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향토자원의 융복합산업화를 위한 콘텐츠 제작 -충청남도 농업 6차산업화 경영체를 중심으로-
Production of Content for Regional Sources of the Convergence Industrialization -Based on Agricultural Management Entitie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in Chungcheongnam-do-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0, 2015년, pp.483 - 490  

강경심 (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은 충청남도 융복합산업 농업 경영체의 향토자원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홍보용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농촌 융복합산업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남농어업6차산업협회 회원사에서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 향토자원이며, 총 70개의 자원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콘텐츠는 향토자원명과 소개글, 상품 메인 사진, 업체 및 상품 정보, 상품의 특 장점, 제품 특성, 체험 프로그램 안내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향토자원에 대한 스토리를 통해 제품의 가치와 의미를 전달하고, 대표 이미지를 추가하여 홍보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작성된 자료는 곡류, 과채류, 수산류, 축산류, 장류 김치류, 발효액 농축액, 주류 차류, 기타의 순으로 정리하였다. 자료는 pdf 파일로 저장하여 회원사에 배포하여 필요 시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온라인 홍보, 박람회 축제장 판촉전 등에서 제품 홍보, 게시판 복도 등에 게시물로 활용, 각국 언어로 번역하여 외국 판촉전의 홍보 자료로 활용 등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information for the regional resources from the agricultural management entities of convergence industry in Chungcheongnam-do. The target was the Sixth Agricultural Industry Association in Chungcheongnam-do; total 70 kinds of resourc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융복합산업화 농업 경영체에서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상품 및 음식, 체험프로그램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홍보·마케팅용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또한 농촌융복합산업 경영체에서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이 홍보 부족과 마케팅 능력으로 농산물 가공 후 상품에 대한 홍보 및 판로 개척에 대한 요청이 쇄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들이 겪고 있는 홍보와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해당 경영체에 배포함으로써 농촌융복합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융복합산업 사업체에서 생산되는 상품이나 음식, 체험프로그램 등 향토자원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스토리가 있는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농촌융복합산업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남도 농촌융복합산업화 농업 경영체에서 생산되는 상품이나 음식, 체험프로그램 등의 향토자원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홍보·마케팅용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 향토자원에 대한 소개글과 특·장점, 영양학적 특성 또는 제품 특성, 체험 프로그램 안내 등에 대한 스토리를 통해 제품이 갖고 있는 가치와 의미를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를 추가하여 제품 홍보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 정부의 농정 비전 중 강조되고 있는 개념은 무엇인가? 신 정부의 농정 비전인 ‘희망찬 농업, 활기찬 농촌, 행복한 국민’을 위해 강조되고 있는 개념 중의 하나가 바로 창조경제이다[1]. 창조경제의 실현은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농촌과 농업의 가치를 한층 부추기고 있으며, 이의 현실화를 위해 각 부처에서는 농업․농촌 융복합산업화 사업 추진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금의 농촌은 어떠한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가? 지금의 농촌은 인구의 감소, 고령화, 도농소득격차 심화 등으로 인해 위기를 맞이하고 있어[2], 우리 농촌에 산재하고 있는 소재자원과 기술자원, 문화자원, 산지자원 등 가치화할 수 있는 무궁한 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창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치유와 교육, 문화뿐만 아니라 수익 창출, 일자리 창출 등의 공간으로써의 농촌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과거의 농촌은 살아가기 위한 먹을거리를 생산해 내는 공간으로만 인식되어져 왔으나 지금은 치유와 교육, 문화뿐만 아니라 수익 창출, 일자리 창출 등의 공간으로서 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8]. 농촌체험활동이 도시민과 청소년의 정서불안과 우울감 해소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그 지역만의 정체성이 담긴 무궁한 교육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교육 공간으로서의 중요성과 전통음식과 향토음식, 지역만의 고유 역사 등 문화 자원이 숨 쉬는 공간,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우리들만의 거리인 즐길거리, 놀거리, 먹을거리, 볼거리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 내는 공간, 지역 인력 고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의 공간 등 지금의 농촌은 새로운 경제 활성화의 터전으로서 그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omepage, http://www.mafra.go.kr (May 1, 2015). 

  2. J. I. Yang?J, H, Lee?D, Y, Hwang, Empirical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6th industrialization of rural agricultural resources: Focus on the field experts and the complementary demand, J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 20, No. 3, pp. 111-120, 2014. 

  3. B. O. Lee, Creation of value in line with the Sixth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http://www.krei.re.kr/ (October 19, 2013). 

  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ct on the convergence Rural Industry Development and Support. http://www.mafra.go.kr/ (February 4, 2015). 

  5. T. G. Kim?J. N. Heo, Creation of value-added farming in line with the Sixth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http://www.krei.re.kr/ (November 11, 2011). 

  6. D. K. Lim,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for the promotion of successful sixth industry.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5. 

  7. W. J. Beon, Developing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in Kyeongbuk Province.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8. K. S. Kang, The value of agricultural and rural incomes recycling scheme. Chungcheongnam-do Information, Vol. 702, December 12, 2014. 

  9. Y. S. Yoon?M. H. Kim?B. H. Kang, M. C. Chung, Development on cultural contents for industrialization in traditional local resources. J of Rural Development, Vol. 33, No. 5, pp. 35-58, 2011. 

  10. J. A. Ruu, Theory and the reality in local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Humanities Contents, Vol. 8, pp. 39-56, 2006. 

  11. O. S. Ahn?M. H. Kim?Y. S. Ahn?H. S. Park, Analysis of success factors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types using territorial assets. The J of Rural Society, Vol. 17, No. 2, pp. 225-267, 2007. 

  12. S. M. Sin, Revitalization Method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2015. 

  13. R. S. Choi, A study on the sustainable competitiveness strategy tasks of the Sixth industry. Master's thesis, Paichai University, 2014. 

  14. C. H. Lee, An empirical study field of marketing strategy area specific crops. Chungcheo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2014. 

  15. M. S. Han, A study on the reaction of storytelling type of Sixth-order industry that utilize Facebook.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5 

  16. M. H. Kim?H. K. Cung, Development on native local food contents in damyang through ancient writing storytelling. J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Vol. 28, No. 3, pp. 261-271, 2013. 

  17. D. B. Park, The development strategics of traditional knowledge as an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in Korea. The J of Rural Society, Vol. 12, No. 2, pp. 161-205, 2003. 

  18. S. I. Kim?Y. J. Park?S. Y. Kim?H. J. Chang, A study on the Damyang area restaurants in Bamboo food village. J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Vol. 28, No. 4, pp. 348-355, 2013. 

  19. H. H. Kim?P. H. Han, Strategies for utilizing territorial assets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Vol. 374, pp. 1-12, 2004. 

  20. D. W. Kim?H. J. Park, 2014 Public opinion survey o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http://www.krei.re.kr/ (March 2, 2015). 

  21. J. L. Yoo, An analysis of the successful factors for community business through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The case of 'Pig Cafe MarbleRose in Boryeong-city.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