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깨관절의 접시오목을 나타내는 Grashey법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Grashey Method Viewing the Glenohumeral(shoulder) Joint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9 no.6, 2015년, pp.331 - 335  

이재섭 (광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김영재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는 단순방사선 촬영법으로 전후사방향 자세에서 촬영하는 Grashey법이 있다. 이 촬영법 자세는 선 자세에서 검사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한다. 하지만 촬영 시 환자를 몸통을 들어 올리고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관찰범위가 변화한다. Glenohumeral joint's를 가장 잘 나타내기 위한 몸통 회전 각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20명(남:13명, 여:7명)을 대상으로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영상의 판단을 위하여 정형외과 전문의 2명, 방사선사 2명(경력 15년 이상자)이 관찰 평가하였다. 평가의 척도는 Glenohumeral joint's 분리 정도의 점수를 0점은 '분리 안 됨', 1점은 '불량', 2점은 '보통', 3점은 '양호'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몸통 회전 각도를 $30^{\circ}$ 인 영상은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겹쳐서 나타났고, $35^{\circ}$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약간 겹쳐서 나타났고, $40^{\circ}$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의 관절강이 가장 겹침이 적게 나타났고, $45^{\circ}$ 인 영상에서도 겹침 정도가 많았다. 각 영상의 평가 점수는 $30^{\circ}$$0.40{\pm}0.499$, $35^{\circ}$$1.34{\pm}0.657$, $40^{\circ}$$1.84{\pm}0.573$, $45^{\circ}$$0.76{\pm}0.649$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선 자세에서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기 위한 자세에서 환자 몸통을 $40^{\circ}$ 검사 반대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하였을 경우 우리는 가장 양호한 접시오목(Glenoid fossa)를 나타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ation of Glenohumeral joint's image with the Changed Body angle of the Glenohumeral joint's Oblique Position in Erect Position. Glenohumeral joint's of Grashey method is a shoulder oblique method available to view the shoulder joint. Grashey method projects AP view of the Glenohumeral jo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깨관절의 촬영법인 Grashey법에서 촬영각도의 변화에 따라 가장 관찰하기 용이한 각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 카세트의 끝이 어깨 위로 약 5cm, 측면이 위팔뼈 측으로부터 약 5cm에 놓이도록 조정한다. 중심 엑스선은 카세트에 수직으로 어깨의 위 바깥 가장 자리에서 아래쪽으로 5 cm, 안쪽으로 5 cm 지점에 입사시킨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는 단순방사선 촬영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는 단순방사선 촬영법으로 전후사방향 자세에서 촬영하는 Grashey법이 있다. 이 촬영법 자세는 선 자세에서 검사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한다.
Grashey법의 촬영법 자세는? Glenohumeral joint's를 나타내는 단순방사선 촬영법으로 전후사방향 자세에서 촬영하는 Grashey법이 있다. 이 촬영법 자세는 선 자세에서 검사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한다. 하지만 촬영 시 환자를 몸통을 들어 올리고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관찰범위가 변화한다.
Shoulder joint의 구성은? 인체에서 가장 운동 영역이 넓은 대표적인 구상관절인 Shoulder joint는 크게 어깨뼈와 빗장뼈 그리고 가슴우리와의 사이에서 만드는 어깨흉곽관절(Scapulo - thoracic joint)과 빗장뼈와 어깨뼈, 위팔뼈와의 사이에서 만드는 어깨관절(glenohumeral joint)로 구성되어있다[1]. 이러한 어깨관절은 인체에서 가장 자주 탈구되는 관절로서 접시오목(Glenoid fossa)과 위팔뼈머리 사이의 크기 차이로 인체 관절 중 가장 큰 활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탈구손상을 받기 쉬워 환자가 어떠한 원인으로 어깨통증을 호소할 시 여러 가지 어깨관절 촬영을 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접시오목 어깨관절 전후 사방향 촬영을 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 W. Kim, J. S. Hong , J. H. Hong et al, "Development of capular ligament finite element model of glenohumeral joint and the flexion simulation", KSPE, Vol.11, No.2 pp.915-16, 2011 

  2. Ik Yang, "Radiology of Shulder Joint", KSES, Vol.7, No.1 pp.29-33, 2009 

  3. Yeong Seon Kang, Chan Woo Song, "The Pain of the Shoulder Joint and Posterolateral Area of Upper Arm",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9, No.1, pp.105, 1996 

  4. Hyung-Sik Yoo, "Development of Radiology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J Korean Soc Radiol, Vol.71, No.6 pp.265-277, 2014 

  5. Eui-Cheol Lee, Hawn-Cheol Kim, Dal-Young Jung et al, "Association Between Job-Stress and VDT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Neck and Shoulder Among White-Collar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9, No.3, pp.187-195, 2007 

  6. Jaemeong Jung, "Evaluation,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Painful Shouder", J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Vol 6, No. 1, 2003 

  7. Byeongju Ahn, Junhaeng Lee, "The shoulder diagnosis Scapula study of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JKSR, Vol.4, No.2, 2010 

  8. Jungwo Kim, "Radiology of Shulder Joint", KSES, Vol.10, No.1 pp.25-3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