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천문 수업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 분석: 별과 우주 단원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 사례
An Analysis of Systems Thinking Revealed in Middle School Astronomy Classes: The Case of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for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6, 2015년, pp.591 - 608  

오현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  이기영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영신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맹승호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정아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천문 수업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8학년 과학 교사의 천문 단원 수업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수업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시스템 사고 위계 구조를 수정하여 개발한 시스템 사고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분석 후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참여 교사들은 천문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의 위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학생 중심의 교수 지향을 지녔다 하더라도 시스템 사고의 교수 실행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수업의 교수 실행에서 시스템 사고가 부족하게 나타나는 것은 공간적 사고에 보다 집중하는 것과 지구과학 비전공 교사로서의 천문 내용 및 형성 평가 지식 부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천문 수업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사고의 도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ystem thinking revealed in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of middle school astronomy classes. Astronomy lessons were video-taped from four eighth grade science teachers. The video recordings were all transcribed and analyzed by employing a framework f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문학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것은? 특히, 중학생의 모든 학년에서 천문학을 어렵게 느끼고 있으며(Lim and Kim, 1994) 천제의 운동과 공간 개념 등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Yoon and Kim, 2010). 그래서 천문학 영역은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영역 또는 주제-특이적(domain or topic-specific) 교수 전략과 탐구 실행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분야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학교사들은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중등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지구과학의 영역 중 하나는? 중등 교육과정에서 천문학 영역은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지구과학의 영역 중 하나이며, 교사들에게도 가르치기 어렵고 자신 없어 하는 분야이다(Lee et al., 2005).
과학 교과서에 대한 국가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경우 과학교사들은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과학 교과서는 통합적 이해와 조절(mediating) 행동 이해를 발달시키는 빅 아이디어(big idea)들 보다는 학습해야 하는 사실들의 묶음으로서 과학 학습에 조력하기 때문에, 이러한 교과서 중심의 수업 방식은 복잡한 현상에 대한 체계적이며 통합적인 이해를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Liu and Hmelo-Silver,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2012, EarthComm., Second Edition: Project-based Space and Earth System Science (2nd Ed.); Teacher's Edition, Volume 1, Chapters 1-4, Its-About-Time. NY, USA, 1018 p. 

  2. Ben-Zvi Assaraf, O. and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518-560. 

  3. Ben-Zvi Assaraf, O. and Orion, N., 2010a,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540-563. 

  4. Ben-Zvi Assaraf, O. and Orion, N., 2010b, Four case studies, six years later: developing system thinking skills in junior high school and sustaining them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1253-1280. 

  5. Briggs, D. C. and Alonzo, A. C., 2012, The psychometric modeling of ordered multiple-choice item responses for diagnostic assessment with a learning progression. In A. C. Alozo and A. W. Gotwals (Eds.),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Sense Publishers, Rotterdan, The Netherlands, 293-316. 

  6. Briggs, D. C., Alonzo, A. C., Schwab, C. and Wilson, M., 2006, Diagnostic assessment with oredered multiplechoice items. Educational Assessment, 11, 33-63. 

  7. Calderhead, J., 1981, Stimulated recall: A method for research on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51, 211-217. 

  8. Choi, J., Lee S., Kim, C., Yu, E., Kim, J. and Oh, H., 2009, A case study on reflection-in-practice in Science Teachers' Teaching Chang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 793-811. (in Korean) 

  9. Cowie, B. and Bell, B., 1999, A model of formative assessment in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in Education, 6, 101-116. 

  10. Frank, M., 2000, Engineering Systems Thinking and Systems Thinking, Systems Engineering, 3, 163-168. 

  11. Johnson, D. R., 2006, Earth system science: A model for teaching science as state, process and understand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4, 202-207. 

  12. Kauffman, D. L., 1980, Systems one: An introduction to systems thinking. Future Systems, Minneapolis, USA, 44 p. 

  13. Kali, Y., Orion. N. and Eylon, B. S., 2003, Effect of knowledge integration activities 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earth's crust as a cyclic syst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545-565. 

  14. Lee, H., Kwon, Y. Oh, J. and Lee, H.,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s - focus on global warm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784-797. (in Korean) 

  15. Lee, K., Maeng S., Park, Y., Lee, J. and Oh, H., 2014,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 393-406. (in Korean) 

  16. Lee, H., Kwon, Y., Oh, H. and Lee, H..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s-focus on global warm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784-797. (in Korean) 

  17. Lee, J., Lee, K., Park, Y., Maeng S. and Oh, H., 2015, A case study on spatial thinking reveal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on solar system and sta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 179-197. (in Korean) 

  18. Lee, Y., Kwak, Y. and Kim, D.. 2005,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earth science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759-770. (in Korean) 

  19. Lim, C. and, Kim, H., 1994,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 on atmospheric pressure and lunnar mo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5, 157-169. (in Korean) 

  20. Liu, L. and Hmelo-Silver, C. E., 2009, Promoting complex systems learning through the use of conceptual representations in hypermedi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 1023-1040. 

  21. Maeng S., Lee, K., Park, Y., Lee, J. and Oh, H.,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astronomical systems using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 703-718. (in Korean) 

  22. Maeng, S., Seong, Y. and Jang, S., 2013, Present states, methodological features, and an exemplar study of th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161-180. (in Korean) 

  23. Mayer, V. J., 1993, Earth systems Science. The Science Teacher, 58, 34-39. 

  24. Meade, P. and McMeniman, M., 1992, Stimulated recall: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examining successful teaching in science. Australian Educational Researcher, 19, 1-18. 

  25. Meadows, D. H., 2008, Thinking in systems, Washington, DC: Chelsea greeen. 240 p. 

  26. Moon, B., Jeong, J., Krung, J., Koh, Y., Youn, S., Kim, H. and Oh, K., 2004, Related conceptions to earth system and applying of systems thinking about carbon cycle of the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684-696 (in Korean). 

  27. Moon, B. and Song, J., 2012, The eff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systems thinking education in elementary students.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13, 81-99. (in Korean) 

  2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Inc. Reston: VA. 196 p. 

  29.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oard on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358 p. 

  30.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533 p. 

  31. Oh, H. S., Kim, J. H., Yu, E. J. and Kim, C. J., 2009, An analysis of stud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through a drawing activity in teaching module of the earth system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96-110. (in Korean) 

  32. Oh, P. S., Lee, S. K., Lee, K. H., Kim, C. J., Kim, H. B., Jeon, C. H. and Oh, S. D., 2008, Methodological review of research literature on the expertise of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 47-66. (in Korean) 

  33. Orion, N. and Basis, T., 2008, Characteriz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s. Presented in the 2008 NARST Annual Meeting. March, 2008. Baltimore, U.S.A. 

  34.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 1-45. 

  35. Richmond, B.,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s thinking. Isee Systems. Lebanon, USA 165 p. 

  36. Senge, P. M., 2006,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 York: Crown Business. 

  37. Senge, P. M., 2012, Schools that lwarn (Updated and Revised): A fifth discipline fieldbook for educators, parents, and everyone who cares about education, New York: Doubleday. 

  38. So, K. H., 2003, Reconceptualiza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Exploration of new directions. Curriculum Studies, 21, 77-96. (in Korean) 

  39. Wilson, M., 2005, Constructing measures; An item response modeling approac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3 p. 

  40. Yoon, M. and Kim, H.. 2010,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space concepts based on the knowledge space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259-26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