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PK에 적용된 난독화 기법 역난독화 방안 연구 및 자동화 분석 도구 구현
A Study on Deobfuscation Method of Android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Analysis Tool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25 no.5, 2015년, pp.1201 - 1215  

이세영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박진형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박문찬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석재혁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이동훈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악의적인 역공학으로부터 APK(Android application PacKage)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난독화 도구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난독화 도구는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악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공격자들이 안티 바이러스 등에 의한 탐지를 우회하기 위해 악성 APK를 난독화하고 있다. 난독화된 악성 APK는 역난독화가 되지 않으면 그 기능성을 분석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난독화된 악성 APK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역난독화 방안이 반드시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난독화 도구로 난독화된 APK를 분석하고, 적용된 난독화 기법을 정적으로 식별하고 역난독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난독화 옵션 식별 및 역난독화가 가능한 자동화된 도구를 구현하여 검증한 결과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fuscation tools can be used to protect android applications from reverse-engineering in android environment. However, obfuscation tools can also be misused to protect malicious applications. In order to evade detection of anti-virus, malware authors often apply obfuscation techniques to maliciou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드로이드가 스마트폰 악성코드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안드로이드가 스마트폰 악성코드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되는 이유는 스마트폰 플랫폼 시장에서 안드로이드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기존 APK의 리패키징을 통한 악성 APK의 제작과 배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안드로이드는 전체 스마트폰 플랫폼 시장의 약 80%를 점유[2]하고 있기 때문에 악성코드에 의한 파급 효과가 타 플랫폼보다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에서 난독화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악성 APK는 ProGuard[5], DexGuard[6], DexProtector[7] 등의 알려진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보호 도구로 난독화되어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난독화란 프로그램의 기능성은 유지하면서 역공학은 어렵게 하기 위해 내부 구조를 변환하는 기법으로써[8], 악성 APK에 난독화가 적용되면 안티 바이러스 등을 우회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피해가 더욱 커질 수 있다. 난독화된 APK는 역난독화가 되지 않으면 그 기능성을 분석하는 것이 어렵다.
안드로이드 APK를 분석하는 방법 중 정적 분석은 어떤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인가? 정적 분석은 APKtool[10], Smali/Baksmali[11]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DEX(Dalvik EXecutable format) 코드와 대응되는 smali 코드를 변환하여 분석하거나 dex2jar[12], JDGUI[13], Jadx[14] 등의 도구로 DEX 코드를 자바 소스 코드로 디컴파일 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정적 분석의 절차는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ASPERSKEY LAB, "MOBILE CYBER THREATS,"http://media.kaspersky.com/pdf/Kaspersky-Lab-KSN-Report-mobile-cyberthreats-web.pdf, Oct, 2014, 

  2. IDC, "Worldwide Quarterly Mobile Phone Tracker,"http://www.idc.com/getdoc.jsp?containerIdprUS25860315, Aug, 2015. 

  3. Y. Zhou and X. Jiang, "Dissecting android malware: Characterization and evolution," Security and Privacy(SP) 2012 IEEE Symposium on, pp. 95- 109, May, 2012 

  4. Pulse Secure, "MOBILE THREAT REPORT 2015," 2015, https://www.pulsesecure.net/lp/mobile-threat-report-2014/ 

  5. ProGuard, http://proguard.sourceforge.net/ 

  6. DexGuard, https://www.guardsquare.com/dexguard 

  7. DexProtector, https://dexprotector.com/ 

  8. C. Collberg, C. Thomborson and D. Low, "A taxonomy of obfuscating transformations,"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The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1997. 

  9. SBA Research Technical report, "Android application obfuscation," Jun, 2013. 

  10. APKtool, http://ibotpeaches.github.io/Apktool/ 

  11. Smali/Baksmali, https://github.com/JesusFreke/smali 

  12. dex2jar, https://github.com/pxb1988/dex2jar 

  13. JD-GUI, http://jd.benow.ca/ 

  14. Jadx, https://github.com/skylot/jadx 

  15. M. Chandramohan, H. B. K. Tan, "Detection of mobile malware in the wild," Computer, vol. 45, no. 9, pp. 65-71, Sep. 2012. 

  16. T. Vidas and N. Christin, "Evading android runtime analysis via sandbox detection," Proceedings of the 9th ACM symposium on Informati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pp. 447-458, Jun. 2014. 

  17. Dong woo Kim, Jin Kwak and Jae cheol Ryou, "DWroidDump: Executable Code Extraction from Android Applications for Malware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 vol. 20, no. 8, pp. 1-9, Feb. 2015. 

  18. H. Schulz, D. Titze, J. Schutte, T. Kittel and C. Eckert, "Automated De-Obfuscation of Android Bytecod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The University of Munchen, Germany, Jul. 2014. 

  19. Y. Piao, Jin hyuk Jung and Jeong hyun Yi, "Server-based code obfuscation scheme for APK tamper detection," Security and Communication Networks, Mar.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