine, C (2015). Forty-three years of Ramsar and urban wetland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32, pp. 57-66. 

  4. Katz, D, Grinstein, A, Kronrod, A and Nisan, U (2016).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water conservation campaign: Combining experimental and field methods, J.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80(9), pp. 335-343. 

  5.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2016). A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 policies in major countries, CRM-2016-16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Jincheon, Korea. [Korean Literature] 

  6.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1). Wetland environment education material,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Korean Literature] 

  7. Roy, MB, Chatterjee, D, Roy, PK and Mazumdar, A (2015). Wetland conservation, management and community education-a review of published paper of 1995-2014, Ecology,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21(4), pp. 1769-1777. 

  8. Ryoo, JS (2016). Which should be the aim of future education between knowledge and character? The Korean J. of Philosophy of Education, 38(3), pp. 49-68. 

  9. Viswanath, K and Finnegan Jr, JR (1996). The knowledge gap hypothesis: Twenty-five years later,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19(1), pp. 187-228. 

  10. Wang, Y, Yao, Y and Ju, M (2008). Wise use of wetlands: current state of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Chinese wetland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41(6), pp. 793-808. 

  11. Warner, B and Asada, T (2006). Knowledge gaps and challenges in wetlands under climate change in Canada, S Bhatti, MJ Apps and MA Price (Eds.), Climate Change and Managed Ecosystem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pp. 355 

  12. Wilcox, DA (2008). Education and training of future wetland scientists and managers, Wetlands, 28(3), pp. 578-584. 

  13. Zedler, JB and Kercher, S (2005). Wetland resources: status, trends, ecosystem services, and restorability,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30, pp. 39-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