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주택(전용 85 m2 이하) 아파트평면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제도적 변화와 사회적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Apartment Unit Plan in National Housing - Focused on Institutional and Social Changes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5, 2015년, pp.123 - 131  

최권종 (토문건축사 사무소) ,  진정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optimum guide line of the unit plan design in national housing (less than $85m^2$ of exclusive floor area in a dwelling unit). The unit plan of apartment have been improved diversely for the residents, and the family members per household have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파트 단위세대 규모 중 가장 선호하는 국민주택(전용면적 85 m2 이하)의 시대적 흐름에따른 평면 발전과정과 단위평면규모에 대하여 사회적 변화와 제도적 변화요인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주거의 중요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민주택규모(85 m2이하) 단위세대평면이 시대별로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조사하고, 법제도 변화와 설계기술의 향상에 따라 각 실의 평면구성이 변천해온 모습을 분석하여 단위세대 평면구성의 특징을 연 한다.
  • 제정당시와 다르게 거주환경이 변하고 가구당 구성원이 줄어들고 있으며, 설계를 위한 법·제도 등의 변화에 따라 단위세대 실사용 규모도 변화되고 있다. 특히 발코니 확장에 대한 법적 변화는 실사용 면적의 증가를 가져왔고 평면의 설계방식에 따라 면적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국민주택규모 제정당시에 적용된 기준의 의미가 훼손되어 적정규모에 대한 재검토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주거의 유형 변화의 시초는? 우리나라 주거의 유형은 1960년대 마포아파트단지를 시작으로 단독주택에서 서구형 아파트형식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국가 경제가 발달하면서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고 도시택지부족과 주거시설 부족으로 아파트 단지가 급속히 확장되었다.
아파트 단위평면의 진화 요인은? 96%가 아파트1)로 바뀌어 왔고 앞으로도 증가 추세에 있다. 아파트 단위평면은 수요자의 요구와 설계기술의 발전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주택건설 사업자의 상품화 전략과 맞물려 많은 단위세대 평면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Yoon et al.
발코니확장의 법적허용에 따라 바뀐 발코니의 역할은? 평면변화 중 현재까지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로는 발코니확장의 법적허용 이다. 최근 공급되는 국민주택 단위 평면의 각실 구성방식이 발코니 확장을 전제로 설계되고 있으며, 발코니가 각 실의 확장을 위한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J. P., Cho, H. K., Park, I. S., & Park, Y. S. (2004). A Spatial Analysis of the Apartment Unit Plans from 1966 to 2002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6), 160-162. 

  2. Cho, S. H., & Park, S. B. (2000). A Study for the Developing Diverse Dwelling Unit Plans of Apartment according to Housing Life Styl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6(6), 3-6. 

  3. Jee, S. I. (2014).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lcony Space in German Multi-family Housing from 1920 to 1930.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10), 3-8. 

  4. Kim, M. G. (2009). A Study on the Change of Plan Following Balcony Extension in Apartme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7), 151-152. 

  5. Kim, M. K., & Yoon, C. S. (2010). A Study 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pace Dimension of 60 & 85 Size Apartment Plan Typ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1(1), 56-61.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2 & 2014). Korea Housing Survey. Sejong: MOLIT. 

  7. Kwon, H. S., Chun, W. H., & Park, J. Y. (2006). A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Plan of Balcony Space in Apart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 82-83. 

  8. Park, C. S. (2004). Emerging from Customary Design for Balcony Space in Apart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4), 76-78. 

  9. Seong, B. M. & Kim, W. P. (2010). A Study on Problems and Design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 Diversion of Balcony Area at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2), 238-241. 

  10. Sejin Planning (2006). Encyclopedia for Apartment. Seoul: Sejin Publish co. 

  11. Shin, K. J., & Moon, H. J. (2007). A Study on the Aspects of Dwelling Levels in the Wide of Each Space in Public Rental Apartment Units Plan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3(12), 145-147. 

  12. Yoon, C. S., Jun, N. I., Kim, D. Y., Kim, M. K., & Kim, J. I. (2008). A Study Areal &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21C Apartment Typical Unit Plan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Vicinit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6), 21-22. 

  13. Yoon, J. S. (2007). Korea Living and Life. Paju: Gyomoon. Publish c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