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도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 비교 연구
Comparison of Forest Carbon Stocks Estimation Methods Using Forest Type Map and Landsat TM Satellite Imagery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1 no.5, 2015년, pp.449 - 459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  이정빈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정재훈 (독일 본대학교 사진측량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에 의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은 국가 규모의 평균 탄소저장량 추정에는 충분하지만 표본점 개수가 부족한 시 군 단위의 세밀한 추정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시 군별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을 위해 공간 자료를 보조 자료로 이용하고 2가지 업스케일링 방법을 적용하여 격자별 산림탄소저장량 정보를 가진 산림탄소지도를 제작하였다. 대상지역은 충청남도로 2가지 방법 모두 제 5차 NFI(2006~2009) 자료를 활용하였다. 방법 1은 임상도를 보조 자료로 선택하고 NFI 기반 산림탄소저장량 회귀모델을 이용하였다. 방법 2는 위성영상을 보조 자료로 선택하고 k-NN을 이용하여 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200회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최종 AGB 탄소지도를 산출하였다. 방법 1에서는 충청남도의 총 산림탄소저장량이 22,948,151 tonC으로 기존의 현지조사표본 기반 추정치(21,136,911 tonC)에 비해 과대추정을, 방법 2에서는 19,750,315 tonC로 과소추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독립검증 지점(n=186)의 탄소저장량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 방법 2의 평균 추정치와 NFI 표본 기반 평균 추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반면(p<0.01), 방법 1의 평균 추정치는 NFI 표본 기반 평균 추정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p>0.01). 특히, 방법 2의 경우 k-NN의 스무딩 효과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위성영상과 표본점의 mis-registration 오차가 추정오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임상도를 활용한 방법 1이 임분 구조가 복잡한 우리나라 산림의 탄소량 추정에 효과적일 수 있지만, 미조사 지점의 주기적인 갱신 및 대면적 추정에 유리한 위성영상의 활용은 여전히 필수적이다, 따라서 시공간적인 확장과 함께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을 위해 다양한 위성영상 자료 및 활용 기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ventional National Forest Inventory(NFI)-based forest carbon stock estimation method is suitable for national-scale estimation, but is not for regional-scale estimation due to the lack of NFI plots.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regional-scale carbon stock estimation, we created grid-b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1) 임상도를 이용한 산림탄소저장량 업스케일링 방법과 2) 위성영상을 이용한 k-NN알고리즘 등 2가지 방법 별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치에대해 현지조사 기반의 추정치와 비교 평가를 수행하고 각 방법별 특징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 기존의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에 의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은 국가 규모의 평균 탄소저장량 추정에는 충분하지만 표본점 개수가 부족한 시·군 단위의 세밀한 추정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 구역 이하의 보다 세밀한 격자 수준으로 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할 수 있도록 공간정보를 보조 자료로 이용하는 2가지 방법을 검토하였다. 2가지 방법 모두 NFI 자료를 공통적으로 활용하되 방법 1은 임상도를 보조 자료로 이용하고 회귀모델과 지도대수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방법 2는 위성영상 및 k-NN을 이용한 추정방법이다.

가설 설정

  • 1).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현지조사 자료 기반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치를 실측치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FI에 의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이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는 NFI 자료를 이용하여 국가 규모의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고 있다. NFI에 의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은 입목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점별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고 이를 다시 행정구역단위로 집계한 것으로 국가 규모의 평균탄소저장량 추정에는 충분하다. 하지만 표본점의 개수가 부족한 소면적의경우, 정밀도가낮고편향된추정치가산출되는문제가 있다(Kohl et al.
NFI에 의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NFI에 의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은 입목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점별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고 이를 다시 행정구역단위로 집계한 것으로 국가 규모의 평균탄소저장량 추정에는 충분하다. 하지만 표본점의 개수가 부족한 소면적의경우, 정밀도가낮고편향된추정치가산출되는문제가 있다(Kohl et al., 2006). 특히, 가장 높은 신뢰수준인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우수실행지침(good practice guidance, GPG) 수준 3에서 요구하는 국가 규모 이하 상세한 수준의 격자별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에는 한계가따른다.
k-NN 알고리즘이 참조점으로 선택하는 것은? 두 번째 방법으로 미조사지점에 대한 탄소량 추정을위해 위성 영상 데이터에 기반한 k-NN 방법이 적용되었다. k-NN 알고리즘은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에 기반한 방법으로, 목표점을 추정하기 위해 목표점으로부터 분광적으로 가장 가까운 k개의 표본점을참조점으로 선택한다. 이러한 분광유사성은 식(5)와같은 유클리드 거리식을 이용하여 구하며 최종 분광값의차이는 각 밴드별 분광값의 차이를 합산하여 구한다(Tomppo and Katila,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ung, S.Y., J.S. Yim, J.H. Hwang, H.K. Cho, and M.Y. Shin, 2009. Forest Biomass Estimation and Mapping for Muju County using BioCLUST Method, Proc. of the 2009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Forest Society, 443-4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ivco, D.L., 1989. Topographic normalization of Landsat thematic mapper digital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5: 1303-1309. 

  3. Forest Service, 2009. Climate change and forest. p. 244. 

  4. Fournier, R.A., J.E. Luther, L. Guindon, M.C. Lambert, D. Piercey, R.J. Hall, and M.A. Wulder, 2003. Mapping aboveground tree biomass at the stand level from inventory information: test cases in Newfoundland and Quebec, The Canadian Journal of Research, 33: 1846-1863. 

  5. Goetz, S.J, A. Baccini, N.T. Laporte, T. Johns, W. Walker, J. Kellndorter, R.A. Houghton, and M. Sun, 2009. Mapping and monitoring carbon stocks with satellite observations: a comparison of methods, Carbon Balance and Management, 4(2): 1-7. 

  6. Jung, J.H., J. Heo, S.H. Yoo, K.M. Kim, and J.B. Lee, 2010.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in Danyang Area using kNN Algorithm and Landsat TM Seasonal Satellite Images,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4): 119-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E.S., K.M. Kim, J.B. Lee, S.H. Lee, and C.C. Kim, 2011. Spatial Upscaling of Aboveground Biomass Estima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455-4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K.M., J.B. Lee, E.S. Kim, H.J. Park, Y.H. Roh, S.H. Lee, K.H. Park, and H.S. Shin, 2011.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forest carbon stocks estimation based on remote sensing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 28-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M., 2012. Spatially explicit estimation and the uncertainty analysis of carbon stocks in pine forest using growth model and GIS: The case of Danyang area, Chungcheongbuk-do,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K.M., Y.H. Roh, and E.S. Kim, 2014. Comparison of three kinds of methods on estim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distribu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B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 69-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T.G., K.E. Kim, G.S. Cho, and H.G. Kim, 1996. Monitoring of lake water quality using Landsat TM imagery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4(2): 23-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8.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Report, Republic of Korea. 

  1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Guideline for the 1:5,000 Forest Type Map, Republic of Korea. 

  14. Korea Forest Service,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15. Labrecque, S., R.A. Fournier, J.E. Luther, and D. Piercey, 2006. A Comparison of four methods to map biomass from Landsat-TM and inventory data in western Newfound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6: 129-144. 

  16. Tomppo E. and M. Katila, 1991. Satellite image-based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Finland, IGARSS '91, 3: 1141-1144. 

  17. Wulder, M.A., J.C. White, R.A. Fournier, J.E. Luther, and S. Magnussen, 2008. Spatially Explicit Large Area Biomass Estimation: Three Approaches Using Forest Inventory and Remotely Sensed Imagery in a GIS, Sensors, 8: 529-560. 

  18. Yim, J.S., W.S. Han, J.H. Hwang, S.Y. Chung, H.K. Cho, and M.Y. Shin,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based upon Satellite Data and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4): 311-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