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 근로자의 감정노동, 신체화 증상, 정서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Somatic Symptoms, and Emotion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Female Worker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5, 2015년, pp.537 - 547  

전해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권유림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somatic symptoms, and emotion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women worker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3 to January 2014 in Korea.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년여성 근로자의 감정노동, 신체화 증상, 정서적 지지와 관련하여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년여성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및 건강한 근로 생활을 유지함에 있어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년여성 근로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향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로써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여성의 경우 같은 직종 내에서도 삶의 질이 남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학적 관심이 필요하다[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 근로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년여성 근로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성장발달 측면으로 볼 때, 중년기란 어떤 시기인가? 인간의 성장발달 측면으로 볼 때, 중년기는 갱년기와 같은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위기의 중년이라 지칭될 만큼 정서적 스트레스가 높은 시기이다[7]. 이 시기의 여성은 결혼과 가정생활에서 오는 생활 스트레스가 높아 대사증후군 등 각종 신체적 건강 위협을 받고 있으며, 직장생활에서 소진을 경험하기도 하는데[8,9], 이러한 요인들은 중년여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근로환경 및 업무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중년여성은 주로 어느 업종에 종사하는가? 이러한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제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노후대비와 생계유지를 위해 40~60대 여성의 비경제활동인구가 노동시장으로 대거 유입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2]. 중년여성은 주로 도 ․ 소매, 음식 ․ 숙박업 등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비중이 높으며[2], 관리직이나 전문직은 소수이고, 서비스업, 제조업, 비정규직 등이 다수를 차지하는 불균형적인 취업 형태로 이분화 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3].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50대 취업자의 대부분은 여성, 고령, 고학력자이며,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에서 일하며, 5년 이하의 단기 근속자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나 [4], 고용의 안정성, 소득 수준 및 직업 숙련도 등에 있어서, 중년여성 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중년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3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경제활동 인구통계’에 따르면 40~60세 중년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다[1]. 이러한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경제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노후대비와 생계유지를 위해 40~60대 여성의 비경제활동인구가 노동시장으로 대거 유입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2]. 중년여성은 주로 도 ․ 소매, 음식 ․ 숙박업 등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비중이 높으며[2], 관리직이나 전문직은 소수이고, 서비스업, 제조업, 비정규직 등이 다수를 차지하는 불균형적인 취업 형태로 이분화 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3 [cited 2014 August 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pi/6/4/index.action?bmoderead&seq462 

  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Employment trend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cited 2014 Nov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 

  3. Min HJ. Who gets a good job?-An analysis on the entry process into good jobs and bad jobs in the Korean women's labor market. Economy and Society. 2008;78:223-55. 

  4.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Employment issue [Internet]. Chungcheongbuk-do: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4 [cited 2014 Nov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keis.or.kr/ 

  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3 Better Life Index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4 [cited 2014 Nov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statistics/2014 

  6. Chung MS. Resilience, coping method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4):345-54. http://dx.doi.org/10.12934/jkpmhn.2011.20.4.345 

  7. Lee JS, Choi WS. A study on path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conflict of married working women. Journal of Asian Women. 2011;50(1):169-98. 

  8. Raikkonen K, Matthews KA, Kuller LH.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ful life events predict metabolic syndrome among middle-aged women: a comparis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adult treatment panel III, and international diabetes foundation definitions. Diabetes Care. 2007;30(4) 872-7. http://dx.doi.org/10.2337/dc06-1857 

  9. Blom V. Contingent self-esteem, stressors and burnout in working women and men. Work. 2012;43(2):123-31. http://dx.doi.org/10.3233/WOR-2012-1366 

  10. Jeong MG.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employee's emotional dissonance.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2;25(1):171-93. 

  11. Guy ME, Newman MA. Women's jobs, men's jobs: Sex segregation and emotional lab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04;64(3):289-98. http://dx.doi.org/10.1111/j.1540-6210.2004.00373.x 

  12.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The PHQ-15: validity of a new measure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somatic symptoms. Psychosomatic Medicine. 2002;64(2):258-66. http://dx.doi.org/10.1097/00006842-200203000-00008 

  13. Chandola T, Britton A, Brunner E, Hemingway H, Malik M, Kumari M, et al. Work stress and coronary heart disease: what are the mechanisms? European Heart Journal. 2008;29(5): 640-8. http://dx.doi.org/10.1093/eurheartj/ehm584 

  14. Norberg M, Stenlund H, Lindahl B, Andersson C, Eriksson JW, Weinehall L. Work stress and low emotion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future type 2 diabetes in women.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7;76(3):368-77. http://dx.doi.org/10.1016/j.diabres.2006.09.002 

  15. Mann S, Cowburn J. Emotional labour and stress within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5;12(2):154-62.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04.00807.x 

  16. Yang X, Ge C, Hu B, Chi T, Wang L.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stress among teachers. Public Health. 2009;123(11):750-5. http://dx.doi.org/10.1016/j.puhe.2009.09.018 

  17.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175-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8. Mann S. Achieving frontline communication excellence: the potential cost to health. IEEE Transactions on Professional Communication. 1998;41(4):254-65. http://dx.doi.org/10.1109/47.735367 

  19. Weber KD, Patterson B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communication based emotional support scale.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1996;13(1):68-76. http://dx.doi.org/10.1080/08824099609362072 

  20. Cella DF, Tulsky DS, Gray G, Sarafian B, Linn E, Bonomi A, et al.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93;11(3):570-9. 

  21. Webster K, Cella D, Yost K.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FACIT) measurement system: properties, applications, and interpretation.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3;1(1):1-7. http://dx.doi.org/10.1186/1477-7525-1-79 

  22. Lee BH, Park AC, Lee KH.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n the family income, self-esteem, role adaptations, and identity formation of the married mid-life women; focusing on employed wome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0;24(1):103-20. 

  23. Kang SO, Ha KS. Rel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12):121-44.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121 

  24. Ryu TM, We HK, Jung HW.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empowerment.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14;21(3):435-60. http://dx.doi.org/10.14396/jhrmr.2014.21.3.435 

  25. Shin KR, Kang Y, Park HJ, Kim K, Jin LH. Depression, somatoform disorders, and quality of life between poor sleepers and good sleepe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1; 23(4):332-9. 

  26. Kim HJ, Choi H.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3):320-8.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320 

  27. Kim SA, Kim SY. The impa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 wome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2:109-30. 

  28. Baik DW, Yom YH.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2;18(3):271-80.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3.271 

  29. Cho EA, Ojh 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quality of life, resilience and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 41(3):285-93.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285 

  30. Kim AK. Yangsae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3):297-306.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3.2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