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 식이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ed Red Ginseng Power and Drink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원문보기
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 식이가 당뇨 유발쥐의 혈당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삼식이는 흰쥐용 기본사료(AIN-93 diet)에 팽화홍삼 분말을 각각 0.3%와 0.6%의 중량비율(w/w)로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고, 팽화홍삼 음료는 팽화홍삼을 각각 0.14%와 0.28%의 중량비율로 음용수에 희석하여 제조하고 6주 동안 급여하였다. 시험 대조군은 당뇨 유발쥐에게 일반식이(AIN-93 diet)와 물을 급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주별 혈당의 누적 감소치는 팽화홍삼 분말 B군(0.6%)과 팽화홍삼 음료 C군(0.14%)에서 각각 18.3, 15.1 mg/dL였고, 기준 혈당 대비 시험종료일의 혈당 감소율은 팽화홍삼 분말 B군이 37.4%, 다른 팽화홍삼투여군(A, C, D)에서는 각각 19.2, 18.7 및 17.3%로 비슷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팽화홍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기간 동안 혈당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팽화홍삼 분말 B군의 식이를 통한 사포닌 섭취량과 체중 증가, 식이효율 및 음수량 등을 고려할 때 팽화홍삼이 혈당치의 감소에 유의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와 더불어 향후 팽화홍삼의 혈당 감소와 관련된 biomarker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 식이가 당뇨 유발쥐의 혈당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삼식이는 흰쥐용 기본사료(AIN-93 diet)에 팽화홍삼 분말을 각각 0.3%와 0.6%의 중량비율(w/w)로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고, 팽화홍삼 음료는 팽화홍삼을 각각 0.14%와 0.28%의 중량비율로 음용수에 희석하여 제조하고 6주 동안 급여하였다. 시험 대조군은 당뇨 유발쥐에게 일반식이(AIN-93 diet)와 물을 급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주별 혈당의 누적 감소치는 팽화홍삼 분말 B군(0.6%)과 팽화홍삼 음료 C군(0.14%)에서 각각 18.3, 15.1 mg/dL였고, 기준 혈당 대비 시험종료일의 혈당 감소율은 팽화홍삼 분말 B군이 37.4%, 다른 팽화홍삼투여군(A, C, D)에서는 각각 19.2, 18.7 및 17.3%로 비슷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팽화홍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기간 동안 혈당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팽화홍삼 분말 B군의 식이를 통한 사포닌 섭취량과 체중 증가, 식이효율 및 음수량 등을 고려할 때 팽화홍삼이 혈당치의 감소에 유의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와 더불어 향후 팽화홍삼의 혈당 감소와 관련된 biomarker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ffed-red ginseng (PRG) powder and drink on blood glucose level and serum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For the experimental design,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fed PRG powder-supplemented diets (0.3%, 0.6%) a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ffed-red ginseng (PRG) powder and drink on blood glucose level and serum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For the experimental design,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fed PRG powder-supplemented diets (0.3%, 0.6%) and diluted drinks (0.14%, 0.28%) for 6 weeks.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decreased to 18.3 mg/dL in the 0.6% PRG diet group and 15.1 mg/dL in the 0.14% PRG drink group. Average reduction rate of blood glucose in the last week compared to referenc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decreased by 19.2% (A group), 37.4% (B group), 18.7% (C group), and 17.3% (D group) in the PRG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G affects blood glucose via ginseng saponins administered in diet or drinking water, thereby suggesting that PRG has the ability to prevent increasing blood glucose in mild-induced diabetic ra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ffed-red ginseng (PRG) powder and drink on blood glucose level and serum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For the experimental design,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fed PRG powder-supplemented diets (0.3%, 0.6%) and diluted drinks (0.14%, 0.28%) for 6 weeks.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decreased to 18.3 mg/dL in the 0.6% PRG diet group and 15.1 mg/dL in the 0.14% PRG drink group. Average reduction rate of blood glucose in the last week compared to referenc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decreased by 19.2% (A group), 37.4% (B group), 18.7% (C group), and 17.3% (D group) in the PRG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G affects blood glucose via ginseng saponins administered in diet or drinking water, thereby suggesting that PRG has the ability to prevent increasing blood glucose in mild-induced diabetic ra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팽화홍삼을 이용한 다양한 유형의 건강식품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에 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드링크)를 각각 처리하여 혈당의 변화와 혈청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 식이가 당뇨 유발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삼식이는 흰쥐용 기본사료(AIN-93 diet)에 팽화홍삼 분말을 각각 0.
가설 설정
3)Values are mean±SD (n=10).
4)NS: not significant.
3)NS: not significant.
제안 방법
건조홍미삼을 이용하여 팽화홍삼을 제조하였으며, 팽화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5 L 용량의 회전식으로 열원은 프로판 가스버너를 사용하였고, 회전속도(20 rpm), 최대압력(15 kg/cm2), 팽화온도 및 시간(120~150°C, 30분)의 조건으로 팽화시킨 후 열수 추출(100°C, 3시간)하여 조추출물(추출 수율 40.2±2.5%)을 제조하였다(31).
팽화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준품으로 진세노사이드 Rb1, Rb2, Rb3, Rc, Rd, Re, Rf, Rg1, Rg2, Rg3, Rh1, Rh2(Fleton Reference Substance Co., Chengdu, China)를 각각 4 mg씩 취한 후 10 mL HPLC grade 메탄올에 녹인 다음, 0.45 μm membrane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각각의 샘플들을 HPLC(Jasco Co., Ltd., Tokyo, Japan)로 분석하였다.
5%)을 제조하였다(31). 이들 조추출물은 여과 후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팽화홍삼 분말을 제조하였고, 이를 0.14 및 0.28%의 농도로 물에 녹여 팽화홍삼 음료(드링크)를 제조하였다.
실험동물은 3주령된 Sprague-Dawley(SD)계 수컷 흰쥐를 (주)한림실험동물(Hwaseong,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실험기간 중 식이는 흰쥐용 일반 고형사료(AIN-93G)를 기본식이(basal diet)로 하였다. 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에 대한 효능평가는 일반 고형사료에 팽화홍삼 분말을 각각 0.3 및 0.6% 첨가한 팽화홍삼 분말식이와 일반 고형식이를 투여하면서 팽화홍삼을 물에 0.14 및 0.28% 희석하여 음료 형태로 투여한 팽화홍삼 음료 식이로 각각 나누어 실험하였다. 팽화홍삼 음료군은 70 kg 성인의 1일 팽화홍삼 정제 캡슐 2개(900 mg) 음용량을 참고하여 1,000 mg을 기준(0.
28% 희석하여 음료 형태로 투여한 팽화홍삼 음료 식이로 각각 나누어 실험하였다. 팽화홍삼 음료군은 70 kg 성인의 1일 팽화홍삼 정제 캡슐 2개(900 mg) 음용량을 참고하여 1,000 mg을 기준(0.001%)으로 각각 100배(0.14%) 및 200배(0.28%) 증량하고 적량을 생수에 희석하여 경구 투여하였다(Table 1). 팽화홍삼 분말식이 중 팽화홍삼 양과 일반 성분은 Table 2와 같다.
2 mL씩 복강주사로 당뇨증을 유발하였다. STZ 투여 후 3~7일에 Precision PlusTM Electrodes(Medisense Contract Manufacturing Ltd., Abingdon, UK)를 이용하여 중등도의 당뇨증(200 mg/dL 이상)이 유발된 쥐를 선별하고 난괴법으로 처리군당 10마리씩 배치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혈당치는 매주 1회 안와정맥총(orbital plexus)으로부터 채혈하여 분석하였다.
, Abingdon, UK)를 이용하여 중등도의 당뇨증(200 mg/dL 이상)이 유발된 쥐를 선별하고 난괴법으로 처리군당 10마리씩 배치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혈당치는 매주 1회 안와정맥총(orbital plexus)으로부터 채혈하여 분석하였다.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종료 후 채혈과 함께 관련 장기적출 및 혈액지표를 측정하였다.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종료 후 채혈과 함께 관련 장기적출 및 혈액지표를 측정하였다. 장기 무게는 실험종료일 전 12시간 절식시킨 후 ethyl ether로 마취시켜 동물을 희생시킨 다음 장기를 적출하여 여과지로 닦아내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종료 후 채혈과 함께 관련 장기적출 및 혈액지표를 측정하였다. 장기 무게는 실험종료일 전 12시간 절식시킨 후 ethyl ether로 마취시켜 동물을 희생시킨 다음 장기를 적출하여 여과지로 닦아내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 식이가 당뇨 유발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삼식이는 흰쥐용 기본사료(AIN-93 diet)에 팽화홍삼 분말을 각각 0.3%와 0.6%의 중량비율(w/w)로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고, 팽화홍삼 음료는 팽화홍삼을 각각 0.14%와 0.28%의 중량비율로 음용수에 희석하여 제조하고 6주 동안 급여하였다. 시험 대조군은 당뇨 유발쥐에게 일반식이(AIN-93 diet)와 물을 급여하였다.
28%의 중량비율로 음용수에 희석하여 제조하고 6주 동안 급여하였다. 시험 대조군은 당뇨 유발쥐에게 일반식이(AIN-93 diet)와 물을 급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주별 혈당의 누적 감소치는 팽화홍삼 분말 B군(0.
대상 데이터
칼럼은 μ-Bondapak C18 칼럼(10 μm, 3.9×300 cm, Waters, Milford, MA, USA)을 이용하였고, 검출기는 Jasco UV detector(203 nm)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인삼시료는 경기도 포천소재 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4년근 수삼을 이용하여 증삼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된 건조홍미삼을 사용하였다. 건조홍미삼을 이용하여 팽화홍삼을 제조하였으며, 팽화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5 L 용량의 회전식으로 열원은 프로판 가스버너를 사용하였고, 회전속도(20 rpm), 최대압력(15 kg/cm2), 팽화온도 및 시간(120~150°C, 30분)의 조건으로 팽화시킨 후 열수 추출(100°C, 3시간)하여 조추출물(추출 수율 40.
실험동물은 3주령된 Sprague-Dawley(SD)계 수컷 흰쥐를 (주)한림실험동물(Hwaseong,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실험기간 중 식이는 흰쥐용 일반 고형사료(AIN-93G)를 기본식이(basal diet)로 하였다. 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에 대한 효능평가는 일반 고형사료에 팽화홍삼 분말을 각각 0.
공시동물은 평균체중이 320 g 되는 흰쥐(Sprague Dawley rat)를 사용하여 실험 전 STZ(streptozotocin, A0130, Sigma-Aldrich Co., Ltd., St. Louis, MO, USA)를 흰쥐 체중 1 kg당 40 mg이 되도록 0.1 M citrate buffer(pH 4.0)에 녹여 0.2 mL씩 복강주사로 당뇨증을 유발하였다. STZ 투여 후 3~7일에 Precision PlusTM Electrodes(Medisense Contract Manufacturing Ltd.
데이터처리
실험 결과는 SAS 프로그램(Statistical Analytical System, V8.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처리군 유의성은 실험군의 결과 측정치에 대해 one-way ANOVA 분석 후 Duncan의 다중검정법(α= 0.05)으로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혈청지질 중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지단백(high-density lipoprotein, HDL) 및 저밀도지단백(low-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과 혈당치 및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FFA)은 임상실험용 효소법(enzyme kit)을 이용하여 비색법으로 분석하였다(Table 3).
성능/효과
팽화홍삼은 일반홍삼에 비해 diol계열 진세노사이드인 Rb1, Rb2, Rb3, Rc, Rd의 함량 증가와 홍삼의 주요 전환 진세노사이드인 Rg2, Rh1, Rg3가 일반홍삼에 비해 소폭 증가되었는데(31-34), 이는 팽화에 의한 홍삼의 조직 파괴로 인하여 추출 수율의 증가와 팽화공정 중의 압력 및 온도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또한 팽화 가공공정은 동정이 되지 않은 진세노사이드들의 조성에 영향을 미쳐 팽화홍삼 크로마토그램(Fig. 1B)에서 동정되지 않은 다량의 신규 peak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팽화홍삼 분말식이와 팽화홍삼 음료를 통해 섭취된 사포닌 함량은 Table 5와 같다.
602 mg/d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팽화홍삼 음료 식이의 경우가 팽화홍삼 분말 식이보다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형태로서 홍삼의 효능을 더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시험기간 중 식이효율(FER)은 팽화홍삼투여군 중 B군(0.6%)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음수량은 팽화홍삼투여군(118~130 mL/d)이 당뇨대조군(163 mL/d)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P<0.05).
Streptozotocin 투여 후 측정한 기준 혈당은 221.0~292.8 mg/dL로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평균 혈당 농도는 259.8±29.4 mg/dL였다.
05). 비장무게는 0.18~0.22 g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신장무게는 당뇨대조군(0.32 g)보다 팽화홍삼실험군(A, C, D)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정소무게는 대조군과 팽화홍삼 분말식이 A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
05). 일반적으로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경우 인슐린의 분비가 감소에 따른 당 대사의 불균형으로 인해 간장, 신장 및 심장이 비대해지는데(36), 본 연구에서는 팽화홍삼 분말군(A, B)과 팽화홍삼 음료군(C, D) 모두 대조군에 비해 장기 무게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시험 기간 동안 혈당의 누적 감소치와 기준 혈당 대비 시험 종료 시 혈당 감소율은 Table 9와 같다. 시험 개시 후 1주와 2주는 당뇨대조군(E)을 제외한 팽화홍삼식이군에서 혈당치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즉 시험 1주는 팽화홍삼 분말식이 A군이 평균 53.
시험 개시 후 1주와 2주는 당뇨대조군(E)을 제외한 팽화홍삼식이군에서 혈당치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즉 시험 1주는 팽화홍삼 분말식이 A군이 평균 53.9 mg/dL 감소하였고, 시험 2주는 팽화홍삼 분말식이 B군이 85.4 mg/dL 감소하였다. 시험 후 6주는 팽화홍삼식이군(A, B)에서 각각 12.
4 mg/dL 감소하였다. 시험 후 6주는 팽화홍삼식이군(A, B)에서 각각 12.4, 14.5 mg/dL 감소하였고, 특히 팽화홍삼 음료 C군은 23.5 mg/dL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기간 중 전 주 대비 혈당의 누적 감소치는 팽화홍삼 분말 B군과 팽화홍삼 음료 C군에서 각각 18.
1 mg/dL로 나타났다. 기준 혈당 대비 시험종료일의 혈당 감소율은 팽화홍삼 분말 B군(0.6%)이 37.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다른 팽화홍삼투여군(A, C, D)은 각각 19.2, 18.7 및 17.3%로 비슷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팽화홍삼 분말 B군은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말식이를 통한 일당 사포닌섭취량(1.
3%로 비슷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팽화홍삼 분말 B군은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말식이를 통한 일당 사포닌섭취량(1.109 mg)과 체중 증가, 식이효율 및 당뇨쥐의 특성 중 하나인 음수량 등을 고려할 때 팽화홍삼(PRG)이 혈당치의 감소에 유용한 효과를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팽화홍삼 분말 및 음료 식이가 당뇨 유발쥐의 혈청 생화학치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10과 같이 유리지방산 함량을 제외하고 혈청지질 농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실험종료일 전 절식시킨 당뇨쥐의 혈청 지질 농도는 총 콜레스테롤이 58.60~66.60 mg/dL, 중성지방은 86.78~99.50 mg/dL로 비슷하였고, 고밀도지단백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각 20.10~25.00 mg/dL, 10.60~12.40 mg/dL로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유리지방산 농도는 팽화홍삼 음료 D군(0.
05). 지방산은 세포 내 중성지방이 유리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가수분해과정에서 생성되어 지방세포로부터 분비되는데, 지방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간의 인슐린 배출은 감소되고 당신생(gluconeogenesis)이 증가되며, 포도당에 비해 우선적으로 산화되어 결과적으로 유리지방산은 간세포의 인슐린 생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3%로 비슷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팽화홍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기간 동안 혈당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팽화홍삼 분말 B군의 식이를 통한 사포닌 섭취량과 체중 증가, 식이효율 및 음수량 등을 고려할 때 팽화홍삼이 혈당치의 감소에 유의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와 더불어 향후 팽화홍삼의 혈당 감소와 관련된 biomarker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
본 연구 결과 팽화홍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기간 동안 혈당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팽화홍삼 분말 B군의 식이를 통한 사포닌 섭취량과 체중 증가, 식이효율 및 음수량 등을 고려할 때 팽화홍삼이 혈당치의 감소에 유의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와 더불어 향후 팽화홍삼의 혈당 감소와 관련된 biomarker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 사포닌의 주요 생리활성은 무엇인가?
또한 인삼에 함유된 polyphenol 화합물들과 ether 가용성 산성 물질 및 maltol, salicylic acid 등도 규명되었다(6,7). 인삼 사포닌의 주요 생리활성으로는 항통증, 항암, 항당뇨, 간 기능 항진작용, 항혈전, 항염증 등 다양하며(8-16), 비사포닌 성분들도 항산화 활성, 혈소판 응집 억제능, 암세포 독성, 중금속 제거능 등이 보고되었다(17,18). 우리나라에서 인삼은 수천 년 동안 체력보강을 위한 보약의 개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간, 신장 및 심혈관 장해 개선, 면역기능 조절작용(19), 스트레스나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 증강 및 고환 독성 방어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21).
고려인삼이란 무엇인가?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계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 예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고, 인삼의 약리작용이 과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이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1). 인삼의 약효 성분은 스테로이드 골격을 갖는 triterpenoid의 배당체로 규명되었고, 30여 종에 이르는 성분이 분리되어 그 구조가 밝혀져 있다(2).
홍삼이 수삼에 비해서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홍삼은 수삼을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 것으로 최근의 생화학, 약리학, 영양학 등의 약리작용 기전 연구와 임상연구를 통해 뇌기능 향상, 항암 활성, 항당뇨, 항염증, 면역기능 향상, 혈압조절 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항스트레스, 피로회복 작용, 여성의 갱년기장애 개선, 방사선장애 방어 효능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23-28). 이는 수삼을 100°C에서 찌는 과정에서 수삼에 존재하지 않는 진세노사이드의 구조 변환에 의해 미량으로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h2, Rg3 등의 성분이 증가되어서 약리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9-31). 한편 Kim 등(32)은 팽화가공 처리한 홍삼의 항당뇨 효능이 일반홍삼에 비해 더 크다고 보고한 바 있다.
참고문헌 (36)
Li XG. 1992. Studies on the transforming mechanism of amino acid components in ginseng in the course of ginseng process. Korean J Ginseng Sci 16: 64-67.
Shibata S, Tanaka O, Ando T, Sado M, Tsushima S, Ohsawa T. 1966. Chemical studies on oriental plant drugs: Protopanaxadiol, a genuine sapogenin of ginseng saponins. Chem Pharm Bull 14: 595-600.
Sanata S, Kondo N, Shoji J, Tanaka O, Shibata S. 1974. Studies on the saponins of ginseng. I. Structure of ginsenoside- R0, Rb1, Rb2, Rc and Rd. Chem Pharm Bull 22: 421-428.
Kimura M, Waki I, Chujo T, Kikuchi T, Hiyama C, Yamazaki K, Tanaka O. 1981. Effects of hypoglycemic components in ginseng radix on blood insulin level in alloxan diabetic mice and on insulin release from perfused rat pancreas. J Pharmacobiodyn 4: 410-417.
Yokozawa T, Kobayashi T, Oura H, Kawashima Y. 1985.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hypoglycemic activity of ginsenoside-Rb2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Chem Pharm Bull 33: 869-872.
Matsuura, H, Kasai R, Tanaka O, Saruwatari Y, Kunihiro K, Fuwa T. 1984. Further studies on dammarane-saponins of ginseng roots. Chem Pharm Bull 32: 1188-1192.
Odashima S, Nakayabu Y, Honjo N, Abe H, Arichi S. 1973. Induction of phenotypic reverse transformation by ginsenosides in cultured Morris hepatoma cells. Eur J Cancer 15: 885-892.
Tchilian EZ, Zhelezarov IE, Hadjiivanova CI. 1991. Effect of ginsenoside Rg1 on insulin binding in mice liver and brain membranes. Phytother Res 5: 46-48.
Fang YX, Shen N, Chem X. 1986. Beneficial changes in prostacyclin and thromboxane A2 induced by ginsenosides in myocardial infarction and reperfusion injury in dogs. Acta Pharmacol Sin 7: 226-230.
Ando T, Muraoka T, Yamasaki N, Okuda H. 1980. Preparation of antilipolytic substance from Panax ginseng. Plant Med 38: 18-23.
Jang SK, Kim JH, Chung YS, Ahn DC, Kang MJ, Lee DG, Kim SH. 1994.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immunopotential and the anticancer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Ginseng Sci 18: 151-159.
Cho JY, Kim AR, Yoo ES, Baik KU, Park MH. 2002.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differentially regulate lymphocyte proliferation. Planta Med 68: 497-500.
Lee EJ, Ko E, Lee J, Rho S, Ko S, Shin MK, Min BI, Hong MC, Kim SY, Bae H. 2004. Ginsenoside Rg1 enhances CD4 (+) T-cell activities and modulates Th1/Th2 differentiation. Int Immunopharmacol 4: 235-244.
Choi HJ, Zhang YB, An BJ, Choi C. 2002.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93-497.
Kwak YS, Park JD, Yang JW. 2003. Present and its prospect of red ginseng efficacy research.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2): 30-37.
Ahn YK, Kim JY, Chung JG, Kim JH, Goo JD. 1987.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on the immunotoxicity of mitomycin C. Yakhak Hoeji 31: 355-360.
Bhattacharya SK, Mitra SK. 1991. Anxiolytic activity of Panax ginseng roots: an experimental study. J Ethnopharmacol 34: 87-92.
Hwang SY, Jeong HS, Wee JJ, Sung R, Kim SK. 1999. Histopathological study on the protect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TCDD-induced acute toxicity in male guinea pig. J Ginseng Res 23: 222-229.
Kim SB, Do JR, Lee YW, Gu YS, Kim CN, Park YH. 1990.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roasted-barley extracts according to process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48-752.
Kim CM, Han GS. 1985. Radioprotective effects of ginseng proteins. Yakhak Hoeji 29: 246-252.
Kim DJ, Seong KS, Kim DW, Ko SR, Chang CC.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J Ginseng Res 28: 5-10.
Vuksan V, Sung MK, Sievenpiper JL, Stavro PM, Jenkins AL, Di Buono M, Lee KS, Leiter LA, Nam KY, Arnason JT, Choi M, Naeem A. 2008.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improves glucose and insulin regulation in wellcontrolled, type 2 diabetes: results of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efficacy and safety. Nutr Metab Cardiovasc Dis 18: 46-56.
Je JH. 2007. Antidiabetic and oxidative stress relieving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Shin YS. 2010. Comparisons of ginsenosid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puffed red ginse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475-480.
Park JH, Sung KS, Kim SS, Shim GS, Han CK. 2012. Effects of puffed and fermented red ginseng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30-637.
Yang SJ, Woo KS, Yoo JS, Kang TS, Noh YH, Lee J, Jeong HS. 2006. Changes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21-525.
Yoon SR, Lee MH, Park JH, Lee IS, Kwon JH, Lee GD.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unds with heating treatment of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72-1578.
Kim SH, Kang JS, Lee SJ, Chung YJ. 2008. Antidiabetic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by puffing proces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01-707.
Kim ST, Jang JH, Kwon JH, Moon KD. 2009.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and white ginseng after pugging. Korean J Food Preserv 16: 355-361.
An YE, Cho JG, Baik NI, Choi SW, Hur NY, Park SJ, Kim BY, Baik MY. 2010. Isolation of 20(S)-ginsenoside Rg3 and Rg5 from the puffed red ginseng. Food Eng Prog 14: 159-165.
Pain VM, Garlick PJ. 1974. Effect of streptozotocin diabetes and insulin treatment on the rate of protein synthesis in tissues of the rat in vivo. J Biol Chem 249: 4510-4514.
Mogensen CE, Andersen MJ. 1973. Increased kidney size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early juvenile diabetes. Diabetes 22: 706-7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