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 대외교류국의 고분벽화에 나타난 주구(酒具)
Alcohol Beverage Utensils Represented on the Tomb Mural Paintings of Foreign Exchange Countries with Koryo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5, 2015년, pp.596 - 610  

고경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on the alcohol beverage utensils represented on the Chinese tomb mural paintings of Song, Liao, Jin, and Yuan those countries had foreign exchange with Koryo Dynasty. These mural paintings are distributed in the areas such as Hebei, Henan, Inner mongolia, Shanxi, Shaanxi, Peijing. et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는 모화사상(慕華思想)의 영향으로 송나라와 외교를 맺고 있었으며 요와는 단순한 국교조차 맺지 않으려고 하였지만 어떤 사건을 계기로 국교를 맺게 되었는가? 고려는 모화사상(慕華思想)의 영향으로 송나라와 외교를 맺고 있었으며 요와는 단순한 국교조차 맺지 않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939년에 거란의 침입으로 현종(顯宗 10년, 1019) 시기에 정식 국교까지 맺게 되었다. 이로써 각 방면의 문화적 교류와 함께 음식생활면에서도 교류가 이루어졌다.
고려의 전성기는 어떤 모습이었는가? 고려의 전성기인 11세기 후반에는 서북쪽의 거란족인 요(遼)에 대한 화평정책과 동북지방의 여진족인 금(金)에 대한 교린정책(交隣政策)을 베풀고, 한족인 송(宋)과 교류하면서 비교적 나라의 안정을 회복하였다. 고려시대는 대외적으로 외국의 침략이 많았고, 대내적으로는 무신의 난으로 다사다난한 시기였다.
한반도의 고분벽화은 언제 성행하였고 사라졌는가? 한반도의 고분벽화는 고구려 시대에 크게 성행했으나, 벽화를 묘제로 사용하지 않았던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벽화가 급속히 사라지게 되었다. 고려와 조선 초기 고분벽화의 대부분은 북한의 개성주위에 분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ng CH. 1996. Study on the history of introduction foreign alcohol beverages into Korea (韓國外來酒流入史硏究). Soohaksa, Seoul, Korea, pp 60-90 

  2. Chen FM. 1994. Shang and Chou Dynasty bronze wine vessels. National Palace Museum, Taipei, Taiwan, pp 11-60 

  3. Han JH. 2005. Stylistic and iconographic comparison of Goryeo and early Joseon murals with Liao and Yuan murals. Korean J. Art History, 246(0):169-199 

  4. Han JH. 2009. The evolution of portraits of the deceased in Chinese tomb murals. Korean J. Art History, 261(0):105-147 

  5. Han JH. 2013. The depiction of flower subject in Chinese murals from five dynasties to the Yuan Dynasty. J. Art History, 27(0):235-255 

  6. Hebeishengwenwuyanjiusuo (河北省文物硏究所), Baodingshiwenwuguanlichu (保定市文物管理處), Zhuozhoushiwenwubaoguansuo (?州市文物保管所). 2004. Hebeizhuozhouyuandaibihuamu (河北?州元代壁畵墓). Cultural Relics, 3(0):42-60 

  7. Jeon HT. 2008. Chinese historian view of ancient Korean history and study of Goguryeo murals. Korean J. Art History, 258(0):5-35 

  8. Ji MK. 2011a. The implication of the Goryeo mural tombs in northeast asian visual art. Korean J. Art History, 25(0):67-107 

  9. Ji MK. 2011b. Introduction and preliminary analysis of the decorative tombs of northern Song (960-1127) and Jin (1115-1234) periods. Art History Forum, 33(0):203-236 

  10. Kang IH. 1989. Korean Food History (韓國食生活史), 2nd ed. Samyoungsa, Seoul, Korea, pp 169-171, 177-178 

  11. Kim TE. 2008. A study on the Goryeo Maebyeong. Master's degree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ens University, Korea, pp 13-21 

  12. Koh KH. 2009. Alcoholic beverages and food culture on the late Koryo Dynasty:-Focused on celadon inscribed with poetry and government office name in the 12th-14th centuries. J. Korean Soc. Food Cult., 24(2):117-125 

  13. Koh KH. 2011. Alcoholic beverages and gold and silver wares used for alcoholic beverages during Koryo Dynasty. J. Korean Soc. Food Cult., 26(1):1-10 

  14. Koh KH. 2014. Food culture of Koryo Dynasty from the viewpoint of marine relics of Taean mado shipwrecks No. 1 and No. 2. J. Korean Soc. Food Cult., 29(6): 499-510 

  15. Koh KH. 2015. Food culture of Koryo Dynasty from viewpoint of marine relics of Taean mado shipwrecks No. 3. J. Korean Soc. Food Cult., 30(2):158-159 

  16. Park AR. 2007. A Comparative study on tomb wall paintings of Koguryo and northern people during the Wei-Ji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s. J. Koguryo Studies, 28(0):167-205 

  17. Shinoda O. History of Chinese Food Culture (중국음식문화사). In: Yoon SS et al. editors. 1995. Minumsa, Seoul, Korea, pp 199-206 

  18. Xiong L, Xiong W. 1994. Zhongguotaocigujijicheng (中國陶瓷古籍集成) Jiangxi Science and Technology, Nanchangshi, China, pp 10 

  19. Xu 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1.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154-166, 167-178, 183, 209-211 

  20. Xu 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2.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173-179, 133-136, 146, 149-157, 190, 200-202, 206-207 

  21. Xu 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3.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215-221 

  22. Xu 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4.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190 

  23. Xu 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5.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184, 209 

  24. Xu 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7-I.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463 

  25. Xu 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7-II.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469-471 

  26. Xu G. 2012. The complete collection of murals unearthed in China, Vol. 10.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p 44-45 

  27. Yang H. 2006. Retropect and prospect of research on Chinese tomb murals. Art History Forum, 23(0):7-41 

  28. Yang ZS. 2008. Yuandaijinyinjiuqizhongdemayuhemabiao (元代金銀酒器中的葬馬盂和葬馬杓). J. Natl. Museum China, 3(0): 24-35 

  29. Zheng Y. 2010. GudamuzangyuZhongguomeishushdexiezuo (古代墓葬馬中國美術史的寫作). Art History Forum, 30(0): 167-190 

  30. Zhao R. 2012. Songyuanmuzangzhongbangti, tijiyanjiu (宋元墓葬中榜硏究). Relices South, 1(0):87-94 

  31. Zhao RG. 2006. Zhongguoyinshiwenhuashi (中國飮食文化史). Shanghai Renmin Chubanshe, Shanghai, China, pp 124-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