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 Lev.)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5, 2015년, pp.515 - 523  

이수경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승헌 (제주대학교 해양의생명과학부) ,  박은진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study reported here,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from Jeju Island was investigated. Of the 14 strains of 12 species of microorganisms tested, the extract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observed against seven Gram-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황칠나무의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식중독, 비듬 그리고 충치 원인균과 녹농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여 황칠 잎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와 천연 보존제 그리고 천연 항균제로 이용 가능한 소재인지 여부를 검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는 황칠나무 잎 에탄올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총 12종 14개 균주 중 그람 양성인 7개 균주에서만 추출물의 생육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 Disc diffusion method 실험에서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확인된 균주를 대상으로 최소저해농도(MIC) 실험을 실시하였다. 추출물을 0.5-50 mg/mL 농도로 희석하고 균주와 혼합하여 배양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각 대상 균주의 생육을 저해하는 정확한 농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 농도의 추출물 100 µL과 생균수를 1×107 CFU/mL로 조정한 실험균주 배양액 2 µL를 96-well plate(iNtRON biotechnology, Seongnam, Korea)에 넣은 후 각각 균주에 적합한 배양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 현재까지 황칠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제주의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그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제주 해안가 모래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의 에탄올 추출물도 그람 양성균인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효능은? 그 중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황칠나무는 1속 1종의 특산 수종으로 온화한 기후의 남서 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고 있다(Jeong BS 등 1995, Bernart MW 등 1996). 현재까지 수행된 황칠나무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멜라닌 생성 억제로 인한 미백(Lim KP 등 1998), 생체방어체계 강화(Park BY 등 2004), 항산화 및 항암(Hyun TK 등 2013) 그리고 항당뇨(An NY 등 2014) 효과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생리 기능성 연구는 일부 수행되었으나, 황칠나무와 같이 생리활성이 강한 천연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여 다양한 목적의 항균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에 따라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 미생물을 발생빈도 순으로 나열하면? 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원인미생물 별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Norovirus가 15.0%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병원성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sum perfrigens,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 순이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세균성 식중독이 전체 식중독 발생건수 대비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만큼 식중독 예방을 위하여 미생물의 오염 예방과 제거 등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황칠나무란? 제주도 자생식물 중 하나인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 Lev.)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아열대성 상록활엽교목으로 동남아시아 등에 약 3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그 중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황칠나무는 1속 1종의 특산 수종으로 온화한 기후의 남서 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고 있다(Jeong BS 등 1995, Bernart MW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JC, Kim MY, Kim OT, Kim KS, Kim SH, Kim SH, Hwang B. 2002. Selection of the high yield capacity of Hwangchil lacquer and identification of aromatic components in essential oil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Korean J Med Crop Sci 10(2):126-131 

  2. An NY, Kim JE, Hwang DY, Ryu HK. 2014. Anti-diabetic effects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model. Korean J Nutr Health 47(6):394-402 

  3. Archer GL, Polk RE. 2008.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bacterial infections. p 858 In: Fauci AS, Braunwald E, Kasper DL,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Loscalzo J, ed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7th ed. McGraw-Hill, New York, NY, USA 

  4. Bernart MW, Cardellina JH, Balaschak MS, Alexander MR, Shoemaker RH, Boyd MR. 1996. Cytotoxic falcarinol oxylipins from Dendropanax arboreus. J Nat Prod 59(8):748-753 

  5. Chae GC, Auh QS, Chun YH, JP Hong. 2009.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a capillaris THUNB on oral bacteria. Korean J Oral Med 24(2):166-177 

  6. Cho YJ. 2014. Antioxidant,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nd xanthin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rurus chinensis leaves by ultrafine grinding. Korean J Food Preserv 21(1):75-81 

  7. Chung SK, Jung JD, Cho. SH.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Nutr 28(4):371-377 

  8. Hyun TK, Kim MO, Lee HK, Kim YJ, Kim EY, Kim JS. 2013.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Food Chem 141(3):1947-1955 

  9. Jang JS, Lee HJ, Oh BY, Lee JM, Go JM, Kim YH. 2007.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and Listeria monocytogenes by organic acid. Korean J Env Hlth 33(5):403-407 

  10. Jang MR, Park HJ, Hong EY, Kim GH. 2014. Comparison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domestic Cirsium japonicum. Korean J Food Cook Sci 30(3):278-283 

  11. Jeong BS, Jo JS, Pyo BS, Hwang B. 1995.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Dendropanax morbifera and component analysis of the golden lacquer. Korean J Biotechnol Bioeng 10(4):393-400 

  12. Kim JS, Chung JM, Kim SY, Kim JH, Lee BY. 2014. Phytogeographic study on the Holocene hypsithermal relict plant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ant Taxonomy 44(3):208-221 

  13. Kim JY, Lee JA, Park SY. 2007.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6(3):255-261 

  14. Kim JY. Lee JA. Yoon JA. Oh DY. Jang YH. Lee WJ. Park SY. 2006.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jolkini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8(5):699-706 

  15. Kim JY, Lee JA, Kim KN, Song GP, Park SY.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helioscopia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6(9):1106-1112 

  16. Kim JY, Yoon WJ, Yim EY, Park SY, Kim YJ, Song Gp.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4(2):200-207 

  17. Kim SU, Shin JY, Park YM, Chung KM, Lee JH and Kweon DH. 2006.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2):241-248 

  18. Kim YS, Yoo IJ. 1995.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and synthetic preservatives against Escherichia coli KFRI 174. Korean J Food Sci An 15(2):127-131 

  19. Lee JH, Choe YH, Park YJ, Zhang XW, Kim BS. 2013. Antimicrobial and antivir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by n-Hexane. Korean J Vet Serv 36(2):87-93 

  20. Lim KP, Chung WY, Hong DH. 1998.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 Golden Vamish (Hwangchil) (III) main component analysis of Korean Golden Vamishes traditionally refined from the exudates of Hwangchil namu (Dendropanax morbifera Lev.). Mokchae Konghak 26(3):73-80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Food poisoning statistics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e-stat. Accessed April 01, 2015 

  22. Park BY, Min BS, Oh SR, Kim JH, Kim TJ, Kim DH, Bae KH, Lee HK. 2004. Isolation and anticomplement activity of compounds from Dendropanax morbifera. Ethnopharmacol J 90(2):403-40 

  23. Park HK, Park BK, Kang KJ, Jeon DH., Park, KH, Ha SD. 2005.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used in domestic food processing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onol 37(12):1042-1048 

  24. Seo YH, Han CH, Lee JM, Choi SM, Moon KD. 2012. Effect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apples. Korean J Soc Food Sci Nutr 41(7):1009-1013 

  25. Son MC, Gwon SC, Kim TH, Oh SH, Jung GJ, Choe GG .2012. Korea geography :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uwon. Korea. pp 63-64 

  26. Taniguchi S, Imayoshi Y, Yabu-uchi, Ito H, Hanano T, Yoshida T. 2002. A macrocyclic ellagitannin trimer, oenotherin T1, from Oenothera species. Phytochem. 59(2):191-195 

  27. Yoo MY, Jung YJ, Yang JY.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4(8):1130-1135 

  28. Yoon SY, Lee SY , Kim KBWR , Song EJ, Lee SJ, Lee CJ, Park NB, Jung JY, Kwak JH, Nam KW, Ahn. DH. 2010.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argassum fulvellum ethanol extract an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2(2):15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