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홍삼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istanc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5, 2011년, pp.696 - 703  

김혜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민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을 Bifidobacterium longum H-1으로 발효시켜 인삼사포닌을 체내에서 흡수가 잘 되는 형태로 변화시킨 발효홍삼을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아침과 저녁 식전에 한 캡슐씩 하루 780 mg을 섭취하였다. 위약군은 동량의 cellulose를 실험군과 동일하게 제조한 후 같은 방법으로 섭취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약물이나 식사로만 치료하는 총 38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로 발효홍삼군 20명(남자 12, 여자 8), 위약군 18명(남자 11, 여자 7)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군의 일반적 특성 및 생활습관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 발효홍삼을 섭취한 군에서의 공복혈당$136.29{\pm}16.45$ mg/dL에서 $127.71{\pm}17.74$ mg/dL로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으며, 당화혈색소 역시 $7.36{\pm}1.02%$에서 $6.96{\pm}0.93%$로 감소하였다. 특히 당화혈색소가 8% 이상인 고당화혈색소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 저항성은 대조군에서는 유의적 변화가 없는 반면, 발효홍삼군에서는 섭취 전 $3.11{\pm}1.13$ mmol/L에서 섭취 후 $2.23{\pm}0.71$ mmol/L로 유의한(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청지질 변화는 없었으며, LDL-콜레스테롤도 발효홍삼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간 기능 지표인 AST, ALT, ${\gamma}$-GTP와 신장기능 지표인 BUN, creatinine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정상범위에 속하여 발효홍삼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 발효홍삼은 혈당 및 당화혈색소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체 안전성 지표인 간 및 신장 기능도 정상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혈당 개선을 통해 합병증지연 또는 예방에 있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erformed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fermented red ginseng supplementation modulates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istanc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 total of 38 patients were randomized to either a fermented red ginseng group or placebo group. The pat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을 발효하여 그 발효추출물을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섭취시킴으로써 그들의 혈당조절, 인슐린 저항성 개선 및 간기능과 신장 기능 검사로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여 당뇨병 치료 보조제로서 유용성을 검증하고 더 나아가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개선 및 사망률 감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경구혈당강하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당뇨병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경구혈당강하제는 탄수화물 소화 및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증가를 억제시키는 α-glucosidase 저해제(1,2),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설폰요소제(3,4), 간에서 당 신생반응을 억제하고 근육 및 지방조직에서의 인슐린 작용을 강화시키는 비구아니드계(4)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저혈당, 구토, 복부팽만, 설사 및 간 기능손상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혈당조절효과가 낮아져 다른 약물을 병행하여 복용하게 된다. 따라서 약물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고 혈당조절에 효과가 높은 치료제 및 기능성식품을 개발하려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5).
홍삼이란 무엇인가? 특히 식후혈당 개선효과(6-10)는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주목할 만하며 최근에는 발효홍삼이 개발됨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을 더하고 있다.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것으로, 인삼사포닌, 폴리아세틸렌, 페놀계화합물, 산성다당체, 산성펩티드, 인삼단백질, 리그난계 화합물인 고미신(gomisin-N, -A), sesquiterpene계 화합물, 미량 알칼로이드 등의 생리활성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11-18). 그중 홍삼에 존재하는 자연 상태의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등은 체내로 직접 흡수되지 않고, Rh2, Compound-K 등과 같은 최종대사물로 전환되어 흡수되는데, 발효홍삼은 이러한 생물학적 전환을 사람의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Bifidobacterium longum H-1)을 이용해 장에서 신속하게 흡수되어지도록 한 것(19)으로 그 동안 밝혀진 홍삼의 생리활성성분들이 더욱 잘 흡수 발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홍삼에는 무슨 생리활성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특히 식후혈당 개선효과(6-10)는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주목할 만하며 최근에는 발효홍삼이 개발됨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을 더하고 있다. 홍삼은 수삼을 쪄서 말린 것으로, 인삼사포닌, 폴리아세틸렌, 페놀계화합물, 산성다당체, 산성펩티드, 인삼단백질, 리그난계 화합물인 고미신(gomisin-N, -A), sesquiterpene계 화합물, 미량 알칼로이드 등의 생리활성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11-18). 그중 홍삼에 존재하는 자연 상태의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등은 체내로 직접 흡수되지 않고, Rh2, Compound-K 등과 같은 최종대사물로 전환되어 흡수되는데, 발효홍삼은 이러한 생물학적 전환을 사람의 장내 유익균인 유산균(Bifidobacterium longum H-1)을 이용해 장에서 신속하게 흡수되어지도록 한 것(19)으로 그 동안 밝혀진 홍삼의 생리활성성분들이 더욱 잘 흡수 발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Van de Laar FA. 2008. Alpha-glucosidase inhibitors in the early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Vasc Health Risk Manag 4: 1189-1195. 

  2. Hillebrand I, Boehme K, Frank G, Fink H, Berchtold P. 1979. The effects of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 BAY g 5421 (Acarbose) on meal-stimulated elevations of circulating glucose, insulin and triglyceride levels in man. Res Exp Med 175: 81-86. 

  3. Fonteles MC, Huang LC, Larner J. 1996. Infusion of pH 2.0 D-chiro-inositol glycan insulin putative mediator normalizes plasma glucose in streptozotocin diabetic rats at a dose equivalent to insulin without inducing hypoglycaemia. Diabetologia 39: 731-734. 

  4. Melander A, Lebovitz HE, Faber OK. 1990. Sulfonylureas. Why, which, and how? Diabetes Care 13: 18-25. 

  5. Grover JK, Vats V, Rathi SS. 2000. Anti-hyperglycemic effect of Eugenia jambolana and Tinospora cordifolia in experimental diabetes and their effects on key metabolic enzymes involved in carbohydrate metabolism. J Ethnopharmacol 73: 461-470. 

  6. Vuksan V, Sung MK, Sievenpiper JL, Stavro PM, Jenkins AL, Di Buono M, Lee KS, Leiter LA, Nam KY, Arnason JT, Choi M, Naeem A. 2006.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improves glucose and insulin regulation in wellcontrolled, type 2 diabetes: Results of a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efficacy and safety. Nutr Metab Cardiovasc Dis 18: 46-56. 

  7. Sievenpiper JL, Sung MK, Buono MD, Lee KS, Nam KY, Arnason JT, Leiter LA, Vuksan V. 2006. Korean red ginseng rootlets decrease acute postprandial glycemia: Results from sequential preparation- and dose-finding studies. J Am Coll Nutr 25: 100-107. 

  8. Vuksan V, Sievenpiper JL, Koo VY, Francis T, Beljan- Zdravkovic U, Xu Z, Vidgen E. 2000.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reduces postprandial glycemia in nondiabetic subjects and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rch Intern Med 160: 1009-1013. 

  9. Vuksan V, Stavro MP, Sievenpiper JL, Koo VY, Wong E, Beljan-Zdravkovic U, Francis T, Jenkins AL, Leiter LA, Josse RG, Xu Z. 2000. American ginseng improves glycemia in individuals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effect of dose and time escalation. J Am Coll Nutr 19: 738-744. 

  10. Vuksan V, Sievenpiper JL, Wong J, Xu Z, Beljan-Zdravkovic U, Arnason JT, Assinewe V, Stavro MP, Jenkins AL, Leiter LA, Francis T. 2001.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attenuates postprandial glycemia in a time-dependent but not dose-dependent manner in healthy individuals. Am J Clin Nutr 73: 753-758. 

  11. Kim DJ, Seong KS, Kim DW, Ko SR, Chang CC.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paraquat- induced oxidative stress. J Ginseng Res 28: 5-10. 

  12. Choi JE, Han JS, Kang SJ, Kim KH, Kim KH, Yook HS. 2010. Saponin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ginseng extract pouch products collected from ginseng market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60-1665. 

  13. Shin YS. 2010. Comparisons of ginsenosid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puffed red ginseng. Korean J Food Sci 26: 475-480. 

  14. Sanata S, Kondo N, Shoji J, Tanaka O, Shibata S. 1974. Studies on the saponins of ginseng. I. Structure of ginsenoside- $R_0$ , $Rb_1$ , $Rb_2$ , Rc and Rd. Chem Pharm Bull (Tokyo) 22: 421-428. 

  15. Kitagawa I, Taniyama T, Shibuya H, Nota T, Yoshikawa M. 1987. Chemical studies on crude drug processing. V. On the constituents of ginseng radix ruba (2): Comparison of the constituen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prepared from the same Panax ginseng root. Yakugaku Zasshi 107: 495-505. 

  16. Kimura M, Waki L, Chujo T, Kikuchi T, Hiyama C, Yamazaki K, Tanaka O. 1981. Effects of hypoglycemic components in ginseng radix on blood insulin level in alloxan diabetic mice and on insulin release from perfused rat pancreas. J Pharm Dyn 4: 410-417. 

  17. Yokozawa, KobaYashi T, Oura H, Kawashima Y. 1985.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hypoglycemic activity of ginsenoside- $Rb_2$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Chem Pharm Bull (Tokyo) 33: 869-872. 

  18. Kim CM, Han GS. 1985. Radioprotective effects of ginseng proteins. Yakhak Hoeji 29: 246-252. 

  19. Park SJ, Kim DH, Kim SS. 2006.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 Ginseng Res 30: 88-94. 

  20. Je JH. 2007. Antidiabetic and oxidative stress relieving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1. Seoul Medical Science Institute. 2005. SCL examination guidebook. 

  22.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3. Matth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ner RC. 1985.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man. Diabetologia 28: 412-419. 

  24. Buckingham KW. 1985. Effect of dietary polyunsaturated/ saturated fatty acid ratio and dietary vitamin E on lipid peroxidation in the rat. J Nutr 115: 1425-1435. 

  25. Lee KH. 2010. A comparative study on obesity judgment criteria in the frequently used obesity indices. The Res J Costume Culture 18: 93-108. 

  26. Cho NH. 2005. Prevalence of diabetes and management status in Korean population. Kor J Medicine 68: 1-3. 

  2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Korea. 

  2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6.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9. Ng TB, Yeung HW, Lee HB. 1985. Hypoglycemic constituents of Panax ginseng. Gen Pharmacol 16: 549-552. 

  30. Lee HA, Kwon SO. 1997. Hypoglycemic action of components from red ginseng: (I)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on enzymes related to glucose metabolism in cultured rat hepatocytes. Korean J Ginseng Sci 21: 174-186. 

  31. Takagi H, Umemoto T. 2011.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dependent effects of statins on coronary artery disease. Am J Cardiol 107: 336-343. 

  32. Remsberg KE, Talbott EO, Zborowski JV, Evans RW, McHugh-Pemu K. 2002. Evidence for competing effects of body mass, hyperinsulinemia, insulin resistance, and androgens on leptin levels among lean, overweight, and obes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Fertil Steril 78: 479-486. 

  33. Kang JM, Lee WY, Kim JY, Yun JW, Kim SW. 2002. Relationship between C-peptide, metabolic control and chronic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es. Korean Diabetes J 26: 490-499. 

  34. Isomaa B. 2003. A major health hazard: the metabolic syndrome. Life Sci 73: 2395-2411. 

  35. Beck-Nielsen H. 1999.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prevalence and heritability. European Group for the study of Insulin Resistance (EGIR). Drugs 58 (Suppl. I: 7-10); discussion 75-82. 

  36. Rhee SY, Chon S, Oh S, Kim SW, Kim JW, Kim YS, Woo JT. 2007. Insulin secre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newly diagnosed, drug naive prediabetes and type 2 diabetes patients with/without metabolic syndrome. Diabetes Res Clin Pract 76: 397-403. 

  37. Qu X, Pan X, Weidner J, Yu W, Alonzi D, Xu X, Butters T, Block T, Guo JT, Chang J. 2011. Inhibitors of endoplasmic reticulum {alpha}-glucosidases potently suppress hepatitis C virus virion assembly and release.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5: 1036-1044. 

  38. Singh N, Rana SV. 2009. Effect of insulin on arsenic toxicity in diabetic rats-liver function studies. Biol Trace Elem Res 132: 215-226. 

  39. Kim HS, Lee JH, Park EJ, Yoon JY, Kim JM, Lim HS, Lee HC, Huh KB. 1994. Effect of enteral nutrition supplementation on glucose metabolism in patients with NIDDM. Korean J Nutr 27: 805-8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