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실습 수업을 통한 대학생들의 자기성장 경험 연구 : 융합적 교육방법을 활용한 수업사례 연구
A study on undergraduate students' self-growth experiences in a counseling skills training cours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6 no.5, 2015년, pp.315 - 328  

김영은 (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 ,  이현정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실습 수업을 통해 대학생들이 어떠한 자기성장의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모 대학에서 상담실습 수업 수강을 완료한 7명의 대학생이었으며 이들이 수업 중 작성한 수업경험 성찰 저널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6개의 주제와 11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내담자에게 내가 투영됨, 대인관계 역동을 탐색함, 자신의 감정에 접근함, 내가 모르던 나를 발견함, 과거와 현재의 연결고리를 살펴봄, 자기직면으로 인한 어려움을 체험함, 상담자의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 걱정함, 성장에 대한 동기가 높아짐, 자기 인식의 가치를 발견함, 새로운 행동을 시도함, 나와 타인에 대한 수용의 폭이 넓어짐. 이와 같이, 대학생들은 상담실습 수업을 통해 다각적인 자기성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자 전문성 발달에 있어 그동안 주목 받지 못했던 자기성장의 측면을 풍성하게 조명해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상담자의 자기성장을 체계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전인적인 상담실습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dergraduate students' self-growth experiences in a counseling skills training cours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ven students who completed the counseling skills course in a university.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weekly reflective journals they ha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담자가 전문상담자로 성장해가는 과정인 상담자 발달은 상담 연구와 상담자 교육에서 중요한 과제인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우리 사회에서 상담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요구와 이에 따른 공급이 양적으로 증가하면서 상담자의 전문성과 질적인 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상담 전문가로의 성장 과정에 대한 이해는 상담자 교육의 훈련 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그러므로 상담자가 전문상담자로 성장해가는 과정인 상담자 발달은 상담 연구와 상담자 교육에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겠다.
자기성장이란? 자기 성장은 상담자의 전문적 발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2]. 자기성장은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개방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에 대해 인식하고 자신을 새롭게 탄생시키는 것을 말한다[3]. 자기 성장은 상담자에게 매우 중요한 주제인데 이는 상담의 효과적 진행과 내담자의 변화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담이론이나 기법이 아니라 상담자 자신[4,5]이라는 상담의 독특성과 연관된다.
상담자 발달과 관련한 국내 연구들은 무엇이 있는가? 상담자의 자기 성장이 상담자 발달과 상담의 성과에 중추적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한 실증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상담자 발달과 관련한 국내 연구들은 상담자의 발달 수준에 따른 인지 구조[12], 자기대화 내용[13,14], 사례개념화[15], 알아차림[16] 등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발달 단계에 따른 임상적 기술과 인지적 차이, 즉 전문가적 자기 발달에 초점을 둔 연구들로 상담자의 자기 성장에 대해 알기 어렵다. 상담자의 자기 성장에 관한 논의는 상담자의 자기 성찰[17,18,19,20], 초보 상담자의 상담수련 과정에서의 경험[21,1,22,23], 또는 상담자 발달[24,25,26] 관련 연구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이러한 연구들에서의 자기 성장 주제는 이론적이고 부분적인 수준에서 다루어져 실제로 상담자들의 자기 성장 경험이 어떠한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H. S. Lee, S. H. Joo, H. J. Kim, "Critical Incidents Experience in Counselor Intern Develop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3, No. 4, pp. 833-859. 2011. 

  2. Geller, J. D., Norcross, J. C., Orlinsky, D. E., "The Psychotherapy's Own Psychotherapy: Patient and Clinical Perspectiv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 E.I. Jung,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Self-growth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Focu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Education Method Studies, Vol. 23, No. 4, pp. 687-712, 2011. 

  4. Skovholt, T. M, "The Resilient Practitioner", MA: Allyn & Bacon, 2001. 

  5. Corey, M. S., Corey, G.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002. 

  6. Luborsky, L., McClellan, A. T., Diguer, L., Woody, G., Seligman, D. A.,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 4, pp. 53-65, 1997. 

  7. Huppert, J. D., Bufka, L. F., Barlow, D. H., Gorman, J. M., Shear, M. K., Woods, S. W., "Therapists, Therapist Variables,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utcome in a Multicenter Trial for Panic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69, pp. 747-755, 2001. 

  8. Wampold, B. E,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 Models, Methods and Findings",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1. 

  9. Hill, C. E., Sullivan, C, Knox, S., Schlosser, L. Z., "Becoming Psychotherapists: Experiences of Novice Trainees in a Beginning Graduate Clas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Vol. 44, No. 4, pp. 434-449, 2007. 

  10. Folkes-Skinner, J., Elliott, R., Wheeler, S., "A Baptism of Fire: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a Trainee Counselor's Experience at the Start of Training",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Vol. 10, No. 2, pp. 83-92, 2010. 

  11. Skovholt, T. M., Ronnestad, M. H.,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 70, No. 4, pp. 505-515, 1992. 

  12. E. J. Shon, "Reflective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Studies on Student's Life, Vol. 28, pp. 31-54, 2003. 

  13. Hae-Won Shim, "The Differences of Self-Talk According to Counselor's Developmental and Anxiety Levels". Ph. D. dissertaion, Ewha Woman University. 2005. 

  14. Min-Jung Chae, "An Analysis of the Counselor's Self-Talk about Client's No-Show: Focus on the Counselor's Developmental Differences".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15. Yoon-Joo Le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se Conceptualization Elements in Counseling"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16. J. H. Son, K. H. Kim,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Obstructive Factors to Counselor Awareness in Counseling Proces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2, No. 2, pp. 163-180, 2001. 

  17. E. J. Sohn, S. K. Yoo, H. W. Shim, "Counselor's Refl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4, No. 3, pp. 367-380, 2003. 

  18. J. S. Kim, "The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Reflective Practice in Counselor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7, No. 4, pp. 813-831, 2005. 

  19. J. Y. Hwang, N. W. Chung, "A Study on the Self-Reflection of the Counselor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29, No. 2, pp. 241-263, 2010. 

  20. Nelson, S. A., Karmo, M. P., Nelson, N. L, "A Qualitative Study of Experts' Conceptualization of Supervisee Reflectiv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43, pp. 3-9, 1996. 

  21. C. W. Hwang, J. A. Park, S. K. Yoo, J. Y. Kang, "A Qualitative Study on 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in Counseling Psychology Program in Korea",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0, No. 3, pp. 1359-1382, 2009. 

  22. Howard, E. E., Inman, A. G., Altman, A. N., "Critical Incidents among Novice Counselor Trainees",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 46, No. 2, pp. 88-102, 2006. 

  23. Paris, E., Linville, D., Rosen, K., "Marriage and Family Therapist Interns' Experiences of Growth",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 32, No. 1, pp. 45-57, 2006. 

  24. Se-Il Kim,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Growth Experience of Youth Counselors". Ph. D.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2013. 

  25. Hyun-Soo Oh, "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Overcoming Frustration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ofessional Counselors". Ph. D.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2008. 

  26. Rhodes, P., Nge, C., Wallis, A., Hunt, C. "Learning and Living Systematic: Exploring the Personal Effects of Family Therapy Training", Contemporary Family 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33, No. 4, pp. 335-347, 2011. 

  27. K. H. Kim, E. M. Lim, "The Meanings of Self-growth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Experience from Group Counseling in Clas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5, No. 1, pp. 195-215. 2014. 

  28. M. J. Lee, S. M. Park,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elf-Development Experiences of Counselors during Counseling Train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6, No. 1, pp. 1-29, 2015. 

  29. Y. H. Go, S. H. Park, "Phenomenological Study on Counselor's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a Focus on Self-Reflect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6, No. 4, pp. 805-839, 2014. 

  30. J. K. Hur, J. H. K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nge Processes of Counselor Development in Reflection Centered Supervis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0, No. 2, pp. 719-740, 2009. 

  31. H. S. Park, S. J. Lim, "The Effects of Psychodrama on Depression Level,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tress in Depressed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drama, Vol. 5, No. 1, pp. 93-115, 2002. 

  32. Y. H. Son, K. J. Kim, "The Effect of Self-Growth Program on the Ego-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ocal Education and Management, Vol. 8, pp. 101-119, 2003. 

  33. H. S. Kang, J. H. Lee, "The Effect of Self-Growth Program on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Self-Perception",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1, No. 2, pp. 43-58, 2009. 

  34. M. K. Song, "Study on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Practic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1, No. 10, pp. 337-361, 2014. 

  35. Pascual-Leone, D. A., Wolfe, B. J., O'Connor, D., "The Reported Impact of Psychotherapy Training: Undergraduate Discourses after a Course in Experiential Psychotherapy", Person-Centered & Experiential Psychotherapies, Vol. 11, No. 2, pp. 152-168, 2012. 

  36. Colaizzi, P.,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37. Edwards, J. K, Bess, J. A., "Developing Effectiveness in the Therapeutic Use of Self" Clinical Social Work Journal, Vol. 26, pp. 89-105. 1998. 

  38. Sullivan, H. S.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orton, 1953. 

  39. M. K. Cho, "The Relationship among Happiness, Happiness promotion activities and Self-reflection in the Convergence Socie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7, pp. 305-313, 2015. 

  40. Furr, S. R., Carroll, J. J., "Critical Incidents in Student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 81, No. 4, pp. 483-489. 2003. 

  41. Pascual-Leone, A., Rodriguez-Rubio, B., Metler, S., "What Else are Psychotherapy Trainees Learning? A Qualitative Model of Students' personal experiences based on two populations", Psychotherapy Research, Vol. 23, No. 5, pp. 578-591. 2013. 

  42. Korthagen, F., Kessels, J., Koster, B., Lagerwerf, B., Wubbels, T. "Linking Practice and Theory". Routledge.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