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형과 과실 약재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Fructus in Apiaceae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3 no.5, 2015년, pp.400 - 405  

송일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과학과) ,  (강원대학교 한방바이오연구소) ,  유창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과학과) ,  허권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As the characterization of medicinal plants is an important aspect of traditional Asian herbal medicine, this study examines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in four fructus form medicinally important plants belonging to the family Apiaceae. Methods and Results : Fruit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과실 (열매)은 자방 (심피)이 성숙한 것이고, 종자는 배주(ovule)가 성숙한 것으로 식물학적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약재의 오용을 막기 위하여 정확한 형태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자나 일반 재배 농가에서 정확한 한약재를 생산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약자원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산형과 중에서 열매를 한약재로 사용하는 식물의 과실을 형태학 및 해부학적 측면에서 비교 연구하여 각각의 고유한 특징을 밝혀서 정확한 한약재 사용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약재의 오용을 막기 위하여 정확한 형태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자나 일반 재배 농가에서 정확한 한약재를 생산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약자원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산형과 중에서 열매를 한약재로 사용하는 식물의 과실을 형태학 및 해부학적 측면에서 비교 연구하여 각각의 고유한 특징을 밝혀서 정확한 한약재 사용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 그러나 괴근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이를 재배하여 약용시장에서 취급해 왔던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산형과 (Apiaceae) 식물 중에서 과실 (fruit)이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을 가지고 한약재 판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형태와 해부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농업에서는 벼나 메밀처럼 열매와 종자의 구분을 정확히 하지 않고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유자 과실은 한방에서 어떻게 이용되는가? 초장은 50 - 90 ㎝ 정도이며, 초여름에 가지 선단에 흰색의 소화가 개화한다. 향신료로 쓰이는 것 외에 과실을 한방에서 소화불량, 건위, 월경불순, 구충약 등으로 이용한다 (Ahn, 1998). 과실은 각각의 분과가 거의 분리되지 않아 마치 구형처럼 보인다.
시라자란 무엇인가? 중국에서 시라 (蒔蘿)라고 불리우는 산형과 (Apiaceae)의 1-2년생 초본식물의 열매를 시라자 (蒔蘿子)라고 하며 (Ahn, 1998), 영명은 Dill이라고 한다 (Hotta et al., 1989).
시라자 과실의 형태는 어떠한가? 과실의 형태는 과병에 과실이 좌우 대칭으로 달려있는 분리과 (schizocarp)이며, 타원형 또는 계란상 타원형이다. 각각의 분과 (mericarp)는 3개의 배륵 (dorsal rib)과 2개의 측륵 (lateral rib)이 발달하였으며, 좌우 양쪽의 측륵이 3개의 배륵 보다 길게 잘 발달하여 마치 얇은 막질의 wing 형태를 취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DK. (1998).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1-855. 

  2. Fu L, Chen T, Lang K and Hong T. (1999). Higher plants of China(Vol. 9). Qingdao Publishing House. Qingdao, China. p.133-202. 

  3. Fu L, Chen T, Lang K, Hong T and Lin Q. (2001). Higher plants of China(Vol. 8). Qingdao Publishing House. Qingdao, China. p.532-714. 

  4. Henry EC. (1977). A method for obtaining ribbons of serial sections of plastic embedded specimens. Stain Technology. 52:59-60. 

  5. Hotta M, Ogata G, Nitta A, Hosikawa K, Yanagi M and Yamazaki K. (1989). Useful plants of the world. Heibonsha Press. Tokyo, Japan. p.90-463. 

  6. Kim CM, Shin MK, Lee KS and Ahn DK. (1999). Chinese herbal dictionary. Jeongdam Publish Co. Seoul, Korea. p.1-6460. 

  7. Kim MJ, Kim IJ, Choi SY, Han DH, Kim YH, Lim SC, Kim TJ, Nam SY, Song BH, Oh BU and Park CG. (2014). Composition of Cynanchum wilfordii, C. auriculatum, Metaplexis japonica and Polygonum multiflorum by morphological character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113-120. 

  8.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230. 

  9.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Co. Seoul, Korea. p.1-914. 

  10. Makino T. (1989). Makino's new illustrated flora of Japan(2nd ed.). Hokuryukan Co. Tokyo, Japan. p.442. 

  11. Park C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782. 

  12. Korea Medicine Herbal Association(KMHA). (2015). The hankook saengyark bo. Korea Medicine Herbal Association. Seoul, Korea. p.2. 

  13.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2005). English- Korean, Korean-English biological terms(2nd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1-1161.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3).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oul, Korea. p.1312.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4). Food and drug statistical yearbook(Vol.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oul, Korea. p.44-386. 

  16. Wang YX, Cui X, Qiao CZ and Chen BY. (1989). Coloured identify dictionary of Chinese herbal tissue. People's Army Medical Press. Beijing, China. p.1-202. 

  17. Wichtl M. (2004). Herbal drugs and phytopharmaceuticals(3rd ed.).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 Stuttgart, Germany. p.149-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