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슈켄트 서울공원 설계과정에서 구현된 한국정원 설계요소 고찰
A Study of the Implemented Korean Traditional Garden Design Elements on Tashkent Seoul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5, 2015년, pp.40 - 54  

신현돈 (서안알앤디 디자인(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와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의 수도 타슈켄트(Tashkent)시는 2010년 7월에 자매도시협정을 맺고, 타슈켄트 내에 서울공원을 조성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이를 위한 현상 설계 공모를 2012년 치렀으며, 이때 당선된 작품을 기반으로 하여 2014년 6월 준공 후, 같은 해 9월에 개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 설계 당시의 고민에서부터 아이디어가 실제 설계에 반영되어 준공되기까지 제 전반의 사항들을 한국정원 설계요소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타슈켄트 서울공원은 단순히 타슈켄트 내의 공공 공원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해외에 조성된 한국 전통 정원의 새로운 효시가 될 수 있는 곳으로 조성코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지금까지 외국에 조성된 한국정원과 공원들이 대부분 조선시대에 초점을 맞추어 재현했던 한계를 벗어나, 타슈켄트 서울공원은 17만 명 고려인들이 우즈베키스탄에 머무르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옛 고려의 문화와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성 재현을 위한 디자인 요소들을 도출하였으며, 여기에는 고려시대의 정원 요소뿐 아니라, 고려인들 외에 현지인들이 보편적인 한국 전통정원을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선시대의 재현 요소들도 재해석하여 함께 설계에 반영하였다. 중앙아시아에 한국의 전통미와 서정성이 담긴 공간을 구현하여 타슈켄트시 현지인들에게 우리문화의 단아하고 소박한 풍경을 느끼도록 하였다. 서울공원의 스토리텔링의 공간경험은 두 가지 시점으로 전개된다. 첫째, 고려인과 외국인의 시점으로 전개되는 공간경험으로써, 서정적이고 다원적인 공간구조를 지나면서 체험하는 경관의 단서들을 통해 고향, 한국의 정취를 더듬어 나가는 연속적 경관 체험의 장이다. 둘째, 타슈켄트 시민을 비롯한 이방인들의 시점에서 전개되는 경험으로써, 낯선 경관에서 느끼는 새로움, 지형과 경관을 다루는 다양한 기법 및 자세를 읽고, 과거 실크로드를 통해 동아시아와 교역을 이루었던 것처럼 한국정원에서 한국문화와 교감을 하며, 우리의 정서를 느끼는 스토리텔링과정으로 설정하였다. 외국도시에 조성되는 한국정원 및 공원은 단순한 조경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넘어, 외국인들에게 대한민국의 이미지와 '한국'의 문화를 널리 알리는 첨병 역할을 한다. 타슈켄트 서울공원 역시 이를 통해 대한민국과 수도서울의 이미지를 쉽게 알릴 수 있도록 한국 전통조경의 아름다움과 독창성을 반영하여 설계하였다. 더불어 우즈베키스탄 경관과의 차별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 현지인들에게 한국문화를 알릴 수 있는 계획안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뒀다. 타슈켄트 서울공원은 현 시점에서 외국에 조성된 '한국정원'의 가장 최근 사례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계 전략과 내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외국 도시에 조성되고 있는 한국정원에서의 한국성의 재해석 과정과 설계 요소 도출에 대한 고민과 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shkent Seoul Park was completed in June, 2014, following the signing of a sisterhood relationship between Seoul City and Tashkent, the capital of Uzbekistan in July, 2010. An open competition for the design of the park was held and, based on the design, the park was completed in June and open to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공원의 스토리텔링의 공간경험은 어떤 시점에서 전개되는가? 서울공원의 스토리텔링의 공간경험은 두 가지 시점으로 전개된다. 첫째, 고려인과 외국인의 시점으로 전개되는 공간경험으로써, 서정적이고 다원적인 공간구조를 지나면서 체험하는 경관의 단서들을 통해 고향, 한국의 정취를 더듬어 나가는 연속적 경관 체험의 장이다. 둘째, 타슈켄트 시민을 비롯한 이방인들의 시점에서 전개되는 경험으로써, 낯선 경관에서 느끼는 새로움, 지형과 경관을 다루는 다양한 기법 및 자세를 읽고, 과거 실크로드를 통해 동아시아와 교역을 이루었던 것처럼 한국정원에서 한국문화와 교감을 하며, 우리의 정서를 느끼는 스토리텔링과정으로 설정하였다. 외국도시에 조성되는 한국정원 및 공원은 단순한 조경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넘어, 외국인들에게 대한민국의 이미지와 '한국'의 문화를 널리 알리는 첨병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가 자매도시 결연사업으로 공원을 조성하게 된 시작은 무엇인가? 그 중의 하나가 비용이 많이 들지 않으면서도 정원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각국의 독자성을 갖춘 전통정원을 외국도시에 조성하는 것이다(Jung, 2010: 1). 우리나라는 터키(Turky) 수도 앙카라(Ankara)시에 조성된 ‘한국정원'을 시작으로 다양한 곳에 외국과 자매도시 결연사업으로 공원이 조성되었다. 우호협력 증진의 일환으로 조성된 국외 한국정원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상징하고 있으며, 문화교류의 장으로서 한국의 전통성을 타 민족에게 보여주고 있다(Lee, 2005: 1).
타슈켄트 서울공원이 지금까지 외국에 조성된 한국 공원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타슈켄트 서울공원은 단순히 타슈켄트 내의 공공 공원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해외에 조성된 한국 전통 정원의 새로운 효시가 될 수 있는 곳으로 조성코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지금까지 외국에 조성된 한국정원과 공원들이 대부분 조선시대에 초점을 맞추어 재현했던 한계를 벗어나, 타슈켄트 서울공원은 17만 명 고려인들이 우즈베키스탄에 머무르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옛 고려의 문화와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성 재현을 위한 디자인 요소들을 도출하였으며, 여기에는 고려시대의 정원 요소뿐 아니라, 고려인들 외에 현지인들이 보편적인 한국 전통정원을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선시대의 재현 요소들도 재해석하여 함께 설계에 반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ung, S. H. and W. K. Sim(1995) A cross-cultural comparisons for landscape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2): 104-112. 

  2. Collingwood. G. E.(1937) The Principles of Art. 문정복(역). 예술의 원리. 서울: 형설출판사. 1982. 

  3. Davis, M.(1996) The Politics of Philosophy: A Commentary on Aristotle's Politics. Lanham, MD:Rowman & Littlefield. 

  4. Hunt, J. D.(2000)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 Jung, I. H.(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Program for the Tradition of Korean Garden in the Foreign Cities.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6. Kim. S. W.(1998) A study on the culture of landscape architecture during the Koryo Kingdom. Journal of the 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1(1): 1-5. 

  7. Kim. S. W. and H. K. Kang(1995) A study of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3(2): 139-159. 

  8.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2014). 

  9.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2014) Suggestions on the Standard and assistance model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 한국 전통정원활성화를 위한 표준모델 개발 및 지원방안 연구. 국가건축정책위원회. 

  10. Kwon, J. W., E. Y. Park, K. P. Hong and M. H. Hwang(2013) Suggestion on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gardens for the overseas estabi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 Oriented the garden which is applicable to the open spac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106-113. 

  11. Lee, S. H.(2005)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 Design Elements in the Korean Garden: A Case Study of Overseas Traditional Gardens.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12. Park, E. Y., S. J. Yoon, K. P. Hong and M. H. Hwang(2013) Current state of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problems aspects, in overseas countrie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3): 75-62. 

  13. Seo-Ahn RnD Design Group(2012) The Planning for Korea-Type Outdoor Facilities. L. H. 서안알앤디 디자인(2012) 한국형 옥외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계획. 한국토지주택공사. 

  1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1) The guideline for Design of Tasukent Seoul Park competition. 서울특별시(2011) 타슈켄트 서울공원 기본계획(안) 현상설계 공모 지침. 

  1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12) Design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Documen for Tashkent Seoul Park. 서안알앤디 디자인(2012) 타슈켄트 서울공원 기본 및 실시설계 서울별서(別墅).서울특별시. 

  16. Shin, H. D.(2014) Tashkent Seoul Park, Seoul Byeolseo.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315): 46-53. 신현돈(2014) 타슈켄트 서울공원, 서울별서. 환경과조경 (315): 46-53. 

  17. Shin, H. D.(2015) Korea landscape architecture-from Silk Road to South America. Quarterly report for Kore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97): 6-7. 신현돈(2015) 실크로드에서남미까지. 한국조경사회보(97): 6-7. 

  18. Sim, W. K.(2004) A study on the culture of landscape architecture during the Koryo Kingdom and the characteristic of Moonsuwon. The Journal of Studies in Gangwon Community Culture (23): 165-171. 

  19. Korea Database Agency (http://www.kodb.or.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