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바이오필터에 의한 토양수분 안정화 및 실내 공기질 향상
Stabilization of Soil Moisture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a Plant-Biofilter Integration System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5, 2015년, pp.751 - 762  

이창희 (한경대학교 원예학과) ,  최봄 (한경대학교 원예학과) ,  천만영 (한경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평면형 바이오필터를 설계하여 제작하고 이 바이오필터에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amoena 'Marianne')의 식재 여부에 따라 환기 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토양 수분 안정화 정도를 측정하고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포름알데히드(HCHO)와 같은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바이오필터의 제거율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디펜바키아의 식재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일정한 상대습도, 온도 및 토양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 바이오필터에 식재한 디펜바키아도 정상적으로 생육하였다. 바이오필터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율을 보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입자 수는 토양만 있는 경우 각각 30%와 2% 이상 제거되었고,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경우도 각각 40%와 4% 이상 제거되었다. 미세먼지(PM10) 무게에 따른 제거율은 토양만 있는 경우 4% 이상,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경우 20% 이상으로 나타났다. 토양만 채운 바이오필터는 xylene, ethylbenzene, toluen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s)를 63% 이상 제거하였으나 benzene은 22% 이상, HCHO는 38% 이상을 제거하였다.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바이오필터는 xylene, ethylbenzene, toluene, T-VOCs를 72% 이상 제거하였고 benzene과 HCHO도 39% 이상 제거하였다. 따라서 식물과 바이오 필터를 결합한 시스템은 미세먼지의 제거보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에 대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평면형 바이오필터는 실내 공기질 정화에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과 바이오필터를 결합하였을 때 그 효과는 더욱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soil moisture in controlling air ventilation rate within a horizontal biofilter, and to compare removal efficiency (RE) of indoor air pollutants including fine dust,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formaldehyde (HCHO), depending on wh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Kennes and Thalasso, 1998; Ottengraf, 1986). 따라서 본 연구는 제작된 평면형 바이오필터에 실내 식물인 디펜바키아를 식재하고 토양수분 안정화에 따른 정상적인 식물 생장 여부와 식물 식재 유무에 따른 바이오필터의 실질적인 공기정화 효율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부가 시행하고 있는 실내공기질법의 목적은 무엇인가? 실내 공기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실내공기질(indoor air quality, IAQ)은 현대인의 건강보호 측면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질을 알맞게 유지하고 관리하여 그 시설을 이용하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함을 목적으로 ‘실내공기질법’을 시행하고 있다(MOE, 2014). 실내 공기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포름알데히드(HCHO) 등 가스상 오염원과 미세먼지의 입자상 오염원을 소공간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상업용 공간의 경우에는 중앙 공조장치를 적용하여 제어하고 있다(Bea and Ji, 2013).
평면형 바이오필터에서의 정상적인 식물 생장이 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식재된 디펜바키아의 생장 특성을 분석했을 때 지상부의 생장에서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설계된 평면형 바이오필터에서의 정상적인 식물 생장이 가능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식재된 디펜바키아의 생장 특성을 분석한 결과, 바이오필터 내에 식재 전 초기값에 비해 초장, 초폭, 체적, 엽수에서 확연히 증가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 평면형 바이오필터에서 정상적으로 식물 생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또한 지상부의 생장에 있어서는 식재 전에 비해 식재 후에 생체중과 건물중이 모두 약 3배로 증가하였던 반면에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생육 전후의 차이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Table 4). 본 바이오필터 내 토양에 대한 관수는 토양 위에서 아래로 중력에 의해 수분이 공급되는 방식이 아니라 가습된 공기가 일정하게 토양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면서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는 일종의 저면 자동관수법(‘바이오필터화분 수분공급장치’, 특허번호 10-1418679; Chun and Lee, 2014)으로 토양 수분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분포시키는 방식이기에 디펜바키아의 경우, 충분한 토양 수분(24.
바이오필터는 무엇인가? 실내 공기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포름알데히드(HCHO) 등 가스상 오염원과 미세먼지의 입자상 오염원을 소공간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상업용 공간의 경우에는 중앙 공조장치를 적용하여 제어하고 있다(Bea and Ji, 2013). 또 다른 방법으로는 2차 오염원 발생이 없고 환경적으로 안전한 미생물을 이용해 오염물질의 흡착 및 흡수, 분해 등 생물학적으로 실내공기질을 제어하는 바이오필터(biofilter)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Delhoménie and Heitz, 2005). 또한 실내식물은 사람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정화를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실내 공기오염 물질인 HCHO, VOCs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rnold, M., A. Reittu, A. Von Wright, P.J. Martikainen, and M.L. Suikho. 1997. Bacterial degradation of styrene in waste gases using a peat filter. Appl. Microbiol. Biotechnol. 48:738-744. 

  2. Baik, J., E.J. Jang, and C.H. Pak. 2003. Plant stresses of two Araceae foliage plants cultured by hydroculture and plant activity compared with soil culture. Kor. J. Hort. Sci. Technol. 21:341-345. 

  3. Bang, S.W., J.Y. Kim, J.E. Song, K.J. Kim, and D.H. Kim. 2013. Effect of the bio green wall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6:415-420. 

  4. Bea, G.N. and J.H. Ji. 2013. Management policy and control technology for indoor air quality in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378-389. 

  5. Cardenas-Gonzalez, B. 1999. Characterization of compost biofilter media. Ph.D. Diss.,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 of Massachusetts, Amherst, Massachusetts, USA. 

  6. Choi, B., M.Y. Chun, and C.H. Lee. 2014. Evaluation for soil moisture stabilization and plant growth response in horizontal biofiltraton system depending on wind speed and initial soil moisture. Korean J. Plant Res. 27:546-555. 

  7. Chun, M.Y. and C.H. Lee. 2014. Water supply system for biofilter flowerpot. Patent serial No. 10-1418679. 

  8. Darlington, A.B., J.F. Dat, and M.A. Dixon. 2001. The biofiltration of indoor air: air flux and temperature influences the removal of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Environ. Sci. Technol. 35:240-246. 

  9. Delhomenie, M.C. and M. Heitz. 2005. Biofiltration of air: a review. Crit. Rev. Biotechnol. 25:53-72. 

  10. Delhomenie, M.C., L. Bibeau, J. Gendron, R. Brzezinski, and M. Heitz. 2001. Influence of nitrogen on the degradation of toluene in a compost-based biofilter. J. Chem. Technol. Biotechnol. 76:997-1006. 

  11. Delhomenie, M.C., L. Bibeau, N. Bredin, S. Roy, S. Brousseau, J.L. Kugelmass, R. Brzezinski, and M. Heitz. 2002. Biofiltration of air contaminated with toluene on a compost-based bed. Adv. Environ. Res. 6:239-244. 

  12. Deshusses, M.A., C.T. Johnson, and G. Leson. 1999. Biofiltration of high loads of ethyl acetate in the presence of toluene. J. Air Waste Manag. Assoc. 49:973-979. 

  13. Hong, J., J.S. Lee, and C.H. Pak. 2005. Selection of indigenous plants tolerant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their purifying mechanisms in indoor environment. Kor. J. Hort. Sci. Technol. 23:97-103. 

  14. Jang, H.S., S.K. Shin, J.H. Song, and S.J. Hwang. 2006. Biodegradation of VOC mixtures using a bioactive foam reactor II. Ksce J. Civ. Eng. 26:695-701. 

  15. Kennes, C. and F. Thalasso. 1998. Waste gas biotreatment technology. J. Chem. Technol. Biotechnol. 72:303-319. 

  16. Kil, M.J., K.J. Kim, J.K. Cho, and C.H. Park. 2008a. Formaldehyde gas removal effect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Fatsia japonica and Epipremnum aureum according to various light intensity. Kor. J. Hort. Sci. Technol. 26:189-196. 

  17. Kil, M.J., K.J. Kim, C.H. Pak, H.H. Kim, and Y.W. Lim. 2008b. Effects of growing media and exposure frequency on the volatile formaldehyde removal in potted Epipremnum aureum. Kor. J. Hort. Sci. Technol. 26:325-330. 

  18. Kim, K.J., M.I. Jung, D.W. Lee, H.D. Kim, E.H. Yoo, S.J. Jung, S.W. Han, and S.Y. Lee. 2009. Water absorption and water diffusion by irrigation system in the planters for indoor plants.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12:57-63. 

  19. Kim, K.J., M.J. Kil, J.S. Song, and E.H. Yoo. 2008. Efficiency of volatile formaldehyde removal by indoor plants: Contribution of aerial plant parts versus the root zone. J. Am. Soc. Hortic. Sci. 133:521-526. 

  20. Lee, E.Y., Y.S. Jun, K.S. Cho, and H.W. Ryu. 2002.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benzene, ethylbenzene, and xylene by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T3-c. J. Air Waste Manag. Assoc. 52:400-406. 

  21. Lee, J.H. 2006. System of phyto-filter for removing indoor air pollutants. J. Korean Inst. Inter. Landsc. Archit. 8:9-16. 

  22. Lee, J.H. and I.S. Joe. 2008. A study on development of biofilter system for removing indoor air pollution used by plant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1:33-46. 

  23. Lohr, V.I. and C.H. Pearson-Mims. 1996. Particulate matter accumulation on horizontal surfaces in interiors: Influence of foliage plants. Atmos. Environ. 30:2565-2568. 

  24.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4. Environment white paper.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5. Mohseni, M. and D.G. Allen. 2000. Biofiltration of mixtures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Chem. Eng. Sci. 55:1545-1558. 

  26. Morales, M., G. Frere, M.E. Acuna, F. Perez, S. Revah, and R. Auria. 1996. Influence of mixing on the removal rate of toluene vapors by biofiltration. In: Proceedings of the 89th Annual Meeting & Exhibition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June 23-26, 1996. Nashville. Air & Waste Manag. Assoc. Pittsburgh, PA, USA. 

  27. Myung, S.W., Y.S. Nam, Y.W. Lee, and H.S. Choi. 2003. Removal characteristics of toluene in biofilters packed with reticulated- PU-foams of different porositi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448-454. 

  28. Nieuwenhuis, M., K. Craig, P. Tom, and S.H. Alexander. 2014. The relative benefits of green versus lean office space: three field experiments. J. Exp. Psychol. 20:119-214. 

  29. Oh, Y.S., S.C. Choi, and Y.K. Kim. 1998. Degradation of gaseous BTX by biofiltration with Phanerochaete chrysosporium. J. Microbiol. 36:34-38. 

  30. Oh, Y.S., Z. Shareefdeen, B.C. Baltzis, and R. Bartha. 1994. Interactions between benzene, toluene and p-xylene (BTX) during their biodegradation. Biotechnol. Bioeng. 44:533-538. 

  31. Ottengraf, S.P.P. 1986. Exhaust gas purification, p. 426-452. In: Biotechnology, a Comprehensive Treatise in 8 Volumes. Rehm, H.J. and G. Reed (eds.). Verlag Chemie. Weinheim, Germany. 

  32. Park, D.W., S.S. Kim, S. Haam, I.S. Ahn, E.B. Kim, and W.S. Kim. 2002. Biodegradation of toluene by a lab-scale biofilter inoculated with Pseudomonas putida DK-1. Environ. Technol. 23:309-318. 

  33. Park, S.A., M.G. Kim, M.H. Yoo, M.M. Oh, and K.C. Son. 2010. Comparison of indoor $CO_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Kor. J. Hort. Sci. Technol. 28:864-870. 

  34. Pedersen, A.R., S. Moller, S. Molin, and E. Arvin. 1997. Activity of toluene-degrading Pseudomonas putida in the early growth phase of a biofilm for waste gas treatment. Biotechnol. Bioeng. 54:131-142. 

  35. Sabo, F., U. Motz, and K. Fisher. 1993. Development and testing of high efficiency biofilters. In: Proceedings of the 89th Annual Meeting & Exhibition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June 13-18, 1993. Denver. Air & Waste Manag. Assoc. Pittsburgh, PA, USA. 

  36. Saebo, A., R. Popek, B. Nawrot, H.M. Hanslin, H. Gawronska, and S.W. Gawronski. 2012. Plant species differences in particulate matter accumulation on leaf surfaces. Sci. Total Environ. 427:347-354. 

  37. Smith W.H. and B.J. Staskawicz. 1977. Removal of atmospheric particles by leaves and twigs of urban trees: some preliminary observations and assessment of research needs. Environ. Manage. 1:317-330. 

  38. Sohn, J.R., M.B. Jang, and K.M. Cho. 2004. The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tion for VOCs in unsaturated soil by bio-filter. Korean J. Sanit. 19:19-24. 

  39. Song, J.E., S.W. Han, Y.S. Kim, and J.Y. Sohn. 2005. The effect of phytofiltration system on the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Kieae J. 5:3-8. 

  40. Swanson, W.J. and R.C. Loehr. 1997. Biofiltration: fundamentals, design and operation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J. Environ. Eng. 123:538-546. 

  41. Thompson, D., L. Sterne, J. Bell, W. Parker, and A. Lye. 1996. Pilot scale investigation of sustainable BTEX removal with a compost biofilter. In: Proceedings of the 89th Annual Meeting & Exhibition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June 23-26, 1996. Nashville. Air & Waste Manag. Assoc. Pittsburgh, PA, USA. 

  42. Weber, F., I. Kowarik, and I. Saumel. 2014. Herbaceous plants as filters: Immobilization of particulates along urban street corridors. Environ. Pollut. 186:234-240. 

  43. Veiga, M.C., M. Fraga, L. Amor, and C. Kennes. 1999. Biofilter performance and characterization of a biocatalyst degrading alkyl benzene gases. Biodegradation 10:169-176. 

  44. Yang, D.S., S.V. Pennisi, K.C. Son, and S.J. Kays. 2009. Screening indoor plants for volatile organic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HortScience 44:1377-13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