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의 항균력 평가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ermented Extracts from Korean Dendropanax morbifer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1 = no.225, 2019년, pp.29 - 36  

이재열 (금오공과대학교 응용화학과) ,  박태희 (금오공과대학교 응용화학과) ,  박세호 (금오공과대학교 응용화학과) ,  양선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지광환 (금오공과대학교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와 L. plantarum ilchiwhangchil 2020을 이용하여 황칠나무 잎 가지 추출물 및 수액의 발효 조건을 검토하였다. 지수성장기의 L.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와 L. plantarum ilchiwhangchil 2020 균주를 발효에 사용하였다. 발효 중에 발효액의 pH 변화와 생균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당한 발효 조건은 잎 가지 추출물 20 wt% 및 수액 1 wt%를 함유하고, $37^{\circ}C$에서 2일간 발효시키는 것이었다. 잎 가지, 수액 발효 추출물의 항균력은 최소저해농도법(MIC)과 disk diffusion 방법을 이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비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한 것보다 황칠나무 잎 가지 추출물 및 수액의 발효액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한 세 가지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의 함량에 비례하여 항균 활성이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황칠나무 잎 가지 추출물 및 수액의 발효물의 천연보존제, 화장품소재 및 천연물 포장소재 등 천연 생기능성 물질로의 응용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fermentation conditions for extracts of leave/branches and sap from Korean Dendropanax morbifera (D. morbifera)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 and L. plantarum ilchiwhangchil 2020. Log growth phase cultured L.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 and L....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MRS 배지를 shaking flask에 넣고 고압 멸균기(Autoclave, AC-02, JEIOTECH, Korea)를 사용하여 멸균하였다. MRS 배지에 황칠나무 잎 추출물 함량을 0, 10, 20, 30, 40 wt% 비율로 제조하고 L.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와 L. plantarum ilchiwhangchil 2020의 균수는 7×108 CFU/ml 로 동일하게 접종하여 발효시켰다. 황칠나무 수액시료는 59% prethanol 1 ml에 수액 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칠나무 잎·가지 추출물 및 수액의 유산균 발효 조건을 검토하고, 추출물의 발효물이 식중독에 관련된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균들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 0 g을 40℃에 5분간 vortexing하여 녹인 후 사용하였다. 용해된 황칠나무 수액을 MRS 배지에 100배 희석하여, 최종 함량이 0, 0.5, 1.0, 2.0 wt%가 되도록 사용하였다. L.

대상 데이터

  • E. coli (KCTC 1039)와 S. aureus (KCTC 3881)는 미생물자원 센터(KCTC)에서, P. aeruginosa (KCCM 11266)는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KCCM,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황칠나무 잎·가지 추출물 및 수액의 발효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disc 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여 생육저지환(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NB agar 배지에 각 균을 도말(1×105 CFU/ml) 한후, 멸균된 paper disc (6 mm, GM Healthcare, UK)를 배지 위에 위치시키고 각 시료를 10 μl (무게비 1, 2, 3 mg)를 paper disc에 흡수시켰다.
  • 본 연구에 사용한 미생물은 Lactobacillus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 (L. plantarum ilchiwhangchil 1785, KACC 92131P)와 Lactobacillus plantarum ilchiwhangchil 2020 (L. plantarum ilchiwhangchil 2020, KACC 92132P)이며, 국립농업 과학원(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 Wanju, Korea)에서 기탁 받아 사용하였다. L.
  •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D. morbifera) 잎·가지 및 수액은 ㈜HSP라이프(Seoul, Korea)에서 제공받았다. 자연 건조된 황칠나무 잎·가지를 세절하여 1 kg을 칭량하고 멸균된 증류수 1 l를 혼합하여 8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부직포로 여과한 후 고속 추출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시킨 뒤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회수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모든 값은 3회 이상의 반복실험의 측정값의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실험 결과 값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 며, p값이 0.05 이하이면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론/모형

  •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균주에 대한 황칠나무 잎·가지 추출물의 발효물 및 수액 발효물의 항균 활성은 disk diffusion method를 수행하여 발효 전후 생육저지환의 크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는 발효 전의 황칠나무 잎·가지 추출물, 발효 후의 황칠나무 잎·가지 추출물, 발효 후의 수액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rnart, M. W., Cardellina, J. H., Balaschak, M. S., Alexander, M. R., Shoemaker, R. H. and Boyd, M. R. 1996. Cytotoxic falcarinol oxylipins from Dendropanax arboreus. J. Nat. Prod. 59, 748-753. 

  2. Chung, I. M., Seo, S. H., Kang, E. Y., Park, S. D., Park, W. H. and Moon, H. I. 2009. Chemical composition and larvicidal effects of essential oil of Dendropanax morbifera against Aedes aegypti L. Biochem. Syst. Ecol. 37, 470-473. 

  3. Cross, M. L., Stevenson, L. M. and Gill, H. S. 2001. Anti-allergy properties of fermented foods: an important immunoregularoty mechan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t. Immunopharmacol. 1, 891-901. 

  4. Fu, W. and Mathews, A. P. 1999. Lactic acid production from lactose by Lactobacillus plantarum: kinetic model and effects of pH, substrate, and oxygen. Biochem. Eng. J. 3, 163-170. 

  5. Hong, W. S. and Yoon, S. 1989.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heating and mustard oil on the Kimchi fermentation. Kor. J. Food Sci. Technol. 21, 331-337. 

  6. Huhtanen, C. N. 1980. Inhibition of Clostridium botulinum by spice extracts and aliphatic alcohols. J. Food Sci. 43, 195-196. 

  7. Hyun, T. K., Kim, M. O., Lee, H., Kim, Y., Kim, E. and Kim, J. S. 2013.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eille. Food Chem. 141, 1947-1955. 

  8. Im, K. J., Jang, S. B. and Yoo, D. Y. 2015. Anti-cancer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in MCF-7 and MDA-MB-231 cells. J. Kor. Obstet. Gynecol. 28, 26-39. 

  9. Jeong, B. S., Jo, J. S., Pyo, B. S. and Hwang, B. 1995.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Dendropanax morbifera and component analysis of the golden lacquer. Kor. J. Biotechnol. Bioeng. 10, 393-400. 

  10. Jung, H. J., Park, S. H., Seo, H. A., Kim, Y. J., Cho, J. I., Park, S. S., Song, D. S. and Kim, K. S. 2005. Differentiation of four major gram-negative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l genera by using ERIC-PCR genomic fingerprinting. Kor. J. Food Sci. Technol. 37, 1005-1011. 

  11. Kang, D. H. and Kim, H. S. 2011. Functionality analysis of Korean medicine fermented by Lactobacillus strain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9, 259-265. 

  12. Karovicova, J. and Kohajdova, Z. 2003. Lactic acid fermented vegetable juices. Hortic. Sci. 30, 152-158. 

  13. Koho, K. H. 1996. Antimicrobial effects of short-chain fatty acids against Saccaromyces cerevisiae. Foods Biotechnol. 5, 42-47. 

  14. Kolodziejczyk, K., Sojka, M., Abadias, M., Vinas, I., Guyot, S. and Baron, A. 2013. Polyphenol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obtained from industrial sour cherry pomace. Ind. Crop. Prod. 51, 279-288. 

  15. Lee, B. W. and Shin, D. H.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16. Lee, S. H., Lee, H. S., Park, Y. S., Hwang, B., Kim, J. H. and Lee, H. Y. 2002. Screening of immune activation activities in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Kor. J. Med. Crop Sci. 10, 109-115. 

  17. Li, X. Z., Livermore, D. M. and Nikaido, H. 1994. Role of efflux pump(s) in intrinsic resistance of Pseudomonas aeruginosa: resistance to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and norfloxaci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8, 1732-1741. 

  18. Mo, J. H. and Oh, S. J. 2013.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v. Kor. J. Aesthet. Cosmetol. 11, 275-280. 

  19. Olsen, A., Halm, M. and Jakobsen, M. 1995.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fermented maize (kenkey) and their interactions during fermentation. J. Appl. Bacteriol. 79, 506-512. 

  20. Perdigon, G., Fuller, R. and Raya, R. 2001.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effect on the immune system. Curr. Issues Intest. Microbiol. 2, 27-42. 

  21. Poole, K. 2001. Multidrug efflux pump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in Pseudomonas aeruginosa and related organisms, J. Mol. Microbiol. Biotechnol. 3, 255-264. 

  22. Rafter, J. 2002. Lactic acid bacteria and cancer: mechanistic perspective. Brit. J. Nutr. 88, S89-S94. 

  23. Rozes, N. and Peres, C. 1998.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on the growth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Appl. Microbiol. Biotechnol. 49, 108-111. 

  24. Shin, D. C., Kim, G. C., Song, S. Y., Kim, H. J., Yang, J. C. and Kim, B. A. 2013.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complex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Kor. J. Herbol. 28, 95-100. 

  25. Song, J. H., Kang, H. B., Kim, J. H., Kwak, S. M., Sung, G. J., Park, S. H., Jeong, J. H., Kim, H. H., Lee, J. M., Jun, W. J., Kim, Y. J. and Choi, K. C. 2018. Antiobesity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water extracts in mouse 3T3-L1 cells. J. Med. Food 21, 793-8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