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ression, Life Stress and Resilience on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2 no.2, 2015년, pp.300 - 309  

양경미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pression, life stress and resilience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women.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consisting of 201 middle-aged women recruited from an urban area. SPSS 21.0 was use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성은 사회적 위치에서 남성에 비해 불평등을 겪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으므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문제를 확인하고, 회복탄력성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중년 여성들이 발달과정상 전환기에 발생하는 우울과 생활스트레스를 잘 극복하고,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성공적인 노년기를 준비할 수 있도록 중년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35세-64세 중년여성 201명을 대상으로 우울, 생활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및 삶의 질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변인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구체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각 변인과의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을 통한 삶의 질에 대한 예측 변인을 도출하였으나 각 변인들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지 않았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우울, 생활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삶의 질에 대한 경로를 탐색하여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이 중년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중년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5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무응답이나 부실응답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생활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삶의 질과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은 회복탄력성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중년 여성의 우울, 생활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의 중년세대의 특징은? 오늘날의 중년세대는 예전과는 다른 새로운 문제와 기회에 직면하게 되었다.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면서, 자식으로부터 부양을 받지 못하는 마지막 세대에 속하게 되었다. 또한 베이비붐 세대에 속하는 현재의 여성들은 과거와 달리 고학력, 고소득 비율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생활스트레스에서의 당면과제 스트레스의 종류는? 생활 스트레스는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긍정적, 부정적인 모든 사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Chon과 Kim(2003)은 우리나라 주부를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를 구성 하였고, 생활스트레스는 대인관계 영역과 당면과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당면과제 스트레스는 경제문제, 주거환경문제, 건강문제, 교통문제, 가사노동문제, 직장생활 문제로 구분하여 1,006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를 확인한 결과 우리 나라 주부들은 가사노동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가장 빈번 하게 경험 하는 것은 나타났다(Chon, & Kim, 2003).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건강문제 관련 생활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였고 (Park, 2009), 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화, 강박증, 대인 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Sung, Yoon, & Son, 2005)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생활 스트레스란? 생활 스트레스는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긍정적, 부정적인 모든 사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Chon과 Kim(2003)은 우리나라 주부를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를 구성 하였고, 생활스트레스는 대인관계 영역과 당면과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당면과제 스트레스는 경제문제, 주거환경문제, 건강문제, 교통문제, 가사노동문제, 직장생활 문제로 구분하여 1,006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를 확인한 결과 우리 나라 주부들은 가사노동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가장 빈번 하게 경험 하는 것은 나타났다(Chon, & Kim,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in, M. H. (2013). A prediction model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late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Choi, K. S., Oh, H. E., & Shim, C. S.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imacteric symptom, depression and coping among middle-aged wome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3(3), 335-345. 

  3. Choi, S. K. (2015). A study on the impact of resili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 citizen and intermediated effects of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 Sei University. Gyeonggi. 

  4. Chon, K. K., & Kim, K. H. (2003). Life stress and coping styles of korean housewiv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1), 1-39. 

  5. Chon, K. K., Choi, S. C.,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4. 

  6. Chung, M. S. (2011). Resilience, coping method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Academic Psychiatirc Mental Health Nursing, 20(4), 345-354. 

  7.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 

  8. Connor, K. M., & Davidson, J. R. T.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18(2), 133-139. 

  9. Holmes, T. H., & Rahe .R .H.(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10. Hong. S. K. (2009). Concept development of resili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1), 109-119. 

  11. Hong, Y. C., & Yoon, M. (2013).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happiness and depression of women in midlif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8(1), 219-242. 

  12. Kang, J. S., & Lim, J. Y. (2015).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on job stress and burnout. The Korea Content Society, 15(11), 263-273. 

  13. Kim, J. H. (2011). Resilience. Wisdomhouse, Seoul. 

  14. Kim, J. Y. (2014). Effects of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f women in their middle 40s on family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5. Kim, S. J., & Kim, S. Y.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rital intimacy,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19(3), 176-187. 

  16. Kim, K. T., & Park, M. J.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life stress and resilience in the elderly women :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 29, 71-90. 

  17. Kim, M. J., Park, Y. S., & Kwon, Y. H. (2015).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on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2), 1284-1291. 

  18. Kwon, H. K., Kim, H. K., Ko, S. D., & Choi, H. I. (2014). Association of menopausal status, psychological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of middle-aged korean women. Health and Social Science, 35, 25-54. 

  19. Kwon, S. H. (2010).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Lee, P. S. (1984). (A) Methodological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stress related to life ev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1. Min, S. K., Lee, C. I., Kim K. I., Suh , S. Y., & Kim, D.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22. Moon, I. O., Park, S. K., & Jung, J. M. (2013).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19(4), 525-535. 

  23. Park, J. W., & Kim, S. H. (2015).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lience of widowed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16, 1-32. 

  24. Park, H. S., Kim, A. J., & Bae , K. E. (2010). Lif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of middle -aged women in the menopause period. Korean Parent Child Health, 13(2), 55-62. 

  25. Park, S. M. (2009).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s social support, life stresse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6.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ologic Measurement, 3, 395-401. 

  27.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New York: Broadway Books. 

  28. Son, J. W. (2015). Social support and life stress in middle-aged women have imp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29. Song, Y. J. (2012). A stud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0. Sung, M. H., Yoon, J. W., & Son, H. Y. (2005).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mental health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4(2), 186-19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